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갑인년 이수창(李水昌) 표(標) 고문서-증빙류-수표 金學九 李水昌 高萬奉<着名>李正信<着名>申永圭<着名> 7課(적색, 5×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인년에 이수창으로 추정되는 표주가 김학구에게 채전을 갚기 위해 초가와 태전을 팔고 빚을 갚으면서 작성한 수표 이수창(李水昌)으로 추정되는 표주(標主)가 김학구(金學九)에게 작성해준 수표이다. 작성연대가 적혀있지 않고 수표를 작성한 표주도 적혀있지 않다. 붉은 인주로 일곱 군데 관인으로 보이는 도장이 날인되어 있으며 문서 우측에 이수창이라는 이름이 쓰여 있는데, 이것들을 통해 이 토지나 채전(債錢)을 둘러싸고 소송이 제기되어 관에 제출된 수표일수도 있으나 정확하지는 않다. 표주가 계축년 2월에 장교리(長橋里)에 사는 김학구에게 30냥을 얻어 쓰고, 1년 뒤인 갑인년 4월에 4냥을 갚았다. 그러나 남은 돈 26냥을 마련할 길이 없어 3칸짜리 초가집과 5마지기[斗落只]의 태전(太田)을 전문(錢文) 20냥을 받고 팔았다. 이 가운데 태전 값 3냥 2전은 태전문기 값으로 제하고 남은 돈 16냥 8전을 김학구에게 넘겨주었다는 내용이다. 훗날 장교리에 사는 김학구에게 만일 남은 빚이 있다고 하면 이 수표 1장을 가지고 관에 아뢰어 바로잡으라고 하였다. 이 수표에 대해 고만봉(高萬奉)과 이정신(李正信)이 증보(證保)로 참여하여 착명하였고, 신영규(申永圭)가 필집(筆執)으로 참여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신해년 김재환(金在煥) 수표(手標) 고문서-증빙류-수표 金再煥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해년 11월 18일에 김재환이 누군가에게 106냥 4전을 빌린 뒤 이를 갚지 못하여 다시 작성한 전당 수표 신해년 11월 18일에 김재환(金再煥)이 작성한 전당(典當) 수표(手標)이다. 김재환은 어느 댁으로부터 전문(錢文) 106냥 4전을 빌려 쓴 뒤 이를 갚지 못하여 다시 수표를 작성하게 되었다고 연유를 먼저 적었다. 매월 4분(分)의 이자율을 적용하고 기한은 내년 3월 말일로 하되, 이 기한을 넘기게 되면 전당물을 영구히 상대방에게 방매한다는 내용이다. 전당물이 무엇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99년 김택림(金澤臨)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光勳 金澤臨 金光勳<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324_001 1799년(정조23) 10월에 재종형 김광훈이 재종제 김택림에게 20마지기의 밭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 1799년(정조23) 10월에 재종형(再從兄) 김광훈(金光勳)이 재종제(再從弟) 김택림(金澤臨)에게 밭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이다. 김광훈은 자신이 매득한 밭이라고 소유 경위를 밝혔고 방매 경위는 이매(移買)하기 위해서, 즉 이곳을 팔아 다른 곳의 토지를 사기 위해서라고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부내(府內)의 남문(南門) 밖이고 자호는 치자(致字)이며,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20마지기[斗落只]이고 부수(負數)로는 20부이다. 거래가는 전문(錢文) 55냥이다. 이 매물의 본문기(本文記) 8장과 입지(立旨) 1장을 신문기와 함께 매수인에게 넘겨주며 영구히 방매한다는 내용이다. 관련문서인 본문기들을 통해 김광훈이 1774년에 신억복으로부터 매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特殊物品及祭用器具 一燭台鍮製簠簋籩豆圓箱酒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院規總則 一. 先賢敬慕朔望焚香擔當齋任厥明夙興盥洗具服看檢掃灑布席階下升自東階開門詭坐三上香仍下就席再拜還置香床於故處閉門斂席而出士林有請參拜則居齋人具巾服自左夾門引導布席階下再拜若請奉審仍升階上開門而入謹嚴循位退出閉門【若有服制不許參拜】一. 院宇嚴護 本院棟宇墻垣若有毁損卽爲修理還元事 院內栽植或有枯損補植依舊院內外常要淨潔灑掃兒童無常出入嚴禁一. 俎豆必謹 春秋享祀擧行祭需物品節次則必遵傳來所定規模若有天災時變則不得不省略事齋任各以齊明盛服敬誠入齋莫飮過量嚴禁喧華抗爭 俎豆之禮依於笏記陳設圖一. 儀禮遵守 三門日夜緊閉若有事時用左夾門出入者必具巾服事 入齋時必以孝悌忠臣修齊治平相規相交輕薄妄動浮華戱謔一切廢止齊任會以年次雍容肅正協議決行相互秩然一. 機關維持 本院之事情與時代之變遷若有不得已之故則以現實標準院長一人 代表統理任期二年 儒林中慕賢遵道特別名望人士總會公選掌議二人 院事議決協助慕賢盡誠士氣昻揚模範人士總會公選有司朔望焚香院事進展協力贊襄儒思想篤實人士總會公選右共任期二年別任有司 來孫中明於幹蠱者任經理一. 議事 會合人員不問多少在席人半數以上贊同議決成立一. 簿冊 享祀儀節 書院規禮 院任錄 祭官錄 會議錄奉審錄 器具及圖書目錄 穀物及現金收支簿 祭需貿易記 到記一. 擧案 以窓戶紙書順 歲次月日春【秋】享擧案初獻 亞獻 終獻 執禮 大祝陳設 司罇 奉爵 奠爵 奉香奉爐 贊引 贊謁一. 望帖書式望姓名本院何職歲次月日淸河書院 【印】封皮諸先生墓誌與行裝及歷代任員錄竝義捐諸記別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釋菜笏 謁者贊者贊引入自東門先就階間拜位皆再拜各就位謁者引首獻官以下俱就門外位行傅香禮謁者引首獻官詣神門之右跪受香傳香謁者引獻官復位贊引引祝及諸執事八就階間拜位再拜詣盥洗位盥手帨手各就位謁者贊者贊引引獻官八就階間拜位獻官皆再拜謁者進初獻官之左白有司謹具請行事行初獻禮謁者引初獻官詣盥洗位北向立盥手帨手引詣神位前跪三上香執幣獻幣俯伏興引詣尊所西向立執尊者擧羃酌山罍淸酒引詣神位前跪奉爵奠爵俯伏興小退跪祝東向跪讀祝俯伏興引降復位行亞獻禮贊者引亞獻官詣盥洗位北向立盥手帨手引識尊所西向立執尊者擧羃酌山罍淸酒引詣神位前跪奉爵奠爵俯伏興引降復位行終獻禮贊引引終獻官詣盥洗位北向立盥手帨手引詣尊所西向立執尊者擧羃酌山罍淸酒引詣神位前跪奉爵奠爵俯伏興引降復位獻官皆再拜祝進輟籩豆獻官皆再拜謁者引初獻詣飮福位執尊者以爵酌罍福酒祝進減神位前俎肉東向跪飮福受胙飮啐酌俯伏興詣望瘞位祝取祝板幣及黍稷飯置于坎置土半坎復位謁者進初獻官之左白禮畢獻官以次出祝及諸執事皆再拜以次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蘇秉洛) 淸河院建母山東全體規模舊制同栗谷淵源承往蹟沙溪學統繼來中悠悠遺德如晴日赫赫文章溯古風染世頹潮雖益甚敬虔崇慕限無窮 晉州后人蘇秉洛謹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金鎭變) 五賢道學出吾東俎豆苾芬虔奉同德合乾坤流動裏義幷日月照臨中挽回衰世扶頹俗喚起黎民感化風萬口頌聲追慕切斯文一脈永無窮 慶州后人金鎭變謹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李瑢哲) 兼全智德出吾東鄕里人人永慕同每事不求忠孝外百難何脫義仁中家聲淳厚芳千載門閥淸高亘古風雲裔仍孫承祖業江湖多士仰無窮 全義后人李瑢哲謹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朴永昌) 院號淸河聞海東彬彬士友意相同古來道義歸何處今以精神在此中母岳山高迎皓月三川水碧送淸風儒林景仰精禋奉先生休光永不窮 密陽后人朴永昌謹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列郡通文(48) 右通諭事竊惟我蘆沙奇先生以命世之文陶鑄人才無慮千百而其親炙成就之尤著者寒江先生金公諱正奎其一公以贍敏資加爲已學就質于師席凡天人性命之奧主敬率氣之妙無不講討宮商諧洽非餘人所可涯涘而其潛德懿行之孚於人者愈久不泯實學右文之傳於後者愈益徵信抑觀於松沙奇先生狀公文足見其槪矣夫以德業聞望若是其卓乎則後學崇報之典宜無差殊而高山建祠只配六君子而公則闕焉一方人士之齎恨久矣或曰老先生俎豆在在何嘗以高山未配爲欠典云是則不然公生於珍原之善洞密邇師門從容講服耳濡目染若家子弟然其聞道之久覿德之專不惟公之於先生鄕士之觀感於公者爲如何哉此而不擧何處可祀不觀法于此何矜式於他方惟願僉尊執事將此未遑之典急修縟儀使此公躋享于六君子之列則斯文幸甚乙未五月 日光州鄕校典敎李敎采 掌議朴禎圭 高光植 閔致安 奇羽燮 李石根【多士】奇近燮 朴吉源 安鍾漢 文顯模 金珍卿 鄭尙龜 李會春朴夏善 李浩敬 崔洙華 李敎台 金煕駿 金珍鉉 尹宗林朴夏炯 金炳潤 吳時根 鄭鳳來 梁仁默 李啓寧 高在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列郡通文(49) 右文爲敬告事恭惟我文簡公蘆沙奇先生百世師也生於聖遠敎弛之日明理學斥邪說以當一時之運高明俊傑之及門者非不多矣而若論其生於先生之鄕里五十年服事於昕夕密邇之地薰陶浹洽入骨髓洞肺肚者寒江先生金公諱正奎其庶幾也往年士林建高山書院妥享老先生從以及門六君子配食之此則二程之於濂溪祠黃蔡之於紫陽院儀例已久固知其有所受而但於當時士林遴選配位之時何照管之未周到而未及於金公耶公之造詣之崇深踐履之篤實有非末學所可窺測而就觀其師席奬詡同門撰述則充美發揮可質於神明而松沙先生推許之重若酹文若狀德章章較著當不待餘人之尙論矣鄙等人下不足與論於聞道而今當斯文重議不能糊塗而止敢擧梗槪仰告惟願僉尊執事使此金公從配于老先生無愧百世公議幸甚幸甚乙未五月 日南原鄕校典校李相儀 前典校盧秉仁 朴仲植 掌議權定奎 安昇燮姜奭煕 吳秉箕 朴炯涉 李莊儀 色掌金煦烈 金正德盧源泰 李萬器 崔成煕 元鍾贊 多士韓瓘錫 朴炳南房鎭爀 梁海龍 尹承鎬 邢道權 金永春 朴允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院畓管理條 一 院畓若干斗落地依前例使人耕作而院任逐年收其租以供祭饌事一 院畓租入院任掌理而別置簿記錄以備參考事一 現有院畓非天災時變罔或輕易換賣事一 時作人非有大過則無得變改事一 現有院畓玆錄爲案永年考據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40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韓義赫 韓義赫<着名>曺慶鉉<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40년(헌종6) 1월 20일에 유학 한의혁이 누군가에게 8마지기의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 1840년(헌종6) 1월 20일에 유학(幼學) 한의혁(韓義赫)이 누군가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이다. 한의혁은 자신이 매득한 것이라고 소유 경위를 밝혔고, 수년 동안 경작해오다가 이매(移買)하기 위해 방매한다고 사유를 적었다. 이매는 이 토지를 팔아서 다른 토지를 사는 것으로, 주로 원거리에 있어 경작에 어려움이 있어 이를 팔고 가까운 거리의 토지를 사들이는 행위이다. 매물의 소재지는 흥덕군(興德郡) 이동면(二東面) 용전평(龍田坪)이고 자호는 직자(職字)이며,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8마지기[斗落只] 수확량 기준으로는 31부(負)이다. 거래가는 전문(錢文) 110냥이고, 해당 토지의 구문기(舊文記)는 잃어버렸기 때문에 신문기(新文記) 1장만으로 거래가 이루어졌다. 유학 조경현(曺慶鉉)이 증인 겸 필집으로 이 거래에 참여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7년 노 원봉(元奉)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奴 秋月 奴 元奉 崔奴 秋月<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421_001 1877년(고종14) 7월 23일에 최노 추월이 신노 원봉에게 밭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 1877년(고종14) 7월 23일에 최씨의 사내종 추월(秋月)이 신생원댁(愼生員宅) 사내종 원봉(元奉)에게 밭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 명문이다. 최씨의 사내종 추월은 자신이 매득하여 수년동안 경작해오다가 올해 큰 흉년으로 인해 세금을 납부할 길이 없어 하는 수 없이 팔게 되었다고 방매 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장성군 북일면 시동백정촌(始冬百亭村) 앞 자지평(紫芝坪)이고 자호는 시자(始字)이며,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3말[斗] 5되지기[升落只], 수확량 기준으로 4복(卜) 9속(束)이다. 거래가가 쓰여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이전에 전당(典當)을 잡히고 돈을 가져다 썼다가 이를 갚지 못해 영구히 매수인의 차지로 한다는 의미로 문서를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1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成澣修 成澣修信 1顆(적색, 0.6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1년 3월 4일에 성한수가 성동면 연동리 소재 3군데 전답을 방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 계약문서 1911년 3월 4일에 성한수(成澣修)가 성동면(星洞面) 연동리(蒲洞里) 소재 3군데 전답을 방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매한 토지는 모두 논으로 중보평(中堡坪)에 있는 음자답(陰字畓), 방축평(方丑坪) 선자답(善字畓), 토조상평(土造上坪) 보자답(寶字畓) 3군데이며 모두 합해 21마지기이다. 가격은 전문 1,350냥이며, 매득자의 이름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2년 이승창(李承昌)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鍾湖 李承昌 李鍾湖信 1課(적색, 1.2cm)李承昌信 1課(적색, 1.2cm)李驥秀信 1課(적색, 1.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2년 12월에 이종호가 이승창에게 밭 1마지기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 계약문서 1912년 12월에 이종호(李鍾湖)가 이승창(李承昌)에게 창평군 대면 사창리에 있는 밭 1마지기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이 토지는 이종호가 매득하여 경작하던 것으로, 그는 부채상환을 위해 토지를 방매하게 되었다. 문기 말미에 매매대상 토지의 사표(四標)가 기록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焚香笏 贊引入自東門先就階間拜位再拜燃燭設香立於西階之西唱焚香官及諸生入自東門就階間拜位北向西上鞠躬再拜拜興拜興平身焚香官升自東階詣香卓南北向跪三上香俯伏興降復位鞠躬再拜拜興拜興平身焚香官及諸生出自東門贊引滅燭再拜以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講會笏 設書案一於北壁下案上置當講之冊白鹿洞規等【柱箇亦置于案左】設搢紳講長位於東壁下西向次設直講位於其南不屬坐又設齋任位於其南亦不屬坐設諸生位於西壁下東向使齋直遽告于各房曰升講各房儒生一齊至庭下講長直講及直月與諸齋任各以位次立東階下諸生以齒立西階下揖讓而升講長直講及直月與齋任在東壁【西向北上】諸生在西璧下【東向北上不盡則南壁北向西上】相揖升席坐使齋直持紙筆詣各位前受到記展置于直月座前講執事一人詣書案抗聲讀洞規訖興復位第一直月詣書案讀講書第一章【背臨講依規】訖興復位【執事就講名下輒書起止】第二直月以下以次講讀如上例齋任以次繼讀而末讀者讀訖以栍筒視數向直月告第幾興復位直月依栍數呼西壁當講人曰第幾當講人詣讀訖抽栍復位如上例講訖迭相論難將罷東西壁一齊相揖以次退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