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跨月霖雨 人人自致天何怨苦雨支離罕霽時日色晦瞑常不見地形㶑灔亦無之穉禾成菜仍沈水窮屋乏薪殃及籬噍類搔頭方欲哭兒童跳躍漫相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以舊譜事示家弟子精家兒炳殷 民固邦寧聖訓在萬千諸事總皆然弟兄釐整名惟順昭穆叅差語不虔譜牒歸正應有日衆心切望己多年家君特爲天倫重無處無時一念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77년 송기오(宋基五) 안내장(案內狀) 고문서-첩관통보류-근현대문서 宋基五 고흥 무열사(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7년 1월에 송기오(宋基五)가 보낸 안내장(案內狀). 사헌선생의 책이 발간되어 한 질을 보낸다는 내용 *고서 ID34 『思軒遺稿』의 딸림자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石農吳丈 嶽降此翁居大豊地靈人傑擅吾東萬篇義理蚕牛解一片胸襟水月同當代文章誰獨步一團和氣自春風素來仰恃如師父承訃還慚未盡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20년 정홍연(鄭弘衍) 고신(告身) 1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萬曆四十八年五月十一日 鄭弘衍 萬曆四十八年五月十一日 光海君 鄭弘衍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10.0×10.0)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14_01_A00001_001 1620년(광해군 12)에 정홍연(鄭弘衍)을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양천현령(行陽川縣令)에 임명하는 문서 1620년(광해군 12) 5월 11일에 광해군이 정홍연을(鄭弘衍)을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양천현령(行陽川縣令)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행수법에 따라 통훈대부는 정3품이고, 양천현령은 종5품의 관직으로 관직이 품계보다 낮아 관직 앞에 행(行)자를 붙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774년 정석량(鄭錫良) 등 등장(等狀)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甲午十一月日 奉山 化民 鄭錫良 等 13人 城主 甲午十一月日 鄭錫良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行官[着押] 1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74년(영조 50)에 봉산(奉山) 화민(化民) 정석량(鄭錫良)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등장(等狀) 1774년(영조 50) 11월일에 봉산(奉山) 화민(化民) 정석량(鄭錫良)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투장(偸葬)한 김귀남(金貴男)의 죄를 엄하게 다스리고 기한을 정하여 이장(移葬)하게 해달라고 요청하는 등장(等狀)이다. 지난 10월에 본면(本面) 염소(鹽所)에 사는 김귀남(金貴男)이 그의 처(妻)를 투장하려다가 그만둔 후, 다시 11월 초6일에 같은 장소에 부친(父親)을 투장한 일로, 김귀남을 법정에 잡아다가 투장한 죄를 엄히 다스리고 기한을 정하여 이장(移葬)하도록 조치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영광군수는 11월 11일에 과연 등장(等狀)의 내용과 같다면, 투장은 그 법률에 따라 엄하게 다스리고 이장(移葬)하도록 공원(公員)과 함께 잡아서 보내라고 제사를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782년 정석량(鄭錫亮) 등 등장(等狀) 1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壬寅三月日 奉山面化民 鄭錫亮 等 5人 城主 壬寅三月日 鄭錫亮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着押] 3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2년(정조 6)에 화민(化民) 정석량(鄭錫亮)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등장(等狀). 1782년(정조 6) 5월 9일에 영광 봉산면(奉山面) 화민(化民) 정석량(鄭錫亮)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등장으로, 5대조 죽창공 정홍연(鄭弘衍)의 묘소 근처에 투장한 김흥재(金興才)에게 기한을 정해 묘를 파가도록 청한 내용이다. 봉산면에 사는 김흥재가 죽창공 묘소 멀지 않은 곳에 투장하여 그를 고소했는데, 김흥재가 패소하여 4월 15일까지 묘를 파가겠다는 뜻으로 관에 다짐(侤音)을 제출하였으나 도피하고서 끝내 나타나지 않았다. 정석량 등이 다시 고소장을 올리자, 영광군수가 면임에게 전령(傳令)으로 '열흘이 지나도 김흥재를 찾아 잡아오지 못한다면 면임이 마땅히 굴이(掘移) 할 내용을 보고하라.'고 하였으나 시행되지 않자 다시 면임에게 명령하기를 '김흥재가 비록 도망갔다고 하나 반드시 그의 처자(妻子)가 있을 것이니 속히 잡아들이되, 만약 찾아서 잡아 오지 못한다면 그의 처자 족속과 함께 묘를 파낸 후에 보고하라.'고 하였는데 여러 날이 지나도록 면임이 거행하지 않았다. 더구나 면임을 날마다 불러도 오지 않고, '비록 관령(官令)이 있을지라도 마음대로 묘를 파갈 수 없다.'라고 면임이 말하니, 아마도 김흥재와 면임이 함께 모의하여 기한을 연기하여 굴이하지 않는 것은 아닌지 의심이 간다고 하였다. 이에 정석량 등은 사정이 이러하니 별도로 관원을 보내 기한을 정하여 묘를 파내 달라고 간청했다. 이를 두고 영광군수가 처결하기를 '면임이 어찌 임의대로 묘를 팔 수 있겠는가. 부디 김흥재를 잡아오거나 그렇지 못하다면 김흥재 처자의 지친(至親)과 함께 묘를 파가는 것이 마땅하다.'라고 하고, 면임에게 담당하게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孺人鄭氏紀蹟碑 人於天地不過蒼海一粟而叅爲三才以其有倫綱也顧此日何日倫綱爲己陳之芻狗宇宙之棟樑絶矣人民之質幹滅矣雖讀書之丈夫宰輔之大臣滔滔幻面而渝腸趨時赴勢而有閨中一弱婦鄭氏靑春哭杞以鉄石肝腸守空帷五十餘年之久成就得烈烈之節義誰敢不曰巾幗中君子乎於乎休哉氏籍東萊領相文翼公諱光弼后敬朝女也幼有異質父母鍾愛及擇對而歸爲淸州韓氏文簡公諱尙敬后漢會之好逑氏入門舅姑己早世以未逮事常自痛恨曰爲人婦而一未拜舅姑譬如腹兒纔落地而失父母也女子薄命一何至此於是乎敬夫子待宗族極盡其道纔一弄瓦而夫子病病命不回天時氏年二十三哀痛迫切卽欲下從而忽幡然家徒壁外無主而惟有一夫幼弟一孤女余若遂志則於心無愧然誰能養育而娶之嫁之以慰夫子九原之靈耶抑哀回心殯殮葬祭以心以物克盡其哀勤於辟纑以保家政常以未亡人自處持身謹嚴不叅隣婦宴遊之席待其女之長而嫁慶州金哲秦夫弟亦成婚而生二男妯娌相依保命未幾一兒夭氏重先祀之主鬯取一兒大弼而系夫子之后使韓氏之門戶有名於今與後其勵心也處事也大節足以揭綱大義足以勵世此一鄕士林之交章薦揚豈非出於秉彜好德之良心乎今外甥哲秦與系子大弼同心協力刮毛龜背竪片石以圖褒彰而來徵其文余實不文不敢而難孤其懇按狀採實亦窃附大雅蒸民首章之義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哀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克齋宋公哀辭【幷序】 嗚呼克齋宋公德恩大家也儒林宗匠也天賦人受竝極善無缺必得衆人所不得之遐壽而纔享稀年而卒是何事也天生艮翁約齋兩先生於叔季尊華攘夷閑聖闢異以當亂極一治之數而不幸長弟棄世然艮門之石丈約門之吾公以得聞一貫之嫡傳能闡發師道使斯文不墜窃以爲剝上一爻之碩果將爲七日來復之兆矣今兩公亦繼沒於數月之間顧此非龍非巳之年而哲人之萎一何至此天意未可知也抑氣數推盪天亦無如之何歟衡柱出入門屛書疏往復己爲數十星霜觀感極矣警發多矣而況得蒙先親狀德之文乎鏤髓罔極之恩山卑海淺而世亂也家慘也不得匍匐於承訃之日而今來哭于象生之筵英靈有知安得不陰誅以差晩耶嗚呼自悚也己辭曰嗟嗟我公兮榮衛骯髒容儀頎然兮風流弘長志氣明朗兮表裏圓融持守儼正兮動靜從容望之肅然兮秋霜殷殷卽之和易兮春風溫溫躬體心得兮不以皮膜筆叅造化兮一世獨步鏟跡自靖兮何處盤桓樂水樂山兮濂溪百源穆爾內修兮晩工愈篤養深積厚兮猶不自足猥蒙仁愛兮提命諄諄幽明逈隔兮萬事已陳天時冉冉兮年幾一周來哭差晩兮自悚自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誠窩李公哀辭【幷序】 嗚呼誠窩李公果厭世耶以享壽言之則特加我東華陽老子之一齡也以時局言之亦當晦翁稱元城命好之世矣此在吾公似無餘恨而惟一坊後生則有至痛至寃者存吾公志氣慷慨言議剛直臨事而辨是非如分白黑常有盖座之風流向削禍如霜之日幸賴捨魚取熊之力一坊無事風靜浪息此所謂虎豹在山之威也窃觀世之詭譎詆讕無益於世而有害於名敎者類多黃䤋而華巓公何獨一朝永逝也嗚呼天乎神乎未知孰使之然也小生在同閈素有先誼而且猥蒙幈幪之恩景仰尊慕不啻尋常長老也雖聞有美愼之苦而妄以爲隆老例證未卽匍匐進候倐然之頃至於如此悲夫悲夫痛矣痛矣今於其靷也敢此述哀以代相紼之役辭曰嗟嗟吾公兮生丁不辰操瑟遠世兮徒抱經綸隱淪林樊兮逍遙自適掛牌秉拂兮學徒矢的簞瓢屢空兮安貧樂道能擇熊魚兮卓越志操一朝厭世兮任運觀化巷無人兮漫漫長夜北風沍雪兮幽明遽隔偶有俗忌兮葬未執紼倩人以哭兮一紙難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孝子宋公碑 古昔先王先聖之敎人以孝只是勤於庸德之行而已若如世人之取必於物感則惑矣此非人力强致也噫宋公諱啓天礪山名族忠剛先生諱侃后士人日賢其父也素以特孝數百年來名聲赫赫苟無其實烏能然然考其實則行所當行勉所當勉耳按公於鴈行居四早失所怙事母甚篤非大故及職事所關不離侍側居致敬養致樂天少冷則曰衣得無薄乎食少頃則曰食無飢乎別置一少鼎日具其所嗜手自調味或有時謳歌悅之如徐節孝故事母隆老公亦白首欲灑風則輒負之盤桓庭院欲梳首則塗油捫虱及丁憂哀踰於禮殯殮葬祭寧過無不及此外綽綽群行推類可想也己鄕隣稱嘆屢發公議欲推薦則公聞之大驚曰親恩罔極秋毫未報何使人愧赧如此遽止之此非常情所及也今與後之聞風者可不油然而興感乎其有補於世敎大矣先是謁文於滄上李敎授商永氏玄孫柱顯己立碑表實居然歲久爲風雨所泐且事實未備五世孫同燮千燮刮毛龜背將圖重建請文於余余實不敢而誼難固辭略加櫽括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孝子柳公碑 我英宗大王隆興之世有以神護物感之特孝名聲溢於鄕坊者曰高興柳公諱奎壬字乃成是也麗朝大丞相忠正公諱濯后厦濂子孝性根天事二尊盡誠竭力常自顧以古人一日養不以三公換而惟恨家貧甘旨未充一日海鷗入厨野鴨投袖乃供不時之需父母異之鄕坊稱之有慈癠彌留葯餌祈代靡不用極而丁未十一月二日將至屬纊公斫指注血夜夢有神人告孝感增三載之讖果至己酉十一月二日以天年終異哉前後日月何其相符也可驗其三載之延壽實孝誠所感也公呼天叩地頓絶方甦襲歛葬祭遵禮罔缺逐日拜墓雖風雨不癈三霜如一日行客樵牧皆指點曰此柳孝子之親塋也後父君有癠亦盡誠救護危則又裂指得延三日之命其居喪諸節有過於前喪而無不及焉每當夫日哀痛追慕一如袒括之日其於宗族賓朋亦皆待之有恩有法此皆孝之所推也噫鄕彦校儒交薦剡狀雖得本倅與巡相國嘉尙之褒題然臨時未蒙烏頭赤脚之曠典荏苒之頃山河換局無地可請今血禪脚下將圖樹石以揚之曾孫河根五代孫龍鎭來徵其文余固辭以人文俱拙而終不獲窃付蒸民首章之義謹按薦狀而撮錄如右以爲今與後爲人子之柯則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烈婦柳氏碑 昔宋人女爲蔡人妻旣嫁夫有惡疾父母欲奪而嫁之彼終不聽朱子採入於寒泉編偰循亦登載於三綱錄而贊曰一醮獨能終不改靑篇萬古有高名由是天下後世知蔡人妻之賢矣顧此倫綱灰冷相鼠綏狐之風大熾世間靑春婦女不幸哭杞而移枕誰得以非之然自知熊魚之分以古栢之心鋼鐵之腸守義全節者實難之又難矣吾再從弟宋永柱妻孺人柳氏卽其人也惜乎世無朱子偰循也然近日洞人甄拔而圖剡薦可謂能盡大雅蒸民首章之義而於孺人亦可云無所愧也噫孺人高興著族忠正公諱濯之后士人潤根女入門能盡孔子所謂主中饋事無專制之義未幾年纔一弄璋而夫子得疾彌留幽明遽隔時孺人年二十三卽驚惶欲下從之而見舅姑失二代獨子哀痛罔極乃自語於心曰余夫死余又死則或恐舅姑生病又幼兒失育門戶永閉吾家先靈不免若敖之鬼遂黽勉抑哀遵禮終喪一日隣婦勸之嫁則大斥曰爾使我爲禽獸之行耶自以奉養舅姑育兒承祀爲己職勵志勤力家道稍溫乃供石儀衛先祖之羨門舅姑以天年終豫備歲月之制無臨時葛藤且幼兒燦善長成擇婦入門婦極善良能承孺人之志仍椒聊蕃衍孺人出門則男女兒孫七八左隨右行前襟後裾食時則一榻列坐噰噰嘔嘔和氣滿室人間之樂無以過此誰不曰孺人之食報也顧世非其世未蒙旌褒之曠典然有德善者厥後必昌理之常也異日門戶安得不昌大矣乎是爲之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孺人宋氏烈行碑 近見烈婦宋氏狀皆庸德庸行無卓越奇異然孔夫子言庸言之謹庸德之行然則世之贊烈婦者捨庸德庸行而別求氷鯉雪筍等奇異者余不無其然其未然之疑也氏礪山贊燮女及擇對而爲金寧金炳奎妻入門奉舅姑敬夫子各盡其道一日夫病病百葯不靈雖飮食之節視匙之多少一如武王之於文王至其晝哭氏年才二十九卽欲殉從而旋思余若遂志幼兒失養夫子之目必不瞑於泉下乃抑哀忍痛喪葬遵禮間日上墓制闋克勤克業扶持門戶遂至有今日嗚呼雖古節烈婦何以過之事當上奏蒙旌而奈世無其階何於是諸族欲替樹樂石使吾族燦容來請余以文余感孺人之烈行忘拙而爲之書如此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孝烈婦鄭氏碑 嗚呼婦爲夫一醮不改天性所禀也爲人婦者不失是性皆可以爲烈矣觀於中壘氏烈女傳雖取唐虞以後卓越之特行然不過隨其所遭而行性分之所當行而己顧世不如古夫生而移枕死而扇墳者往往焉惟孺人鄭氏不然靑春晝哭而至老白首守義靡他其淸風孤節昭乎日星此鄕坊所以交口公誦而登諸剡薦之狀也然世非其世旌褒無地嗣子基福恐爲滄桑遺珠與其族老柱希來要不佞紀其蹟固辭不獲按狀叙之曰孺人河東著族穆陵節臣松齋諱弘壽后忠基女及笄歸礪山宋靑燮端廟忠臣忠剛公諱侃后是夫是婦皆以忠臣苗裔爲好逑此亦天之所使也孺人奉舅姑事夫子極盡婦道未幾年晝哭孺人罔極之中自語於心曰何可苟生矢心下從舅姑引古守義之節婦而開喩曰汝今萬幸有娠萬幸生男而系汝夫之后則汝夫死而不死胡不思此也孺人幡然改悟進慰舅姑之心其於殯殮葬祭盡誠盡禮以梅梅繭繭自處未亡人矣天佑神護果生男子子敎之以義方扶門戶門戶有光孺人養舅姑益篤而盡心於歲月之制臨時無憾此皆出於天性之自然涪翁所謂汝雖女子天地異人者也世之髥丈夫爲臣不忠而幻面渝腸徒探一時水泡榮耀者視孺人之所行宜泚然顙汗不敢擡頭也噫此日基福之擧非特顯揚其先德將勸來世而有補於風化矣今與後人之耳目所及若不蹶然興感則大雅蒸民首章之義泯矣系之以銘曰禀性人人同得守義鄭氏獨特赫赫芳名不朽當千秋而配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孺人陳氏孝烈碑 夫人之道莫難於死而惟孔聖曰白刃可蹈中庸不可能然則中庸之道更難於死也孺人陳氏驪陽著族永玉女年十八歸于金海金氏文簡公著後爲益植好逑入門能盡詩人所謂宜其家人之道宗族稱之曰孝婦夫子偶罹難醫之祟葯餌也祈禱也可盡者盡之而竟至危境卽割股而和他肉灸進夫子回甦僅至三禩然大命有局竟至幽明永判孺人卽欲下從舅姑曰而夫死而而又死則吾兩人亦死孺人黽勉回心奉先祀事舅姑誠勤備至依禮終喪於是鄕坊歎賞薦狀積如筍束嗚呼事當上禀蒙旌而奈世非其世何所后子正倫將伐石替旌以圖久遠不忘夫之再從弟達植來徵其文余臥病不敢而特感孺人之烈行敢書之如右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