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李相汶 李君相汶冐寒枉臨問病而歸以拙詩謝之仰覿英儀己有年阻餘相看却依然胸襟無纍淸溪淨顔采超倫霽月圓歛跡杜門憐我病發謀出世頌君賢願言永享康寧壽修德家風世世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盤山講契 肸蠁絃歌等武城文風滿座世風晴深山講古蘭江事此地傳今鹿洞聲四海兵戈秦楚俗一方經籍魯鄒名松篁不變凌霜節士也如何反覆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茶樹講契 病劇難行咫尺隣面踈如不素相親滿堂是日頭陀客負笈前年櫛縰人魯海夷山心自切孔仁孟義道求眞到此還慚先父老有名無實困風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柳氏孝烈碑有感 風雨乾坤有斯婦瑤池萬里白蓮奇四喪一朔眞何事通室孤孀極慘悲霽月持心誰與等嚴霜守節世無比畢生辛苦言難盡碑刻璀璀千載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修講契於金城 寰宇紛紛百六秋吾人詩酒做閒游午鍾遠出雲中寺大蜃空成海上樓露結爲霜時候冷里仁有法古風流康衢煙月今何在林下書生己白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梅窓朴公【泰璿】 端重德儀誰敢等熊魚取捨自分明孔仁孟義心期大特保王春世有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鳳山見訪 陋居小屋在城東客到頻仍路四通汽線能行千里外夜鍾己落五更中捿遲自後京鄕異趣味從前詩酒同朝暮待賓無下箸對盤咄咄謝家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鳳陽齋落成韻 有此先塋有此樓賓朋來做大鵬游潮聲澎湃前龍浦山氣玲瓏後鳳頭聖代錄勳華袞重鄕祠餟享古風流白衣蒼狗今何日長憶吾公恨未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居士李公墓表 嗚呼八影山下有斗地洞盖窈而深繚而曲地氣玲瓏居人仁厚少無不祥近於古之槃谷詩人所謂碩人考槃處也此居士李公自山陽遯跡于此能行蕫安豊故事不求聞達而況其觀化之日其經歷德行一不收錄今星霜己久幾乎杞宋無徵幸有知公者口耳之傳至今不絶如鳳飛羽落龍升鱗存有曰志氣慷慨孝學卓越爲一方冠冕云此幾個字雖甚寂寥以內以外其全體大用發露無餘後人之善觀者因此以反覆風詠推知公之所以出乎倫拔乎萃則自不覺歛袵而起敬也餘外多少假使覼縷言之不過公之枝葉而已此可與知者道難與夫夫言也噫公諱德浩字汝仁慶州氏麗朝評理公諱仁挺中世派祖其碩德忠勛詳見國史傳至我中宗朝茅山公諱蟹忠孝兼全爲一世名賢後有諱應秀副護軍同知中樞府事諱漢元諱錫道曾若祖與父也妣光山金氏仁老女公之生年不傳而卒則九月七日得牛眠於占岩面門岩內乾坐原而宅之配金海金氏錫秋父也卒十月三日墓用衛禮二男圭安圭永圭安男鍾淳圭永男鍾源鍾溶曾玄以下甚蕃未記噫古人云德備于身而慶流于後又曰積善之家天必報之以福今公之雲仍蕃衍而多頭角嶄嶄公之有至行實德的的可驗矣所謂一方冠冕誰敢曰溢日其六世孫俊炯來徵牲石之文余何敢當然顧此陳后山所謂登墓思發藏之世惟誠於先如此特有所感敢忘病拙而撰次如右俾刻于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學生李公墓表 楊花村羅老島之一名區也李公諱贊榮之萬年幽宅在其案山乙坐原公字國一壽八十二肅宗辛未英祖壬辰其生卒之年也慶州氏以新羅太師諱謁平爲上祖纍傳有諱居明是其中祖也至麗朝後承蕃昌纍公纍卿爲東方之著姓逮至益齋諱齊賢有衛社勳諡文忠後有嘉善諱伸贈兵叅諱繼蕃三道觀察使諱尹仁是皆本朝之名臣而爲公之顯祖也高祖諱希益有文行曾祖諱長耆祖諱萬彬考諱集仲妣平山申氏壺範極備配密陽朴氏後公一年卒墓上同寅坐生二男一女男圭孟圭得女適金順甫圭孟男鍾實圭得男鍾大鍾武鍾大男聖雨有特孝纍登鄕彦校儒之薦狀公上有賢祖下有肖孫而能承先裕後其居家敦族接人處事衆善之可稱者宜甚多而世遠事逸寥寥無傳恨如之何五世孫采照與其族叔相珍來屬以表阡之文余實荒陋何足以表揚哉然辭之不獲敢此泚筆僭率極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序(2) 牛山祠는 在於務安郡夢灘面社倉里牛鳴山下하니 羅州金氏世德餟之所也라 德源清流長하니 月塘先公諱臺卿은 麗之寶文閣大提學으로 直言極諫타가 謫沒安老縣하니 特히 牧隱李穡公과 交分이 두터워 때에 李公의 贈詩中一首曰水想精神月想容은 乾坤高卧是人龍이라하고 公은 일찌기 牧隱과 더부러 많은 詩를 읊은 바 있으며 自詩曰百歲光陰五十餘半生今已誤詩書豈知世有于戈亂終値時無甔石儲何羡憑河能暴虎却嗟綠木欲求魚縣名正合安吾老一曲清灣繞屋廬라 읊으신 記錄도 남아있다 謚文忠에 羅州錦城山下景賢書院에 文純公李退溪文元公李晦齋文正公趙靜庵文敬公寒暄堂文獻公鄭一蠧文憲公奇高峯諸先生과 함께 配享이 寔爲屢百年矣라 先寔鷲巖祠에 配享하였든 鷲巖公諱適龜巖公諱忠秀支巖公諱躍華先祖와 아울러 直講公諱遠斜川公諱德秀葵軒公諱禮秀竹軒公諱智秀蒿庵公景參諸公合享于牛山祠하니 此는 羅州金氏世德幷九位也라 其忠義之烈烈이 跡雖有異나 心與道는 其揆一也라 蓋本祠는 肅宗甲申에 始建而廟在鷲巖公山下하고主享鷲巖公하다 不幸於高宗五年戊辰에 朝令撤之타가 光復翌年丙戌之歲에 士論이 復起與本孫謀로 復建?址하고 改額牛山祠라하였다 以月塘先公으로 躋爲主壁하니 昭穆敍矣요公論定矣라 廟貌維新하니 比昔培光이라 採九賢文蹟하야 文籍乃本孫禹福氏가 曾是蒐集成編者誌成一卷하니 後之人은識我祠中僉君子之志歟저檀紀四千三百二十年丁卯九月 日 後孫不肖 尙衡 謹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蒿庵處士羅州金公景參碑 墓碣銘幷序處士諱는 景參이요 號는 蒿庵이니 新羅敬順王의 孫諱雲發은羅州에 封君되여 本貫을 羅州金氏라하였다 麗朝時十餘代는代代로 侍中卒平章事大將軍으로 王族待遇를 받았고 傳至月塘諱臺卿은 文科寶文閣大提學을 지내며 諡文忠公이라하니文章이 著世하여 所作詩文이 載於東文選하고 杜門洞七十二人中一人이며 鄕人士建院腏享을 받았으며 李朝中宗때 文章이 높아 進士로부터 光州牧使에 이르니 贈禮曹判書諱는 適이니 號는 鷲巖이요 六代祖進士諱는 德秀요 號는 斜川이니 五代祖이며 牛山祠에 配享되었으며 高祖의 諱는 文後요 號는 湖亭이며 武科에 曾祖의 諱는 時稷이요 號는 永川이며 多士의 推薦으로 松林院長에 祖의 諱는 戭이요 考의 諱는 九翼이요 字는 博叔이며 代代로 學問과 孝行은 士林의 鄕薦이었으며 妣는 錦城羅氏縣監斗天의 女이다 公은 肅宗乙丑에 出生하여 德器夙成에 屹然若巨人長子之風하여 就學에 不煩敎督而文思日就하여 終以學術行誼로 蔚然有南中儒宗文望이러니 英宗癸酉六月三日卒하니 士林이 尊慕하고 列邑이 連章하여 牛山祠에 配享되었으며 墓는 務安郡夢灘面社倉里舟浦에 乙坐하고 配는瑞山柳氏鶴山處士隱木之女요 朿判文貞公樗亭伯濡后生丁卯卒圓山에 酉坐되시다 子는 諱錬과 錥女는 竹山人進士麟詳의 子左相{火+羽}의 后이다 諱通海와 牧海는 錬의 子요 諱訓海와 仲海는 錥의 子이다 噫라 公의 名門後裔로 學問에 博洽하고 廉潔正直勤勉忠實을 本領으로 삼아 社會?展에 貢獻하였으며 特히 通海遷窩는 談經說理에 精通하였으며 正祖戊午에 朝令으로 經義條儒生에 被選많은 著書를 남겼다 公의 嘉言善行이 多有可述而屢經兵燹하고 佚而不傳하며 墓道顯列이 尙今未遑더니 其族孫綺千屬不忘以識之커늘 辭以老昏不獲하고 略据其狀하여 爲之銘曰天姿近者德器夙成孝友爲政不于浮榮敦本別華勉進生行路武躬呼 金公之榮咸平 魯宅洙 謹撰務安 朴漢喆 謹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朝奉大夫童蒙敎官支巖先生金躍華碑 支巖金先生墓碣銘 竝序公諱躍華字精葆號支巖羅州人大提學文忠公諱臺卿後判書鷲巖諱適七世孫也考諱麒瑞以孝友學行著名當世嘗設禮睦齋義分庫使後家於養生送死之道無憾焉因以禮齋爲號妣光山金氏守仁女察訪德普玄孫肅廟壬辰生公于茶山里第公天性至孝事親養志務盡承順躬執甘旨靡不庸極逮丁外憂水漿不入口號哭不絶毁幾滅性喪葬祭奠一遵朱夫子家禮後値內艱一如前喪且{衤+衣}禮齊憲爲平生佩符時閱書籍見手澤則必掩卷鳴泣終身慕不哀平生操守尤尙節義可謄杜詩至蜀主?吳之句閣筆而嘆曰稱崩幸已得史法而窺二字殊史春王之我遂改以帝征字且壁{竹+家}之銘以明乾坤寓吾形身崇禎日月開我心明十六字也門鉻之楬以當易淂名節難保八字也圖之劉以頭戴崇禎日月六字也其詠懷墨梅園大報壇諸咏隱烝椿苓之遺韻尊周之大義也至如官兵田科四制對䇿皆經邦之大道救時之急務而公旣不遇言亦無施可勝惜哉至于壬午考終于正寢葬茶山村後密嶝配羅州吳氏大輔女翰林希道玄孫生甲午年卒癸未墓祔左有一男一女男象鎭女適士人朴宗度孫濟權濟殷濟萬內外曾玄多不盡錄不侫於此特感公之志節遂薦〖爲〗之鉻曰公有篤孝百行源維孝之推志節彌敢公有志節餘事詞翰嗟公之詩奇以觀隨處激烈風泉之思恩津 宋煥箕 謹撰後因道臣上言贈朝奉大夫童蒙敎官配享于 鷲巖祠中元甲子季春 日平澤 林璡 謹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748년 정시익(鄭始益) 소지(所志) 1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戊辰閏七月日 靈光奉山面 化民 鄭始益 兼官 戊辰閏七月日 鄭始益 전라남도 영광군 兼官[着押] 5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14_01_A00014_001 1748년(영조24)에 영광(靈光) 봉산면(奉山面) 화민(化民) 정시익(鄭始益)이 겸관(兼官)에게 올린 소지(所志). 1748년(영조24) 7월일에 영광(靈光) 봉산면(奉山面) 화민(化民) 정시익(鄭始益)이 영광군 겸관(兼官)에게 정석복(鄭錫福)이 차일피일 일을 미루려는 간계한 계획을 해결해 주길 요청하며 올린 소지(所志)이다. 정석복이 자신들이 없는 틈을 타서 관정(官庭)에 잠깐 나타났다가 벗어나서 그들을 찾으려고 종일토록 잠복하였으나 찾을 수가 없으니 이것은 일을 차일피일 미뤄 한편으로는 스스로 거역의 죄를 면하고, 한편으로는 추변(推卞)을 하지 않고자 한 것이므로 겸관께서 기우제 행차에서 돌아오신 후 자신들의 선대사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사정을 살펴봐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영광군 겸관(兼官)은 7월 5일에 잠깐 나타났다 곧바로 피하는 일은 지극히 보통이니, 면임과 함께 가서 붙잡아오되 또 숨어서 거역하면 즉시 와서 보고하고 먼저 관정으로 붙잡아오라고 제사를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孺人柳氏紀蹟碑 昔宋若昭著女論語有事舅姑事夫子兩章其字字句句無非媍女職分之所當爲底庸德庸行若慶州李公圭濟妻孺人柳氏可謂云爾矣孺人幼而在家嫁而執笄其庸德庸行皆合天理順人情於乎休哉孺人籍高興忠正公濯后天錫女擇對而歸尊丈早世惟老姑在堂養之甚篤未多年夫子有癠孺人克盡若昭所謂終日勞心多方問葯遍處求神百般治療願得長年之術然命無奈何幽明永判而又無氣脈血禪孺人驚惶欲死不知水之深火之熱旋念老姑與先祀特體夫子未瞑之恨抑哀執禮殯葬無憾取從子鍾珉繼后扶樹門戶善養老姑卒以天年終此孺人之所以爲孺人也嗚呼究厥孺人之所造所履殆若丹山之鳳玄圃之玉人之陟丹山也所聞者皆鳳鳴過玄圃也所見者皆玉光人不知其爲靈爲寶若來儀於治世璀璨於沙石則特稱曰靈瑞美寶此孺人之庸德庸行在比屋可封之世則人人皆行不足爲稱賀顧此世級江河網倫壞敗子不子婦不婦之日則可謂雲霧中太陽霜雪裏孤花也此非近世絶無而僅有者乎鄕彦校儒之交薦皆出於懿德之感人也主鬯孫芝雨恐此休蹟爲桑海遺珠常欲樹碑圖傳不幸有志未就嗣子栢南繼志逑事來請其文文固不敢難孤栢南之孝誠忘僭畵葫以答其懇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孺人柳氏紀蹟碑 嗚呼人之難莫難於死而觀於吾夫子所謂白刃可蹈中庸不可能及古人所稱嬰臼之難易則可知就義之難尤難於死矣然世間婦女早哭所天而全節守義其難有甚於一時之自裁較然矣慶州李信雨妻孺人柳氏之事卽其事也孺人籍高興忠正公濯后龍根女孺人幼有志操及擇對而歸盡孝盡敬婦道罔缺纔一弄瓦所天以愼祟彌留孺人殫誠救護而命不回天幽明永隔孺人擗踊哭泣頓絶方蘇乃更抖擻精神反以妾薄命之由慰其舅姑之傷心此日此慰眞千古所罕奇哉奇哉其於殯殮葬祭助家人而盡制常以蓬頭垢面深宮固門不叅於隣婦宴遊之席取育幼姪使夫子無子而有子每當夫日盡誠盡敬致如在老舅梧軒公特憐之引古義婦之事以開喩則孺人曰夫之不幸乃妾之不幸反慰老舅如程夫子贊程孝女曰汝雖女子天地間異人者亦可幷稱於孺人也然世非其世旌褒無路其一門諸族欲樹碑以圖不朽使孺人從孫文熙來請其文余不堪秉彜好德而忘其僭率樂爲之書以警夫世之昏昏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李慕軒【洪雨】文 嗚呼公之生後余一年而今先我而去何也得聞貴妹夫宋永燮之傳曰兄無恙日常言我先某而死使之爲我圖後事云是果然歟未知出於一時戲談與否而聞之愕然驚憛然疑莫克爲情也嗚呼此日何日榮利紛然而兄獨保衣髮於聖塘灔澦之中若非早辦熊魚之辨華夷之分鳥能乃爾況內行純篤事二尊人處四昆季竝盡其道而至於侍湯日纍度嘗糞願代此古之徐東海庾黔婁之流亞而且於大化日先爲沐浴翦爪恬然而逝云此所謂修養有素而正終者非兄而誰嗚呼君子人也余與兄志同氣合相勵晩節以期屈子所謂長年觀時變而一朝風韻破碎遽失良輔獨悵悵於末路然古人所謂畢竟同歸黃壤悲不幾時也伏願靈犀相照宛如平昔否嗚呼哀哉嗚呼痛哉尙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亡室孺人柳氏文 維歲癸卯四月丁酉朔七日癸卯孺人柳氏撤象生筵之大朞也夫衡柱自皐復日寬抑其哀不甚嗚咽然不可不一吐滿腔之悲蘊故力疾搆文因前日朝上食而告之曰諺云世間窮憐莫如寒士之妻此爲君着題語也嗚呼君初入吾門家勢極艱而又多稚弟父主春秋掛秉常不在家余亦陪從隨學諸般事如無主荒屋而君安其窮約忘其苦勞盡心周旋處之有術仍勤於紡績供其上下夏葛冬裘之材舅姑或有情外之誅君少不異色徐俟怒解禀其事由之不然舅姑反喜之曰余向不少思之致也余目撃此等事實非一二焉此非夷所思也至於先祖之夫日隨家之有無而盡誠心備其祭儀待諸妯娌常不相猶而以和爲主無方底圓蓋君所擧男兒纍丁夭慘余莫克爲情則君反慰之曰老舅姑在堂何不寬抑此則余之所不能較如士之有爭友也且與君同居五十有九年而未見有一毫剋人害物之事亦未聞出一悖談惡說而與人爭是非此非余之所阿好實宗戚隣里之所共知也嗚呼君之禀質雖似柔弱然持身處事皆有享壽之道焉而況術人評長兒次兒之生年月干支曰父先亡之格云故余自謂必先於君而死矣今君反先之君雖恬然而逝余心則結恨窃想此非君之命道如此是緣余之得罪於神明而替受其禍也歟抑或如古之烈婦默禱于天減已年而助其夫之壽歟是未可知也更思之余亦老益甚氣益衰怪祟層鱗將不久於世泉下相逢應不遠矣以是自慰而己且引昔日韓退之以佑成之責冀望於死者之故事而禱之於君君皆知余志乎否言雖盡而意無窮嗚呼哀哉嗚呼痛哉尙饗紹菴集卷之二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紹菴集卷之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繕工監役林公忠孝碑 嗚呼羅州林氏自王麗大將軍諱庇後文武忠勳磊落相望爲東方名姓後孫有諱鍾憲字春兼號海隱歸來公諱鵬之十四世孫贈同知中樞府事諱俊圭子公天禀卓越有忠孝超倫之篤行故鄕彦校儒交薦剡狀皆擧似忠孝雙全而稱之若無其實烏能乃爾眞可謂瑤池白蓮也公於鴈行五人序居其一而友于甚篤此與楊春津姜伯淮一類人也早事二尊志體備養及天只呻吟彌留葯餌祈禱竝盡其誠而終至濱危卽進指血其效若神然命不回天擗踊哭泣殯殮葬祭克盡戚易之道鄕隣稱嘆曰好禮之君子也鄕郷八影山乃湖南名勝也鄕人爲主上殿下兩位建祝願堂於是乎知州閔泳壽素聞公之名使之爲守護公每月朔望設壇焚香祝天以聖壽無彊纍多年如一日此古來士庶之前例有無未可知而其爲君上至誠可質神明所謂忠孝雙全者誰敢曰不然知州與其族人圭煥啓禀自上特除繕工監役仍追貤三世榮耀此所謂人主不識何狀者而其爲君上如此若在廊廟之位則忠君輔國國家世道必有所賴而遽然齎志黃壤識者恨之然積德所發餘慶津津有七子曰光澤順澤瑛澤正澤在澤胤澤洪澤皆頭角嶄嶄門戶昌大此丈夫非公之食報歟嗣孫日根恐於滄桑浩劫中其懿蹟泯爲遺珠使從弟斗根抱右薦狀來徵樂石之文余實不文而且馬氏文華以公同閈人爲耳目所感先述一文余復何言因之牢辭而終不獲敢按狀以畵葫如右莊周所譏楡枋之鳥圖南海爲可畏云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