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監役蓮谷許公墓碣銘【竝序】 族後孫基洪玉果治西武夷山下雲谷之洞有封四尺卽繕縫監役蓮谷許公及孺人草溪裵氏藏焉公諱緝字允承蓮谷其號也吾許本駕洛王子而屢傳至麗諱士文尙 麗太祖公主封詩山君仍貫焉曰尙書侍郞平章文景文肅公泰山君府院君爲麗大姓諱斯文入我 朝內而館府外而州牧有益稷之勳是五世祖也高祖諱昆元成均生員曾祖諱謙成均生員是入玉之祖祖諱叔賢司馬兩試考諱麟從仕郞妣靈光宋氏德配君子公生而潁悟甫上學能知事親之道定省之節出告反面見物歸獻乃其疏節而養志爲主與弟府使公友愛尤篤而雪巖道峯松陰爲從昆季友道極至稱許氏五君子溫潯性理文章才器可以黼黻王庭而一擧監役遽以不幸爲世道慨生卒月日曁文蹟入於夷燹育二男曰之孝之忠女曰梁山岌孫男曰廷仁長旁出曰廷彦二旁出曾玄不盡述一日也宗議齊發伐石表隨十代孫涉謀其兄沄緦兄永福以公行錄示余曰十世未遑及今有遑則子其記之否余逡巡辭曰吾門之能文鉅手不爲不多何必不文不德之基洪乎再三固辭而不獲乃刪略狀草而書之如右繼之以銘銘曰雪山高秀生此蓮翁文章才器黼黻王庭于嗟命矣未臻壽域假以數年足以鳴國懷抱在軀未試何傷雲谷之阡來百景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小溪梁公墓碣銘【幷序】 潭州田鎰健谷城玉果面洪巨坪北麓負癸原封四尺而穹然者故梁公諱相吉之葬也字仁仲號小溪生於 高宗辛巳三月二十四日卒於 純宗後丁酉八月二十一日壽七十七其先南原人高麗龍城君朱雲爲遠祖自是冠冕相繼至參知政事文仁公諱溢入 我朝有諱超大提學至靑溪先生諱大樸以忠義文德名於世而 贈諡忠壯是生慶遇 贈參議生振翮進士屢登剡薦累傳而諱世光聖珪鍾旭明淳高曾祖稱也公家世淸貧無資不能專攻學問勤苦躬稼而養親便身之物莫不畢給謹儉敦睦而正家閨門之內雍穆無間言母癠奇劇析天願代及喪紫毁幾危葬虞奠祭一遵禮制悶父孤踽求迎賢淑爲繼母孝事無異所生承順親意而析居貧無剩資力辦供給俾無匱乏父卒執喪哀禮俱極不以老衰有間及喪繼母亦如之先忌必齊沐端坐凝思所祭祀畢乃已鄕黨服其誠篤配密陽朴氏時欽女也育一男海得海得有子五人四女在洙在圭在京在鍾在先女適金海金在根餘幼不錄詩云孝子不匱永錫爾類公之後繩福釐將無窮艾矣世固有讀罷萬卷著書等身夷考其實則遺親後君破壤綱常者多出於此輩曷若不能學問葆全种襟朴素木訥而守身宜家之爲無戾於性天者耶子夏常稱斯人而曰雖曰未學吾必謂之學矣吾於此公亦敢云爾也海得伐石而將表其墓謁余銘其碣撮其槩而序之係以銘曰所貴學問資用治己不學而能豪傑之士簪裾傳世忠孝持家公實肖承師性不差洪巨之麓之士攸藏我銘昭示過者軾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參奉石圃沈公碑碣銘【幷序】 河東鄭鳳鉉垂恩於不報之所興哀於無用之地古聞其語今見其人乃石圃寢郞胤澤是也石圃略有土田許人耕作其入也人增其稅而我減其稅人高其斗而我平其斗其出也人幸價踊而我廉其價人務升削而我溢其升此其櫛也自少至老事事物物無非損己益人如可數之指不勝屈而僕不勝更矣是以宜若爲無量素封而無增進焉噫其眞仁人之心君子之行歟凡其庄舍所在皆樹穹石而頌之今玆役也兼只兩坊小作諸人尸其事金珪洙以余深知其實來徵文銘曰雪嶽于雲偉名與儔竹川羨源餘澤同流神之聽之祐其後人我銘昭之以詔千春君子丹衷曰義曰仁不謀不計惠澤及人欲海滔滔孰與爲儔鐫賁碣石曷云報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雙香堂金公墓碣銘【幷序】 高靈申景濬慶州之金系出新羅爲王者三十七世其國之始也如虞夏之揖遜終也如錢王之順命不以兵戈相爭殺傷人故受福厚子姓大繁衍爲外孫者殆盡一國 高麗顯宗以下諸王亦其外孫也敬順王之後散居諸郡皆爲望族冠冕舃赫世不絶有曰仁鏡官將相討契丹有功諡貞肅貞肅之孫一支盛于南原禮儀判書冲漢其始也麗之亡遯于南全節保身判書之孫一支盛于玉果公諱玖其顯也公之考曰熹勵節校尉祖曰士確別座曾祖曰鎰參奉外祖曰瑞山鄭俊外舅曰礪山宋曇掌令公筮仕以蔭卽爲習讀陞階通政以高年也公無意榮塗逍遙山水之間以自樂於草木愛菊與梅庭蒔之名其室曰雙香林白湖悌作詩與文以美之公卒於萬曆丁未享年八十九與夫人合窆于金堂山向南之原有男三人益修同知中樞府事克修生員得修直長女二人適鄭應鉉徐鍾祿益修之男弘濟壻李浚府使克修之男弘起弘任弘緖進士弘擧壻黃廷說縣令李文英沈之涉晉秀賓得修之男弘憲弘德壻徐日將男女孫曾玄以降以百數不可悉記盛矣哉金氏家藏文籍軼於兵火公之言行可傳於後者皆泯焉而玉果之老人咸曰雙香公吾鄕之宿德也睦於族厚於人鄕里之尊卑少長吉凶訊問必勤而曲盡其節可以範薄俗此只感其施於已者而記之也雖然吾嘗有得於大樹者其實散於四方而實之實而有栽者天必培之是理也與之年如彼其長錫之類如彼其繁使其墓享以芬苾累百年于玆私於公而祉之哉必有以也余故知公之有實德也是宜銘銘曰公之作善種德維天知之宜爾蟄蟄 公之淸操雅懷維菊與梅知之霜秋臘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2년 조윤주(趙允周) 삼림매도증서(森林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영수증 趙允周 李吉龍 趙允周信 2顆(적색, 원형, 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2년 2월 12일에 조윤주가 이길룡에게 순창군 소재 삼림을 매도하면서 작성한 매도증서 1922년 2월 12일에 조윤주(趙允周)가 이길룡(李吉龍)에게 순창군 소재 삼림을 매도하면서 작성한 매도증서이다. 매도한 삼림은 순창군(淳昌郡) 무림면(茂林面) 자양리(紫陽里) 뒷 기슭에 있다. 매도대금은 10원이며, 사표(四標)를 대신하여 상한(上限)과 하한, 동쪽과 서쪽 지형을 기록해 놓았다. 문기 끝에는 매매 대금을 받은 매도자 조윤주의 대금 수령 영수증이 쓰여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0년 최재풍(崔在豊) 토지매도증서(土地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영수증 崔在豊 李吉龍 崔在豊信 1顆(적색, 원형, 0.8cm)申判金 1顆(적색, 원형, 0.6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0년 3월 12일에 최재풍이 이길룡에게 순창군 소재 밭 69평을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 계약문서 1930년 3월 12일에 최재풍(崔在豊)이 이길룡(李吉龍)에게 순창군 소재 밭 69평을 방매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도증서이다. 매도한 토지는 순창군(淳昌郡) 무림면(茂林面) 자양리(紫陽里) 205번지이며, 지목은 밭이고 규모는 69평이다. 가격은 86원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무신년 사돈 언간(諺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미상 査 査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신년 12월 20일에 사돈에게 쓴 한글 편지 무신년 12월 20일에 사돈에게 한글로 쓴 편지이다. 아들이 무사히 도착하여 사돈의 편지를 양손에 받아 들고 읽으니, 사돈끼리 마주 보며 얘기하는 듯했다고 하였다. 사돈댁 식구의 안부를 두루 물은 뒤에 자신 또한 식구들 모두 무고함을 전하였다. 어린 아들의 길례[혼례]는 관대하신 사돈 덕택으로 무사히 치렀음을 감사해하였고, 예물로 보내는 것이 보잘것없음을 부끄러워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앞면어의예셔 긔다릴 ᄎᆞ 나의 ᄋᆡᄌᆞ 무ᄉᆞ이 득달ᄒᆞ오니 신〃 반긘 듕 겸ᄒᆞ와 다졍〃〃ᄒᆞ오신 만디졍ᄎᆞᆯ 밧ᄌᆞ와 양슈의 우어들고 탐〃 ᄉᆞᆯ피오니우리 ᄉᆞ돈긔리 친면언회온 닷 슈ᄒᆞ의 바리온이 허무 슈디ᄅᆞ ᄎᆞ시 일긔 고로디 못ᄒᆞ온ᄃᆡ만단 용염허오셔 긔텸ᄒᆞ이심 흔ᄒᆡᆼ이오며밧ᄉᆞ돈겨ᄋᆞᆸ셔도 긔후 안ᄉᆞᆼᄒᆞ오신잇가 졀무신 ᄉᆞ돈겨ᄋᆞᆸ셔도 외ᄂᆡ분 시젼 평안ᄒᆞ시며 쳔금 서ᄌᆞ씨겨ᄋᆞᆸ셔도 츙흥ᄃᆞ식ᄒᆞ시며 ᄃᆡᄃᆡᆨ이나슈ᄃᆞ 쇼ᄃᆡᆨ들 ᄎᆞ간은 일향 평슌들 ᄒᆞᄋᆞᆸ 긴일 다ᄒᆡᆼᄉᆞᆸ 이곳슨 별고ᄂᆞᆫ 업고 연이나 즁당분겨ᄋᆞᆸ셔도 낙일 갓ᄉᆞ오신 글역 안영ᄒᆞ시이고 션우ᄃᆡ덕ᄉᆞᆸ고 ᄎᆞᄌᆞ는 ᄉᆞᆷ남ᄆᆡ 무양ᄃᆞ식ᄒᆞ니 어엿부ᄋᆞᆸ 시슉겨옵셔 어졔 인마 거ᄂᆞ리시고 무ᄉᆞ이 ᄒᆡᆼᄎᆞᄒᆞ시며 질부 극현ᄒᆞ오신 말ᄉᆞᆷ 물ᄋᆡ디졍의게 제ᄉᆞᆷ 다ᄌᆞᆼᄒᆞ이 이이엿 ᄌᆞ식을 두고 평일 고망ᄒᆞ며 ᄒᆞᄂᆞ리 오히려 낫ᄎᆞᆸ겨 바ᄅᆞ여 동가의밀막고 져가의 제양ᄒᆞ며 져와 갓튼 강을 일흐려 ᄒᆞᄋᆞᆸ든쇼망의 업ᄉᆞ온ᄃᆡ 일문 경ᄉᆞ 이밧 ᄯᅩ 잇ᄉᆞᄂᆞ릿가마ᄂᆞᆫ인유의 비치 못ᄒᆞᆯ 인ᄉᆡᆼ 일히일비과 늣거옴은 층양업ᄉᆞᆸ 구ᄉᆞᆼ유취 어린 거시 ᄉᆞ돈의 관ᄃᆡᄒᆞ심을 입ᄉᆞ와 길에 슌셩ᄒᆞᄋᆞᆸ고 드ᄅᆞ와 상긔 바량ᄒᆞ오니 앙증ᄃᆞ어엿분 ᄌᆞ졍 샹슈의 부족이ᄋᆞᆸ 등녹듀ᄂᆞᆫ 에물 명ᄉᆡᆨ은 업ᄉᆞ오니 우리 ᄋᆡ부신 졍의ᄂᆞ 좌인 쳠시의뒷면무렴 무ᄉᆡᆨᄒᆞᄋᆞᆸ 무엇ᄒᆞ시려 쳥빈가ᄉᆞᆫ의 과도이염여ᄒᆞ신 일 드르혀 부란ᄒᆞᄋᆞᆸ 알욀 말ᄉᆞᆷ심ᄉᆞᆫ녹슈이오나 급〃이 간극치오니 눌너 ᄉᆞᆯ피시고 이후 ᄂᆡ〃 안ᄉᆞᆼ 소식 바ᄅᆞ옵ᄂᆞ이ᄃᆞ무신 납월 염일 ᄉᆞ돈 ■ 상ᄌᆞ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卷之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鄕校重修記 粤 英宗丙子移建鄕校於今址蓋爲邑中章甫興文學闡科第計選風水說爲久遠慮也於今四十年凡雨漏風打不卽修葺內自祭器庫神門半已傾頹其明倫堂東西齋房殆不支數年外而齋庖庫舍亦皆敗瓦朽苫現在執綱將謀修改財力不贍恐或遲延下齋之數人等嘗謁于余而願重修鄕校余喜許而卜日以告執綱於是伐木取瓦斵者尺者圬者墁者次第執事浹朔竣功曩之欹者正壞者完大小無缺井井可觀儒生之有功於聖廟吁其大矣雖然若非執綱之用意勤摯烏能成此茂功也哉正宗二十一年丙辰臘監務魏伯珪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月巖亭上梁文 全義李炳殷慇然東林月愛無眼於長宵節彼南山巖靜可捿而卒歲此有一區勝地邦無數間高亭取之無禁作其如意竊聞是亭主人光山華族錦州故鄕忠孝之傳家肇自羅麗而舊文武以繼世誰敵光金于今累歷華要官止堂上參議早謝榮利歸作山中宰相巖榭不可離好是窓間明月山林何所有怡彼嶺上白雲身已沒亭已墟忽驚滄桑翻覆月亦改歲亦換豈無人世變遷爾迺後裔僉同卽是重建始作基礎非舊規模尙無減前時棟宇維新杖履更如睹今日宗族齊會亦可讌享春秋廳室俱存足以耐盡寒暑此皆先世積德累仁之餘庥豈獨諸公同心竭力之所致玆擧脩梁用唱六偉抛梁東月山明月照窓中因思與月長終計萬事人間俱啞聾抛梁西斜陽芳草路高低樵歌牧笛從何起雪峀蒼蒼望眼迷抛梁南雙雙賀燕語喃喃微禽猶識舊時主自去自來喜不堪抛梁北鶉子大江流不息皓月虛汀蘆荻秋漁舟一葉聲聲笛抛梁上北闕懸心誠不放至死終難答聖恩每依北斗祝無恙抛梁下稻稌秋熟遍田野樽酒粢盛豊且潔祭餘醉飽衷情瀉惟願上梁之後山川增彩風月無邊繼爾家聲永世絃歌勿替承其先志隨時修葺益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天山齋上梁文 白齋許燮百年柴門逈聊占古寺之久墟一日茅棟成玆揭天山之肇錫澗流而滌山圍而深惟余主人天愚如舊人棄如今五歲而孤內受慈母義方之敎七尺而長外蒙季父猶愛之恩不然與草木同歸未知置身於何地所以向聖賢欲學敢言留心於先天用力不能百千學業無進而有退行年倏然至五九顔髮欲老而先衰況乃箕彊明夷哀我之無國滄海未濟余民之不家倫綱已頹父子兄弟夫婦貿貿乎失其職變怪乃極何梟獍豺狼狗彘揚揚乎肆其凶奚但耳目之不欲見聞且乃手足之無所運用已矣違觀國之慶殆哉迫剝床之災口則期遵古廟之金人坐則願學明道之泥塑雖欲隱於市居於肆鼎俎未能況難浮于海入於河鼓磬方昧和靖處士三畏堂曷不念哉凍水先生獨樂園是所願也故欲入深山居也肆乃以營室作之路縈廻而如矢如弓踰去則士里地寬閑而有階有礎傳來曰佛堂谷接老嫗倘有詩而從問峯屹國士盍遇禮而加隆安心則何求必不出門前四五步容膝則乃已又安得廣厦千萬間安樂邵衰夫之窩在玆乎讀書李公擇之房如是否尊攘惟義戒勿失乎皮裡春秋是非何關樂無忘乎心上日月門前欲栽潯陽之柳洞口又種武陵之桃供辭先騰修梁載擧抛梁東道峯西立闢於東東望海門何處是千載堪憶魯連風抛梁西鳳山南屹轉於西採採人歸薇不老祗今誰識古夷齊抛梁南天嶺北馳重鎭南時子莫歌招隱操秋風桂樹愛之甘抛梁北東出通明雪捍北呵寒且莫出門歸無恙林泉是樂國抛梁上昊天仁愛覆於上大冬草木多零殘倘見陽春雨露養抛梁下三千大地載於下惟我生靈居息安敢稱厚德罔知謝伏願上梁之後講道不轍樂志自安天地貞觀日月貞明繫辭之傳可玩風雨攸除鳥鼠攸去斯于之詩是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松坡亭記 咸陽呂昌鉉亭曰松坡以亭上主人翁之號而名其亭者也曷云松坡以所居松江而愛其松之後凋也愛之欲其多矣今坡上之松未見其鬱然成林而里也亭也號也皆於是焉亦有說矣陶公賦與詩皆云孤松之貴於特也植物之惟松能接續生理故能葆歲寒挻然獨立不與重草木同其萎黃如君子戰兢臨履堅貞匪懈故能葆晩節不隨衆人委靡翁其有見乎此取而表之歟然則萬松不爲多一松不爲少心上之松固已堅貞則雖無松可也見今時象如頹波之無坊堤翁能不墜先業不俯仰於世濯磨澡雪其貞姿也濟人利物其家法也晩又結亭於屋後爽塏不植凡卉惟氣節之近似者是愛時二仲可與賦採薇而滄浪出門而稻參連陌入室而灑酒盈樽逍遙自適不知老之將至人間逸樂其在斯乎抑有能子善孫前後承順不犯時戒翁之門蓋未艾也余於翁相知悉矣今記亭也取淵明詩賦之意敷演之者以淵明之節義相勗於歲寒翁亦不以我爲顔延之故請爲記若起亭源委暮朝異狀翁之敍述已殫玆不疊床翁爲誰寧越辛氏龍善其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竹坡亭記 南齋李鍾錫光山題其燕寢曰竹坡自虛其心自直其節不可一日無此君則待乎已者以此而亦以此待乎人待已待人之道無以加焉然則有斐君子非子伊誰耶令人可誦淇澳三章於光山子之門而終不可諼矣蓋士之不遇也隱居求志攬物托趣固不一而必以園中猗猗者自號焉自況焉特取其有似乎君子也由是而竹須於人人須於竹人與竹俱是君子則人果竹歟竹果人歟大冬天地衆芳搖落惟竹不變蒼然挻然虐雪饕風莫能痒其節此非見知於君子而相須者耶如是而後人果竹可也竹果人可也光山子家於雪山課忠責孝灑然紛萃泊如也淸風之朝明月之夕彈琴長嘯瑟瑟然淸韻來助不知人之在竹竹之在人人將瞻彼雪山菉竹猗猗則何不作雪山三章而頌之也歟余將他日膏車東馳相揖於鳳翮龍身之間讀養一篇然後起發其餘蘊也否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孺人淸州韓氏紀行碑 光山金文鈺余嘗以蹇淺之文爲人作碑誌多矣非平日所與相習則敍其行治每懼有溢美焉獨婦人之守寡能貞養孤立家爲其鄕里所誦者恒懼筆不能揄揚使其美或掩翳而不得傳以是固生人之至艱女婦之大節在世道爲必可表而章也玉果近有淸州韓孺人爲金海金相烈妻者自歸金氏生一男驥炫夫遽夭孺人時年二十四崩迫欲自絶以舅姑老且病幼孤且可念不果勤績治生縷積才累得以養有旨祭有羞子亦賴其敎爲善人當是時鄕人之老而哭子者聞韓氏而庶幾己之婦亦有是也則賴而勿悲幼而無父者聞韓氏而庶幾己之母亦有是也則賴而自慰少而晝哭者見韓氏之能不以其身爲憂而以其家爲任則感而知奮一婦人而其風於鄕邦者大矣是以鄕里屢褒而賞之及孺人以年八十一沒於十月四日則一生能事畢矣驥炫慕孺人久且未衰謀劚珉載其行令過其宅里者知昔有賢母如此未果逝去其子在弘繼志克終是可謂賢父肖子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慕灘吳公紀蹟碑 全義李炳殷孝爲百行之首人苟有其實者鄕庠之褒揚貞珉之紀蹟其於扶頹綱厚薄俗曷云少也哉故海州吳公仁澤諱洪泳慕灘其別號也上祖高麗檢校軍監諱仁裕 本朝楸灘諱允謙諡忠貞公於公卽十三世也高祖通政諱泰化曾祖永樂齋諱廷秀有行誼諱在黙諱哲善祖若考妣海州崔氏錫鍾女公自幼孝誠天植供養甚誠雖在外見兩親所嗜物若爲可玩資者必求而懷歸每唯喏之際必以柔色婉容爲務兩親悅之聲譽籍籍隣里卄六失怙哀痛如不欲生三年如禮事其母也愛敬之如我獨有而適口適體之物不待所須而備進定省之節不以家累而暫懈一日病委席數月難醫公至誠祝天果得蘇完享得天年而卒而公攀擗不食極盡喪禮前殞命數日而臥不有言公卽斫兩指又以股血連注口母忽言汝飼我何物味甚淸新矣汝誠極嘉而吾命有定某時逝卒如言公居前後喪生時所嗜物必薦之几筵朔望之省墓不以雨雪廢不以老衰懈病時汲井設席曉天望拜嘗正月朔旦率弟省墓忽有虎來作肢倆終至護出大路後又送止峙上士林爭薦其孝又有賞賜至于今誦之不已公又殖財恤貪面有施惠碑購書多藏以資子弟之學嗚呼公大本旣立百行萬事皆可推己配密陽朴氏生二男二女琪根師艮齋田先生未究學而夭次瑢根壻權熙萬申在休繼娶金海金氏生圭根宇根東根漢根壻李成孝內外孫男若干人瑢根將以碑紀蹟介嚴斯文命燮要序其事余雖老耄懿性所存不忍却之據來狀書之以繼又銘曰嘻噫近日習俗短其喪火其葬生我劬勞之恩德何忍一時暫忘獨不聞慕灘翁斫指割股延生父母恩大天地不期爲而自行又不聞省墓路虎自來而護前苟孝誠之卓然異物猶有感焉況以人不如獸彼何獨無感數尺石樹閭里永世視以爲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小村暮雪 農隱許相琭耽勝能耐寒開戶萬像觀樹樹花容好枝枝風勢安村程纔行出江天獨釣難群鴉飛不得愁坐暮林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次三九亭韻 雲沙呂昌鉉龍澗西山鵲峀東永年別業趣相同花{田+耎}日暖人携酒松圃雲深鶴唳風莫把耦音加額面會看陽德出陰中聊知靈界休祥集留待王春照不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 梅汀朱來植三九亭高雪岳東靈區佳景四時同文章齊會蘇仙局筆墨勝飛晉代風簾外溪聲明月下欄頭山色白雲中永和修契何斯勝秋菊春蘭興無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 潛溪呂圭魯亭榭超然在澗東唳觴修契古今同北牕醉臥淵明世南郭淸遊靈運風濟濟衣冠層檻上冷冷琴調綠陰中滄桑大界何時定回首南望意不窮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