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광사재(廣思齋) 용하기(用下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靈城丁氏 영광 영성정씨 정호남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술년(1970) 12월부터 경진년(2000) 6월까지 광사재(廣思齋)와 관련된 수입과 지출의 항목을 기록한 회계장부 내용: 수입부, 지출부 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오대조 장단공 계안(五代祖長湍公稧案)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靈城丁氏 영광 영성정씨 정호남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5대조 장단공설(長湍公稧)와 관련된 내용을 기록한 문서 내용: 중수기(重修記), 범례(凡例), 선척기(先尺記), 봉입질(捧入秩), 수입부(收入部), 방채(放債), 용하기(用下記) 등 시기: 임술년 11월 ~ 1976년 3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전한공 계안(典翰公契案)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靈城丁氏 영광 영성정씨 정호남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전한공계(典翰公契)의 수입과 지출을 기록한 문서 시기: 乙卯 2月 21日~辛巳年 秋講 信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토지매매계약서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丁炳南 金成泰 영광 영성정씨 정호남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93년에 정병남이 김성태에게 토지를 판매하면서 작성한 토지거래계약서 거래토지: 영광군 불갑문 응봉리 답 66-2번지 거래면적: 약411평(1,359㎡) 대금: 사백만 원 중개업자: 김양호 *상태: 피봉 1건. *특징: 광사재문중회의록 속에 끼워져 있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82년 강항(姜沆) 처(妻) 숙부인(淑夫人) 김씨(金氏)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추증교지 정치/행정-임면-고신 光緖八年六月日 贈 淑夫人 金氏 光緖八年六月日 高宗 金氏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08_001 1882년(고종 19)에 고종(高宗)이 숙부인김씨(淑夫人金氏)를 정부인(貞夫人)으로 추증한 추증교지(追贈敎旨). 1882년에 高宗이 贈 淑夫人 金氏를 貞夫人으로 추증한 追贈敎旨. *姜沆의 妻 贈 淑夫人 金氏가 貞夫人으로 추증됨. *방서: 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經筵義禁府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春秋館成均館事五衛都摠府都摠管侍講院左賓客行通訓大夫刑曹佐郞姜沆妻依法典從夫職 *상태: 문서 우측 일부 오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77년 신경운(辛慶雲) 차첩(差帖) 초(草) 고문서-교령류-차첩 정치/행정-임면-차첩 乾隆四十二年十月日 驪州牧使 忠義辛慶雲 乾隆四十二年十月日 驪州牧使 辛慶雲 서울특별시 종로구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77년(정조 1)에 여주목사(驪州牧使)가 충의(忠義) 신경운(辛慶雲)을 영릉(寧陵) 원정가관(元定假官)으로 차정하는 차첩(差帖)의 초(草). 1777년에 驪州牧使가 忠義 辛慶雲을 寧陵 元定 假官으로 차정하는 差帖 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740년 강혁조(姜赫祖) 의송(議送)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庚申七月日 靈光 幼學 姜赫祖 使道 庚申七月日 姜赫祖 全羅道觀察使 전라남도 영광군 巡使[着押] 全羅道觀察使之印 3개(적색, 정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13_001 1740년(영조 16) 7월에 유학(幼學) 강혁조(姜赫祖)가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에게 올린 의송(議送). 1740년에 幼學 姜赫祖가 全羅道觀察使에게 올린 議送. 靈光 愽山은 世葬한 산이며 雲提는 世居한 터로 睡隱 姜沆이 터을 잡았고, 산 아래에 孟子亭은 수은 강항이 직접 만든 정자인데, 乙卯年(1735, 영조 11)에 누군가 밤을 틈타 맹자정 위에 偸標하였으니, 설치된 偸標를 靈光郡에서 기한을 정해 掘去하도록 특별히 嚴題를 내려주길 요청함. *題辭(4일, 本▣): 과연 이는 대대로 지켜온 터인데 몰래 標를 설치하였으니 즉시 掘去하라고 靈光郡에 명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89년 이태우(李泰宇) 백패(白牌) 고문서-교령류-백패 정치/행정-과거-백패 …▣八年四月初八日 李泰宇 …▣八年四月初八日 肅宗 李泰宇 서울특별시 종로구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689년(숙종 15)에 이태우(李泰宇)가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받은 백패(白牌). 1689년(숙종 15) 4월에 이태우(李泰宇)가 생원시(生員試)에서 입격(入格)하고 받은 백패(白牌)이다. 이태우는 생원 3등 제64인으로 입격했다. 문서 전면에 '生員 三等 第六十四人'이라 적은 첨지가 붙여져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1년 이이곤(李以坤)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十一年辛卯式 行郡守 幼學 李以坤 道光十一年辛卯式 靈光郡 李以坤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1×7.0), 靈光郡戶口(흑색, 12.3×3.8)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31년(순조 31)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 1831년(순조 31)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이곤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신촌리(新村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52세 경자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57세 을미생이며, 본관은 상산(商山)이다. 이이곤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함께 기재하였으며, 이이곤의 경우 생부(生父) 이대영(李大榮)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당필(李唐弼), 며느리[婦]는 장택고씨(長澤高氏)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의 인장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이이곤은 1825년과 1828년 준호구에 이곤(李坤)으로 기재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9년 이이곤(李以坤)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二十九年己酉式 行郡守 幼學 鰥 李以坤 道光二十九年己酉式 靈光郡 李以坤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7.3×7.2), 靈光郡戶口(흑색, 12.4×3.3)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49년(헌종 15)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 1849년(헌종 15)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이곤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제12 신촌리(新村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70세 경자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현재 부인은 없으며,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 생부(生父) 이대영(李大榮)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형필(李馨弼)에서 개명한 이승필(李升弼)과 이현필(李鉉弼), 손자는 이지순(李贄淳), 이정순(李正淳)이다. 아들들의 인적사항 다음에 작성된 외조는 이이곤의 빙부(聘父)이고, 손자들의 인적사항 다음에 작성된 외조는 장자 이승필의 빙부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의 인장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이이곤은 1825년과 1828년 준호구에 이곤(李坤)으로 기재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梁相衡【柏下】 和風河南子。實地涑水翁。今人做不得。惟有石田公。仁者未遐壽。大材竟小成。火傳而木返。根氣在蘭庭。古巷歸雲宿。空山細兩多。典型今不見。揮淚夕陽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吳駿善【後石】 痛哭石田老。不謂遽云亡。靜念疇昔誼。忍見舊業荒。玉樹摧半夜。蕙蘭委肅霜。人生元一夢。天地盡斜陽。無限此日淚。江河也共長。煌煌至德君。華夏孰不聞。典型有遺孫。英才更出羣。丹穴無凡毛。靑氈襲世芬。世豈有此老。天胡喪斯文。萬事渾寂寞。淚濕秋山雲。大哉蘆沙翁。道德彌吾東。登門有高弟。人物孰如公。士林推山斗。後學依帲幪。一朝文星落。千秋夜臺空。吾私哭未已。回首立秋風。一庠豈稱德。六旬亦云忙。仁賢名位嗇。淫奰壽考長。浮生遽如許。末路更悲凉。雅量與高致。已矣今則亡。惟應一片月。留照舊匡床。物外神仙表。平生想望中。義氣摧羯奴。孝友見家風。軒冕倘來寄。名德後日崇。執策人猶榮。提誨我偏蒙。哀些作賀語。餘慶儘不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吳丙善 至德遺風數百年。醇儒輩出繼靑氈。優遊太蒙恩早。警急邦家赴義先。實地工夫師友益。傳家謨範後昆賢。浮生其奈盈虛理。回首秋城倍悵然。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