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58년 청구서(請求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李東春 3顆(원형)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8년 4월 23일에 발행한 청구서(請求書) 이동춘이 12,580원을 청구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5년 한규채(韓圭采) 변제증서(辨濟金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韓圭采 吳竹實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4년 11월 30일 한규채(韓圭采)가 오죽실(吳竹實) 등 2명에게 변제(辨濟)를 증명하는 문서 채권자(債權者) 한규채(韓圭采)가 원금 600원과 이자를 모두 변제했다는 내용 채권자(債權者): 한규채(韓圭采) 채무자(債務者): 오죽실(吳竹實) 등 2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6년 한규흥(韓圭興) 영수증(領收證) 3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靈光郡 法聖面會 韓圭興 원형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6년에 한규흥(韓圭興)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함평군 학교면(咸平郡 鶴橋面)에 사는 한규흥을 대신하여 한성염(韓性炎)이 1원 27전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6년 양택여(梁宅與)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光州牧 梁宅興 印 1顆(7.2×7.2, 정방형,적) 영광 운당리 제주양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6년 광주목에서 양택여에게 발급한 준호구 1786년(정조 10) 광주목에서 양택여(梁宅與)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이다. 호주(戶主)의 정보 및 그의 사조(四祖)와 가족정보, 소유노비의 정보를 기록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伍拾壹年 月 日光州牧考丙午式成籍戶口帳內 西面大枝山村住 第二十統第一戶 幼學梁學漢 改名宅興 年肆拾肆癸亥 本濟州 父 學生進泰 祖 學生建厦 曾祖 學生鳳遠 外祖 學生金君弼 本金海 妻姜氏 齡貳拾玖戊寅 籍晉州 父 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行龍驤衛副護軍兼五衛將行彌鎭水軍僉節制使德輝 祖 贈嘉善大夫工曹參判兼五衛都摠府副摠管斗東 曾祖 贈通政大夫工曹參議碩龍 外祖 學生魯斗善 本咸豊[光州牧使之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開國伍佰陸年辛丑三月 日 前明文右明文事 傳來所有是多可 不得已要用所致 故伏在郡地畝長上石里村後猪巷二嶝山場柴草一千五百束㐣 價折錢文參佰兩依數捧用是遣 右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 則以此文記憑考事 此亦中 舊文記一張 付於都文 故不得出給事山場主 畝長上石里 幼 李泰譱[着名]證參 幼 梁敬昊[着名]西南李泰譱山場 東李治弘山場 北李德川山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9년 양택여(梁宅與)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光州牧 梁宅興 牧使[着押]統主李[手決] 印 1顆周挾改印 1顆 영광 운당리 제주양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9년 광주목에서 양택여에게 발급한 준호구 1789년(정조 13) 광주목에서 양택여(梁宅與)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이다. 호주(戶主)의 정보 및 그의 사조(四祖)와 가족정보, 소유노비의 정보를 기록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肆年甲申十一月五日 梁喪人處明文右明文事段 先山在於光州大枝洛村東麓 而偸葬人許多 故不得已北过一麓地 價折錢文十三兩 依數捧上爲遣 右人前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子孫族屬中 若有爻象弊 則持此文憑考事山主 幼學 辛錫圭[着名]筆 幼學 金達名[着名]證 幼學 金達{王+尙}[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7년 이태선(李泰譱) 시초방매명문(柴草放賣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명문 李泰譱 山場主畝長石里幼李泰譱[手決]證參幼梁敬昊[手決] 영광 운당리 제주양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7년 3월에 이태선이 발급한 시초방매명문 1897년(고종 34) 3월에 이태선(李泰譱)이 발급한 시초방매명문(柴草放賣明文)이다. 선조로부터 내려온 묘장상석리촌(畝長上石里村)의 시초(柴草) 1500속(束)을 300냥에 판매한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7년 이태선(李泰譱) 가사(家舍) 등 방매명문(放賣明文) 1 고문서-명문문기류-명문 李泰譱 家垈主 畝長上石里 幼李泰譱[手決]證參 幼梁敬昊[手決] 영광 운당리 제주양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7년 9월에 이태선이 발급한 가사 등 방매명문 1897년(고종 34) 9월에 이태선(李泰譱)이 가사(家舍), 토지, 과목(果木) 등을 판매하며 작성한 명문이다. 조상으로부터 전래받아 살아온 묘장상석리(畝長上石里)의 초가집 4칸, 행랑 2칸, 측실 2칸, 뽕나무 30그루, 밤나무 20그루, 송추(松楸) 20그루, 감나무 3그루, 배나무 2그루, 대전(垈田) 2마지기를 350냥에 판매한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開國伍佰陸年辛丑九月 日 前明文右明文事 傳來居生是多可 不得已要用所致 故伏在郡地畝長上石里草家四間果 行廊二間 廁室二間桑木參拾株 栗木貳拾株 松楸貳拾株 柿木肆株 梨木貳株 垈田貳斗落所耕貳負八束㐣 價折錢文參佰伍拾兩 依數捧用是遣 右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 以此文記憑考事家垈主 畝長上石里 幼 李泰譱[着名]證參 幼 梁敬昊[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문복록(問卜錄) 4 고문서-치부기록류-문복록 영광 운당리 제주양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占을 보고 나온 결과를 기록한 문복록(問卜錄) 甲午, 乙未, 丙申, 丁酉, 戊戌, 己亥, 庚子, 辛丑, 壬寅, 癸卯,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壬子, 癸丑, 甲寅, 乙卯 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술수(術數) 1 고문서-치부기록류-문복록 영광 운당리 제주양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占보는 법을 필사한 문서 年月日明八字知法과 사주합(四柱合), 선천수(先天數), 후천수(後天數), 동선경(銅仙經) 등을 필사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박종주(朴宗柱)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朴宗柱 朴正大 朴宗柱 1개, 적색방형 2개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1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8년 1월 29일에 박종주(朴宗柱)가 박정대(朴正大)에게 5원 19전을 받고 발급한 영수증. 1938년 1월 29일에 박종주가 박정대에게 발급한 영수증이다. 금액 5원 19전을 받고서 영수증을 발급한다는 내용이다. 구체적으로 무엇에 대한 금액인지는 영수증에 기록되지 않았다. 박종주의 도장 1개와 적색방형 모양의 도장 2개가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63년 하규석(河圭錫)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河圭錫 光州牧使 使<着押> [光州牧使之印] 3顆(7.5×7.5) 광주 진양하씨 사직공파 표산문중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3년 5월에 하규석이 광주목에 올린 상서 1863년(철종 14) 5월 독산면(禿山面)에 사는 하규석이 광주목에 올린 상서이다. 지난 무오년에 돌아가신 어머니의 열행(烈行)에 대한 정려의 은전을 받았고, 그 해 가을에는 예조에서 국왕의 계하(啓下)를 받아 잡역을 면해준다는 관(關)이 내려졌으며, 광주목의 완문(完文) 또한 받았다고 한다. 이로써 하규석의 연역(烟役)과 환곡이 면해졌는데, 그가 올해 봄 오산면(鰲山面)에서 독산면으로 이주하였기에 면제의 사실을 다시 확인받기 위해 입지(立旨)를 내려 달라는 내용이다. 광주목사는 22일 독산면 면임과 창색(倉色)에게 내린 처결에, 사실을 조사하여 시행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