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公州林砥松浩喆氏以師稿改張事訪臨于新村久敬會過一宵而歸後以詩言志故賡而答之 文德彬彬語極淸令人欣感席頻更爲先誠款蓍龜信超俗胸衿水月明共憶西林悲不裁旋言鉄木夢難成高輪大札連仍至千里還如咫尺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朴兄南竹璟鎭搆送數什於余大不稱停故隨其條目而謝之 壯年志槪等兒時樵牧同歸負宿期笑殺因循猶不篤末稍飛走更尤誰【謝立】【志】持身不謹悔多時旋覺旋行未遂期從此致謗山似積滄浪自取更尤誰【謝持】【身】解行同於未讀時空空童見更無期鈍根賦質終難變咎實由吾復咎誰【謝讀】【書】不孝元由禀賦時旅遊亦少過庭期從來愧讀召南傳如我非人更有誰【謝事】【親】賦性畦畛少合時對筵款洽實難期可憐一事無堪道回顧伊今不唾誰【謝接】【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道統社韻 聖賢天地合炳若日星存盛德誰能忘一祠寓慕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學生柳君墓表 朱夫子戒人子之事親曰求知於世而爲之則雖割股廬墓亦爲人耳奚特事親爲然持身而飾外爲人矣讀書而有求亦可曰爲人矣而惟柳君俊鎭則負性帶氣自事親以至持身讀書雖不可曰一一從容中道然率皆出於中心所發無飾虛車之習顧此虛僞成風之世豈不爲卓然出類矣乎君字采彦高興氏東方著姓英密公諱淸臣忠正公諱濯以忠勳碩德幷赫于麗史傳至諱忠信穆陵龍蛇亂以建功將軍佐忠武李公能敵所愾於君十三世也諱遐錫永植生根重基其高曾祖禰而星州李正斗外大父也君生高宗丙申七月廿四日卒己亥二月九日葬可藏洞先兆右麓枕卯原按其家譜曰素性簡直不事邊幅事親以孝爲先必誠敎子勤儉克守家業此雖二十餘字君之一生行治備盡無餘蘊而又皆着題語此外庶事雖借筆於韓柳於君不過糟粕於此可知君之爲君也齊南陽宋氏父敬淑曰淙旿淙來淙南三男也曰李栢和鄭種泰二婿也淙旿男明柱李男洛熙東熙鄭男炯華炯喆餘未艾君之克家胤淙旿爲乃翁徵表阡之文顧此忘先滅倫之日豈不亦奇矣乎是不可以孤其誠而且余於君有姻兄弟之誼故不忍牢辭撮其實而仰答如右俾刻于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學生柳君墓表 吾夫子喩人之質美而不能學學而不能成德曰苗而不秀秀而不實學生柳君以超逸之才文學夙暢將升堂入室而不幸立之七年齎志黃壞此所謂秀而不實者也運歟命歟嗚呼惜哉君諱南鎭字乃衡高興華閥諱永柱諱泰根曾若祖之孫也諱重七之子也其先英密公諱淸臣忠正公諱濯襄靖公諱濕主簿公忠信諸孤忠卓節明幷日月有光於麗史及國朝實錄於君十三世以上也外大父礪山宋氏鎭日也戊戌三月十三日其攬揆之辰而甲戌四月之望屬纊之日也修德山下立岩下枕壬原其壽宅也好逑高靈申億求女一男濟平孫男漢柱噫君受胚胎于孝友靑氈之家自幼良知良能所發盡孝友之道能行人之所不能行者多早年就學大奮其志不煩提督而自能勤力竿步漸進課歲從鄕先生思軒宋公春潭申公輪讀諸經傳且擇朋友之勝己者而交之多麗澤之益以若之才之學享遐齡而擴充得所志則爲出倫拔萃之高士風動一世無疑而胡爲乎不及不惑之年而止也天意未可知也其四從兄昶鎭哀其有才無命請余一語而欲不朽於世且族英重寬以書囑之甚懇余雖非其人誼難固辭敢擧弱腕而塞責如右徐陵過江之投爲可畏也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78년 류대석(柳大錫) 안내장(案內狀) 고문서-첩관통보류-근현대문서 柳大錫 고흥 무열사(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8년 음력 7월 29일에 류대석(柳大錫)이 보낸 안내장(案內狀). 선조의 창명유고가 발간되어 한 질을 보낸다는 내용 *고서 ID60 『滄溟遺稿』의 딸림자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78년 여산송씨고흥문중(廬山宋氏高興門中) 안내장(案內狀) 고문서-첩관통보류-근현대문서 宋璟燮 고흥 무열사(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8년 5월에 여산송씨고흥문중(廬山宋氏高興門中)에서 보낸 안내장(案內狀). 가문 내 5명의 글을 책으로 간행하였다는 내용 *고서 ID20 『齋洞世稿』의 딸림자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贊朴公【敏熙】孝行碑閣 一生特行率天眞叔季何人堪等倫七世表阡成次第三霜哀制盡精神鄕隣稱賀名聲大庭胤誠心感慕新樹碑建閣今如許不識遺傳幾萬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京城 大都街路幾千枝遠客耽觀步步遲社屋空悲殷白馬野耕猶用夏農時東西班級今何在億萬行人摠不知禮義舊章縱未見轉眸處處總新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呈東江金承旨 遠地不禁瞻仰情多年出入漢陽城大家喬木名聲屹霽月光風襟度淸韓柳文章爲獨步夷連義理守分明願言特保寒松節一國龜蓍勿自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宿順天驛族弟亨圭官舍 踈林窮巷讀書生到此相論隔歲情懸電靑紅爭日色亂車南北動雷聲緩行觀賞心猶樂迎接慇懃夢穩成歸對鄕人談旅事應誇今夜擧君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申元淑【千休】壽甲韻 歲月重回舊甲年寶琴彩舞耀床前鄕庠有望超倫老風雨無塵絶世仙忠孝古家華閥大敦和宗族吉祥連仁人食報元天理應記將來九五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忠義記 忠義乃家法也父詔子勖孫承祖武彝常永頼以不墜此可有辭於一鄕也在昔 鷲巖祠 昭代之盛典 先生之表章至矣盡矣而斯道隆替凡物之廢興亦有數焉不幸遭大同之厄山阿寂寞過者傷神而但 先生之忠勳節義垂竹帛而昭日星其遺風餘韻藹然被於錦綿山永之間多士追慕之不衰重建祠宇於舊址以爲瞻依放仰之所而別立講學之齋顔曰忠義蓋慕當日忠義遺蹟也去丁亥秋奉安時以 文忠公月塘先生爲主壁竊伏惟 月塘先生忠義文章蔚然爲麗朝冠冕東人仰之若泰山百代之下猶爲之聞風興起況本孫乎改扁以牛山祠而以後孫七賢同堂配享從多士之公也嗚呼入是庭而登是齋者其必有羹墻之思讀書味其訓一靜一動悉以 先生爲法然後庶不負先哲啓後之至意而忠義孝悌之風當傳底無窮矣可不勉哉重光單閼重陽前二日 後孫 成九 謹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忠義齋韻 隋城 崔炳純 號野隱一門忠義七賢靈享祀春秋昭日星濟濟後生來此室彬彬舊禮習於庭石屛列立澄山嶽錦帶縈回曲水汀棟宇儼然過者式萬于永世誦聲聽仁同 張機會燕居這裏養虛靈忠義月塘淹暎星煖室春詩鳴里巷凉軒夏禮掃門庭鳶飛自若牛山石魚躍活然錦水汀風化所關從此好鄒魯揖讓誦聲聽叅祀日 幸州 權龍相古朝社倉洞里尋牛山松栢列森森晩忝觀者惟興感久不靈滅自在音留奏笙篁黃鳥舌未量斤斗碧隄心福州來客知眞意更向東風披素襟隋城 崔炳日 【號淵東】追慕八賢嶽降靈牛山齋祠照臨星綿鄕多士來絃誦列邑裔孫盈鏞庭喬秀森松陰古院晩英佳菊馥寒汀文章忠義斯留蹟爲國聲譽世世聽利川 徐勳相 【號秋潭】八賢祠宇護精靈忠義齋中占壽星奕奕綱常千載業堂堂禮義萬年庭聲名長與牛山重遺澤同深漢水汀講誦由來前國史應知無愧上天聽利川 徐和鍾月塘後世鷲龜靈忠義堂堂若斗星破樑壞碣今完壁後學肖孫摠滿庭牛山新月鶴龍里錦浦清風竹松汀問仁自古成君子非禮勿言動視聽仁同 張洛錫 【號蘭谷】牛山咫尺草堂靈此地祠齋分翼星秋水月塘晴接戶戰雲沙浦冷侵庭節高松竹靑靑岸香遠芝蘭郁郁汀儼若聖師因有問二三子與各言聽羅州 鄭光鎬 【號敬菴】儼然祠宇地區靈夏國丹心照日星忠義同歸三隱社承傳又見七賢庭望思巖上牛山月追遠臺前錦水汀濟濟衣冠南俗美春絃秋誦講聲聽密陽 朴鍾術 【號華堂】誰問江南最地靈八賢心映丹忠星高麗月朎新建廡牛鳴巖疊古墟庭仁山至屹坎坊峀智水渺浩赤浦汀芳芝長帶先春色千歲儒林講議聽(祭官忝禮時) 務安 朴炳局 【號誠菴】應牒偶夫登此祠先生道德眼前明忠節堂堂河海闊氣風烈烈泰山輕萬歲遺功當世立千秋享祀後人情可憐晩翠牛山栢以待雪霜獨秀生後孫 禹福舊祠新建地鍾靈忠義明明昭日星三隱同歸殊國社七賢聯配一門庭帳屛繞疊綿城峀襟帶回長錦水汀濟濟儒林來景慕講論詩禮誦絃聽後孫 禹麟地闢仙區巨物靈丹心殉節昭天星三隱同歸高麗社七賢又耀一門庭慕先祠上松京月忠義臺邊錦水汀雲仍不忘千年恨春日秋宵講誦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20년 정홍연(鄭弘衍) 고신(告身) 2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泰昌元年十二月初一日 鄭弘衍 泰昌元年十二月初一日 光海君 鄭弘衍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10.0×10.0)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14_01_A00001_001 1620년(광해군12)에 정홍연(鄭弘衍)을 통훈대부(通訓大夫) 행동복현감(行同福縣監)에 임명하는 문서 1620년(광해군12) 12월 초1일에 광해군이 정홍연(鄭弘衍)을 통훈대부(通訓大夫) 행동복현감(行同福縣監)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행수법에 따라 통훈대부는 정3품 하계 품계이고, 동복현감은 종6품의 관직으로 관직이 품계보다 낮아 관직 앞에 행(行)자를 붙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781년 정국빈(鄭國斌) 등 등장(等狀)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辛丑十一月日 奉山面化民 鄭國斌 等 11(?)人 城主 辛丑十一月日 鄭國斌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官[着押] 1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1년(정조 5)에 영광(靈光) 봉산(奉山)의 유생(儒生) 정국빈(鄭國斌)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등장(等狀). 1781년(정조 5) 11월에 영광(靈光) 봉산(奉山)의 유생(儒生) 정국빈(鄭國斌), 정윤검(鄭胤儉), 정영검(鄭瑩儉)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투장자(偸葬者)를 적발하고 무덤을 파가게 해 줄 것을 요청한 등장(等狀)이다. 정국빈 등은 최근에 누군가가 자신들의 선산에 밤을 틈타 투장했으며, 투장한 곳은 5대조 죽창공(竹窓公) 산소 경내에서 멀지 않으며 증조부인 진사공(進士公) 묘의 내룡주맥(來龍主脈)에 매우 가까운 곳, 또 후손 정환빈(鄭桓斌) 묘(墓)아래 몇 발짝쯤 이내이다. 그들이 대대로 지키고 장사지내는 땅을 한 투총자(投塚者)에게 잃어버리게 되었으므로, 해당 면임(面任)에게 분부해 한편으로는 투장자를 엄히 적발하고, 한편으로는 기한을 정해 무덤을 파가게 해 달라고 요청했다. 영광군수는 11월 26일 내린 제사(題辭)에서 투장한 사람을 기어이 찾아 잡아 오라고 면임(面任)에게 분부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孝子孔公碑 嗚呼上林通衢巍然而立者士人孔鳳源孝行碑也夫以孝治下者爲聖帝明王移孝事上者爲忠臣烈士此孝所以爲百行之本萬善之源也人之所以爲人國之所以爲國舍孝其奚以哉然孝非高遠難行惟性分之所固有職分之所當爲也是以古昔盛時人人皆孝無特以孝子稱焉世變時移道喪俗渝一有能盡其道者則殆若雲霧黑暗中太陽孤出也此孔士人鳳源卽其人也士人判書宗周后文性子自幼事父母多異蹟至十歲母尹氏病病坐臥須人士人凡人力可盡者極盡其方而大命有局命不回天送終凡節雖老成人無得以加焉常以至痛在心事父尤篤及其大歸盡哀盡禮少無憾焉前日事異顔母宋氏特盡恩愛人之見者不其異顔矣異顔母亦感化常握手撫之曰孝哉吾子也至於隆老亦如老萊子之孝奉鄕隣聞見者莫不感嘆一日異顔母以天年終隣里見士人之哀痛曰白首孝子於此可想士人之爲士人也事當蒙旌以烏頭赤脚耀暎於鄕隣而惜乎世非其世也士人之懿蹟見於邑誌及鄕坊之薦狀后孫順成采根恐歲久而堙沒竪樂石以圖久遠秉彜所同過者必式聞者必聳聽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公孝行碑 盖人爲萬物之靈者以其能行五倫故也五倫之中又以孝爲首以孝爲大若國而無是國而不國人而無是人而不人所以先王先聖之垂敎於天下後世尤惓惓於孝娓娓於孝者也然古昔比屋可封之世人人皆孝別無孝子之可稱矣至若後世冠屨倒置綱倫斁敗孝之一字爲己陳之芻狗其間或有盡其性修其職者則如百鳥噪噪中一鳳雝雝特稱之曰孝子慶州金公佐喜卽其人也公桑村先生諱自粹之后魯發子性孝自少一言一事不拂親心且晨昏定省出入告面可謂小學中人也一日陪老親遊賞於白雲山猝遇獰虎進退維谷公用楊香搤虎例懇懇言老親遊賞之意虎低尾而走豈非孝誠感格之致歟其妻申氏亦性孝克盡婦道老親偶嬰兩瘧彌留數月百葯不靈夫妻夜夜禱天一夜妻言夢兆云老翁曰尋源洞品字岩下有靈葯公聞之齊戒入山果三岩下有兩蔘挺然特立採來煑獻其效若神神乎奇哉解叔謙之得丁公藤奚專美於古也親年七十六又病病濱危思食生魚時則天寒冐寒往海彷徨盤旋求之未得號天將歸忽看一處雙鯉躍出氷上獲而歸時夜幾半矣卽隨親意膾炙以進病幸少差而終於不起夫妻哭踊頓絶方甦殯歛葬祭依禮終喪此其孝行之大槪也嗚呼此夫妻之至孝動天動人可爲人世之表示也而惜乎奈無劉仲壘之筆何然鄕坊章甫之交薦剡狀積如筍束今其一門將圖樹碑以表闡之其曾孫東燮東煥來徵其文又鄙族燦容偕來謀忠款款敢按狀畵葫使聞者聳見者興顧余筆非金管爲可愧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族叔道京哀辭【幷序】 嗚呼哀哉叔之今日遊岱是命耶數耶胡至於此窃想榮衛骯髒語聲剛諻此得於天之壽證也其長兄過房無十餘代主鬯孫而不幸家計轉冷春秋烝嘗將至闕焉叔憤心勵志不揆世之矛劒淅炊而致身於萬里外國櫛風沐雨料理得巨金獻賢而使之烝嘗事其過房兄如溫公之於伯康便身之物莫不畢給且四五代先墓之石儀獨盡瓣香而樹表焉顧此今日孰如叔之至誠至行之卓卓磊磊也宗族榮之鄕坊稱之此則修於己之壽道也得於天修於巳者如許宜享無彊之遐齡而今纔耳順而卒天乎難諶何理之錯嗚呼其卒之日鄕隣之匍匐將酹酒者塡門塞巷而某人則許其先山之一脈而使葬之若非善德之感人亦何以如此嗚呼哀哉余於叔二年以長而志同氣合或有大小可議處則傾囷倒廩而且相歎門運之萎薾欲以先訓之孝弟忠信各自勸勉仍默禱天望見大寒後陽春之回泰矣於焉一疾彌留幽明逈隔此殆余命之窮不暇爲叔之悲而自悲余身之踽踽也嗚呼哀哉嗚呼痛哉系之辭曰嗟嗟叔兮今世古人資質洵美兮才志出倫盡心保宗兮事事款曲得此資斧兮己薄兄篤至行特異兮令人欽服雖不鼓篋兮勝於多讀命不侔德兮纔享六旬一疾不起兮萬事己陳孝胤俊秀兮門戶不寂繼述可望兮相應瞑目余獨顧影兮悲哀其誰重泉窅窅兮寓哀短辭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