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 月湖金濙植【彦陽人潭陽武貞面安平】天山自有著山天卦象分明卽豁然幾鍊篇中昭孔道邦侵戶外滿泰煙古松灑韻憐晴雨匣琴將嗚奈老年采采紫芝歌又詠濂溪風流此中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 松菴李容凡【全州人淳昌豐山面柳亭】七山自號一乾天誠意正心氣浩然領月春秋救藥物管雲早晩炊茶煙獨依士業輞川日幾閱友居盤谷年付此藤蘿書籍隱羨君遯窩首陽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28년 윤상흥(尹相興) 토지매매증서(土地賣買證書)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南禾壽 尹相興 南禾壽 1顆(적색,타원형,1.2cm)崔鉉東 1顆(적색,원형,1.2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8년 2월 15일에 남화수가 윤상흥에게 2마지기의 논을 134원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증서 1928년 2월 15일에 남화수(南禾壽)가 윤상흥(尹相興)에게 논을 매도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증서이다. 매매부동산의 소재지는 울진군(蔚珍郡) 원남면(遠南面) 매화리(梅花里) 거무곡(巨舞谷)이고, 지목은 답(畓), 면적은 2마지기[斗落只]이며, 매매대금은 134원이다. 이 토지에 대한 이전(移轉)과 분할 및 보존증명 비용을 매수인이 부담하기로 하며 훗날 피차간에 이의가 없기로 증서를 작성한다는 것을 약정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2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5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姜俊安 姜俊安<着名>張時洪<着名>姜秉文<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2년(고종29) 11월 6일에 강준안이 누군가에게 논 2마지기를 4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92년(고종29) 11월 6일에 강준안(姜俊安)이 누군가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강준안은 수년 동안 경작해오던 자신의 논을 긴요하게 쓸 곳이 생겨 부득이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서상림리(西上林里) 불당동(彿堂洞)이고 자호는 일자(日字),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2마지기[斗落只]이며 거래가는 전문 4냥이다. 이 논의 구문기(舊文記)도 신문기와 함께 매수인에게 넘겨주며 영구 방매하였다. 이 거래에 장싱홍(張時洪)이 증인으로, 강병문(姜秉文)이 필집으로 참여하여 각각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4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泰折 金瓊文<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4년(고종31) 3월 1일에 김태석이 누군가에게 논 1마지기 35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94년(고종31) 3월 1일에 김태석(金泰析)이 누군가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김태석은 자신이 기경(起耕)하여 수년 동안 경작해오던 논을 흉년을 당하여 살 방도가 어려워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분방상원(分房上員)이고 자호는 신자(新字), 면적은 구획상으로 4배미[夜味], 파종량 기준으로 1마지기[斗落只]이며, 거래가는 전문 35냥이다. 이 논의 구문기(舊文記) 1장은 전날 화재로 불타버렸기 때문에 이렇게 알도록 하라는 문구가 문서 말미에 덧붙였다. 훗날 구문기가 없는 것으로 인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4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7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全文永 全文永<着名>朴允化<着名>高光永<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4년 12월 말일에 전문영이 누군가에게 논 4마지기를 224냥 2전 5푼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904년 12월 말일에 전문영(全文永)이 누군가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전문영은 수년 동안 세를 받아오다가 부득이한 상황 때문에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고창군 오서면(五西面) 대천평(大川坪)이고 자호는 빈칸으로 두어 적지 않았으며,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4마지기[斗落只], 수확량 기준으로 17부(負) 8속(束)이며, 거래가는 전문(錢文) 224냥 2전 5푼이다. 이 논의 구문기(舊文記) 1장도 신문기(新文記)와 함께 매수인에게 넘겨주면서 영구 방매하였다. 이 거래에 박윤화(朴允化)가 증인으로, 고광영(高光永)이 필집으로 참여하여 각각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墓碣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知議政府事靖平公墓碣銘【竝序】 藥泉南九萬樗谷呂公諱稱字仲父捐館舍于今三百年流風綿邈其詳不可得而聞也然其踐履官職則有告身之傳錄者在我 太祖太王開國之年拜江原道觀察使 定宗大王二年拜兵曹典書 太宗大王四年拜東北面都巡問察理使兼都兵馬節度使七年拜開城府留後司留後十三年拜左軍都總制府都總制輿地勝覽咸陽郡人物云某官至知議政府事其人品政事則有巡問時敎書在略曰惟卿端方有守剛直不回練達於理而令望寔多緣飾以文而華聞夙播剖符宣化仗節觀風肆以承樞秩遂參議政之司歷試煩劇屢彰績不辱使命專對他邦是用授以巡問之權指以節制之略若其生年則無可攷其卒則 世宗大王五年有致祭文其褒嘉之辭略同巡問時敎書末又曰卿項以遲暮閑休于家者有年譜牒曰以開城留後退休本府後西江壓海亭而卒祖密直副使諱公係考膳官署令追封參知議政府事諱吉孫妣慶州薛氏三重大匡楊原君恂之女前夫人南陽洪氏无育後夫人彦陽金氏都觀察使受益之女男長稽佐郞次賚縣監女長適府使辛季參次適朴景武稽之子縣監宗肅自是後益熾而昌或以武進亦多文選曾孫判書自新玄孫節度使允哲仍父子著淸白並載國乘八代孫右尹裕吉觀察使祐吉都正裀吉九代孫參判爾徵判書爾載十代孫領議政聖齊掌令曾齊執義閔齊府使尹齊十一代孫承旨必容掌令必重正字必禧十二代孫司書光周方顯用於朝公之盛美雖不聞其詳今以燾後之慶可想劬躬之德嗚呼休哉墓在開城府大井里短表紀官號而已事蹟無述公墓下一墓相傳金夫人墓而無徵不能據以爲必然今必重誠深追遠大懼其愈久而愈昧將欲樹碣載辭示于後人一日謂余曰吾先祖之受命於東北也子之先祖龜亭忠景公送行有詩有俗難卽化德可移風之語可見其許與之分念舊德思先好託予以文字之役噫二公同寅共貞於王朝者遠在三百年前藐末後孫幸於今又修通家之義烏得無慼慼于心也余於此不敢以不文辭遂敍而銘之曰呂氏之先唐之萊人來東籍咸緣避巢氛譜牒所記始大將軍遙遙其緖世修以仁惟公挺生除會聖君出入中外贊襄經綸歷事四朝備承寵恩年至告老頤養丘園寬樂令終垂裕後昆餘慶悠長與國無垠載卿載公疊冕重軒沿流泝源實公忠勤篤于追遠日有玄孫刻文貞石以永其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玉圃許公墓碣銘【幷序】 瑞州鄭琦嘗月朝家稱南鄕鄕族講學之盛必以雪山之詩山許氏不屈第二指若玉圃居士諱林字士益其一也居士生秀異慧朗而莊重周詳而疏通識者多器之孝友天至未嘗有子弟過愼終追遠誠禮俱盡早謝功令而從事古人之學寧範我而不獲不爲之詭遇寧望道而不見不流於他岐而猶未足以自信徒步就正於松沙先生之門春秋大義性理微奧樂聞而尋繹之弗明弗措往復訂質殆十有六年且於國中諸長德均被獎勉而益加厲也遍遊名山水開豁胸衿悠然有浴沂之想焉自是信從日衆磨礪成就蔚爲文學淵藪其所著有論仁論道論陰陽及仁義禮智等箴數篇此可見公所造矣不幸年命局之僅四十六{竹/美}而歿其誰憾憾眞宰乎洪陵辛未及丙辰生卒年也葬再遷于玄亭後嶝向卯原許氏本鴐洛而派別詩山詩山君士文爲上祖歷麗迄我聯世顯達止齋斯文文壯校理子昆元進士始家雪山道峯繼亦進士與兄雪巖紹同學于河西金先生躋享于詠歸院曾大父蘅進士壽通政大父錫寬父進源俱有隱德母寧越辛氏在彦其父齊曰全州李監役演喆女育三男二女曰龍煥曰烈曰壯煥男也李丙亮張俊熙壻也曰基奭曰尹在根妻龍煥生曰基鎬基用曰李{火+州}燮梁彰根妻烈生曰基奉基禎金容朱妻壯煥生餘幼不名諸孤收拾遺唾以圖壽傳又將碣于墓以示後壯煥抱厥族黨白齋燮之狀求銘於余余與公闊嘗抱竝世不相熟之歎今豈不文而辭已銘曰早自好學就正不閑立雪鰲山宗訣與聞于嶠于湖履及殆遍退而授迪一門多彦期以夾持植得殘線才志未充遽忽九原有子拾緖死猶有傳孰謂其夭古人知言爰劚貞珉昭之千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心石申公墓碣銘【幷序】 全義李炳殷申君彦繩同門舊要袖其先君家狀遠來示余而曰公之沒久而墓無顯刻竊懼夫嘉言善行美蹟無傳乎後思所以不朽而老師宿德俱已古求可以銘莫吾文若請有以惠之也炳殷地卑學淺知不足以應以舊契則有不可辭者按公諱采均字學珍心石其號也平山之申高麗太師諱崇謙及朝鮮文僖公諱槩其顯祖諱義瀗諱梃號常春齋諱夏熙號學古堂其曾若祖禰妣慶州鄭永旼女公以 高宗辛未生氣宇英俊宅心溫厚篤於事親定省之節志物之養靡不用極及遭二艱哀毁過度殯葬及祭一從家禮每早起於祠於墓必展拜見人有過無厲色疾言據理開曉俾自新年七旬大人尙在堂無恙一日偶因事觸其怒笞之不痛公以大人無筯力遂涕泣不止嗚呼公之誠孝聞之使人莫不感動此足以傳之久遠況當此衰季而有所補者多 純宗壬午卒葬于玉果縣洪巨坪南麓未原配玉川趙氏父準浩甚有婦德生卒皆先公而墓同縣伏雉洞先塋右癸原男三女一長彦繩次彦準爲仲父源均后季彦矩壻全州李禎根聖澈賢澈明澈益澈慶州金鎭皥妻南陽洪錫淳妻長房出相澈允澈三澈詩山許鍾植妻咸陽吳海東妻季房出銘曰孝生於仁是曰大本本立道生古人至訓猗歟心石志確行篤以老萊舜彩之遐齡有伯兪泣笞之至德其餘百行不須枚擧令名無窮石不可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雪江金公燦植廣濟不忘碑 河東鄭淳黙君子不得爲政則願爲良醫蓋急於濟民也自世異其制或易其心上下惟利是趨未聞有濟人澤物之義者久矣今見金雪江燦植天賦慈良好醫藥濟人診治必誠所活殆千餘人不幸有死者則爲其診斷輒自費而往曰此雖吾業覬利於人死不忍爲也一皆不受例料使有喪之家不致奔走蹈窮之人不至窘祫遠近頌焉非急於濟人臨財不苟者烏能及此於是自本面至隣面隣郡之人士相與捐財將樹碑頌之且言曰惟此德善久登口碑鑱石刻詞不足增重而所以爲此者欲使貪者廉薄者敦有補於世敎也石旣具尸事諸員遣人要余言余樂聞而爲之說曰其濟人之功廉敦之德足以範世勵俗而諸員之慻慻於此者抑亦爲爲政爲医嗜利無恥者之戒吁皆可書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 竹隱李建浩【全州人玉果面智洞】後峯前嶂別開天望眼桃源去渺然嶺月高山遠市朝雲林深處落霞煙澗畔春秋松鶴客書中歲月芝蘿年從知遯窩至心理念世脫塵蹈海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 恥堂沈相福【靑松人慶甫山淸郡花溪】道理峯高玉水淸菟裘別業喜全成洞開天地中和氣琴抱軒羲上世情四畔煙霞留客供一林猿鶴入山盟古來賢達隨時好潦止宜思霽必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淸河祠朴梅圃朴聽流堂柳芝谷復享時以沙溪金先生爲主壁奉安文 淸河舊祠母岳之麓梅圃聽流堂爰及芝谷以三先生芬苾已伸以戊辰毁撤士林咨嗟今玆儒議復設沙溪先生事合主壁師弟同堂神人一理衆口同聲唯沙溪先生華陽正脈道如春雨誰敢多言梅圃朴先生昏朝廢母草疏詣闕适亂募兵胡亂亦如誓死擧義忠節昭著學問高明一鄕正論聽流堂朴先生梅圃之弟當光海廢母時抗疏詣闕堯舜孔孟爲己學力究太極性命之理篤行孝悌忠信經濟力量可佐王室芝谷柳先生師事陶菴儕流推重景廟甲辰疏陳完南李公之寃英廟戊申逆亂發檄致討於戱文元公敎化俱長親炙私淑配食有光次第奉安日吉之辰俎豆議定安棲無垠敢告其由是歆是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淸河祠朴梅山追配時奉安文 文元公沙溪金先生 伏以先生立志專確用力密篤玩索踐履交致其功德器渾成疇敢改評向者梅山朴公疏請先生從祀聖廟痛駁當時沮搪之輩若陳法從近侍之臣助成誣賢之論是乃春秋之大義士林定評乃者淸河祠以先生之門生梅圃聽流堂曁芝谷配食妥享今玆梅山同德臍食士議攸同迺諏吉辰玆用丁日敬薦明禋至誠式告勿替昭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陳設圖 陳設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洪鳳炫) 奐然文物母山東立敎先賢仰慕同守義千秋無失矩行仁百歲允執中追伸道德惟良俗紹設粢盛是善風重建新祠堂又潔斯文弘祚永無窮 南陽后人洪鳳炫謹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張容圭) 復元淸院母山東輪奐崢嶸舊廟同香火惟傳千載下絃歌不絶四時中趨庭禮服超今世搢笏儒冠繼古風俎豆精禋追慕裡仁鄕瑞日照無窮 仁同后人張容圭謹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金鍾珉) 書院復元豊沛東先生欽仰萬人同文章難忘千秋後德行能傳百世中谷邃雲林非俗界地靈水石帶淸風江湖諸士焚香處俎豆年年永不窮 金海后人金鍾珉謹稿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