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2년 이규순(李圭淳)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光緖八年壬午式 代 鰥 幼學 李圭淳 光緖八年壬午式 靈光郡 李圭淳 전라남도 영광군 2顆(7.3×7.3), 靈光郡戶口(흑색, 12.0×3.3)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82년(고종 19)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규순(李圭淳)의 준호구(準戶口). 1882년(고종 19)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규순(李圭淳)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규순은 57세이고, 본관은 광주(廣州)이며, 아버지 이복필(李馥弼)을 대신하여 호주로 신고하였다. 현재 부인은 없으며,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가족 사항으로 손자는 이병찬(李炳贊)이고 손자며느리는 울산김씨(蔚山金氏)이다. 가족들의 인적사항 다음에 손자의 외조의 이름과 본관이 작성되었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지인(靈光郡守之印)]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문서의 일부가 잘려진 상태로 보이며, 그 때문에 이규순의 거주지 주소를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李儒哲 嗟呼李上舎。知己平生歡。論學承師訓。斥邪赴國難。檢身如不及。臨事自從寬。一幅緘辭淚。凄凄宿草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李鍾大 師門高弟擅南州。氣節經綸赴義秋。寶樹五株香不斷。文章三世譽無休。空樑落月光猶在。古調淸琴水自流。指點靈輀丹旐路。新阡竹下一區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敎性 斯文百世下。鍾出蘆沙翁。曾見英材育。師門喜得公。危難勇赴國。恭儉克勤家。世敎罔攸復。屢興吾黨嗟。小生託晩契。繾綣多受知。聞一亭前樹。想看種德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步上蘆沙先生 二首【丙寅秋。法寇陷江華。自上召募。余方赴難。蘆沙先生詩以送之。謹步以呈。】 仗劔西風一放歌。蒼黃時事奈如何。臨危成敗非吾度。快死男兒問幾多。是日方承催血詔。晚天容易脫漁蓑。師門贈別慇懃意。歸泊江都誓白波。送我停盃聽我歌。洋胡豕突不殲何。卽今北洛軍聲急。從古南湖義氣多。壯志寧辭裏馬革。離心非是負漁蓑。佇看馳駕西征日。漢水安流洗劒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沙磯李尙書【是遠】二首 一死家邦賴以安。凜然忠義此時看。驅除讎賊臨終語。兄亦猶難弟亦難。西來一劒愧無功。只把戎衣起哭公。甲串津頭縱賊恨。秋山落木不禁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奉和李南坡丈人【僖錫】 落暉返石壁。凉候凋庭梅。咬菜充飢腹。分泉把餞盃。摳衣初願遂。觀海鄙懷開。目送南雲盡。神魂夜夜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原韻 逢君秋雨裏。句在無言梅。老驥空愁櫪。搏鵬冷笑盃。今宵邀月賞。那處掃雲開。別後東平樂。江南聽雁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桃洞詩社連吟。四首 經秋詩士氣堂堂。卜夜聯衿動席香。杖䇿不辭千里遠。無樽其奈五更長。園林路熟非生客。花樹情深似故鄕。緬憶種桃桃洞裏。當年移宅漢之陽。仰止幾年入此堂。衣冠半襲桂花香。紅葉千林禽語歇。晴天萬里雁途長。三夏雙鞋遊北社。五更一枕夢南鄕。家人應識西遊苦。新釀黃花問洛陽。多謝主人不掩扉。依微夜色上寒衣。酒或蕩情難守分。月如留約敢言歸。我道學仙兼學佛。君心無是亦無非。定知此後三宵夢。赤壁舟中喚鶴飛。靑山白石是秋城。多荷諸君餞我行。燕社三春珍重約。龍江七月眷勤情。聊知蝶枕三更夢。猶記雁天萬里聲。縱到來朝須盡醉。鷄人只怕報晨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曉望。次族叔慶慷【羲瑾】韻。【慶懷。號晩窩。進文官。戶曹參判。】 萬戶雞聲歇。三洲雁陣圓。霜華涵老樹。雨意濕遙天。樓角初迎日。城頭已起烟。山南偏送目。迢遞白雲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老妓 芙蓉花發洛城頭。偶然飛落故園秋。秋盡湖山花欲謝。百年那得一身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閑居有感 茅屋蕭疎擎竹扉。主人眠罷客來稀。悠悠正得春溪興。一樹嬌鶯出谷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東橋【在道川之東北。南道通行之古路。】 日暖風飄柳絮輕。路人來去野人耕。箇中識得閑忙別。濯足高歌倚短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散步 月穿疎柳入松林。谿鳥山禽各好音。去拾殘花忘夜䦨。小兒眼起莫相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思鄕 萬事從今付太空。支離東北轉飛蓬。懸燈夜夜終南夢。盡入湖山細雨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見丹杏初熟。傷達兒。【痘夭】 杏花結子廟門東。解語年年索早紅。今日爛垂千萬顆。雨中拚折却村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下第口占 病渴功名老不痊。丈夫如此只堪憐。何時靜對明山坐。日誦朱書四五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幼仁叔早來。拈强韻。【二首】 伴食賢關備淡鹹。老生司馬亦華御。却看妻子多飢色。湖上田翁覺不凡。世味於吾不喜鹹。鐘鳴門外肯投御。秪綠計拙仍成癖。人謂淸高認大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世濟禪者詩中。次崔惺惺子【鳴岐】韻。 松花覆石逕。對酒說禪心。偶得故人詩。淸風又一襟。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