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列郡通文(44) 右通告事有國建社稷設宗廟帝王家創業之初建聖廟設俎豆後學者尊道之始有院有祠粢盛以祭乃慕賢而 朝有賢臣從配宗廟慕忠思功也道有賢哲追配聖殿溯源嫡傳而以祠以配道德以光亦追躋也然則高山祠卽蘆沙奇先生妥靈之所也有若難窩吳公乃名門肖孫天稟異凡非徒濡染家庭至被先生薰陶之沐漸覺道德之大矣先生初以敎白圭磨斯言不可爲則一聽眷眷乎服膺而勿失是南容三復之志也言行謹愼從而知矣若夫子在則有發美之歎矣又敎以魯論先難後獲之說則敬受是訓書紳以佩今日行一難明日行一難至於作詩而進吳公之學孜孜然有日新之就先生極其奬許公歿後先生之孫松沙公題其墓文曰先子門徒菀然爲先進高足者吳公一人云然則沈潛之學可謂得師門之宗旨耶孔門弟子不爲不多而只擧七十子各得夫子之道脈也蘆門弟子不爲不多而只擧八九公同得先生之學源也盛矣吳公實非鄙等之誣也則惟願僉尊使此吳公配于先生無愧於百世公議幸甚右敬通于高山祠僉尊座下己巳四月 日 南原養士齋儒會所發文黃 瑜 尹秉直 許 柄 邊鴻燮 梁鼎謨 鄭雲箕盧地鉉 尹秉七 主事金在漢 進士朴海龍 蘇斗烈李鶴溶 幼學安楨燮 李秉烈 崔炳祜 陳秉周 張宇銓房大源 李康潤 宋圭喆 晉慶夏 黃鶴顯 柳永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文廟重葺記 蓋聞文翁之化益部禮殿斯開何公之按楊州學宮先卽而今日之可法在前古之足徵余以樗櫟散材蒲柳衰質職猥忝於玉邑恩猶溢於銅章徒切養士之心多受曠官之責夫何金火遞遷風雨飄搖奠菜之兩楹朽豈數尺藏書之古壁濕曾交愁況羲象之尊籩豆之器破損已久改補尙遲奚特章甫之翫揭哉抑亦守宰之泛忽也迺與二三同志之人詢謀經營民無箕會匠告畢功文物彬彬而漸明儀典井井而不紊濟濟韋布折旋幷來洋洋絃歌和應相續從後繼葺念昔遠圖高宗三十五年戊戌八月下澣知郡李敎承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鄕校重修記 始于承之莅郡也以故事謁郡 聖廟繼見于故雪山之廟視其殿堂門廡庫庖服器之藏悉皆壞漏傾斜殆不可支也予是之悼揖有司而進之曰廟圮若是予當出享祀之羨君則可徧告多士而足之乃以今年暮春始功踰月告訖於是乎壞者漏者傾者斜者無不一朝改觀矣嗚呼是廟也曾不與郡俱廢而尊俎如故秋毫皆多士之力而及今日共力葺新亦豈非多士是賴耶學田旣復廟貌重鞏從今領護多士其省力矣哉多士請文以識之余嘉其力記此顚末以告後來云歲乙丑四月下休知郡兪鎭昌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倡義祠春秋兩丁退隱梁公文 剛齋宋稚圭孝著于家忠篤于國謝世嘉遯林泉薖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玄石金先生遺稿序 德水李荇不佞自十餘歲時飽聞玄石先生之行誼心竊艶慕之又於先生玄孫愛日亭珍氏所得見玄石集一卷而幼不能會其深意只記一兩句語及年稍長則令弟琛氏已歿而書亦失所在每以不得復見爲恨歲乙丑春金君珍氏袖一編詩來曰此吾祖玄石先生遺稿也先生文集不止此而中遭鬱攸災失之諸士人家或有弆藏者而迄未得其全此則其賸馥之播在人口族人就善所裒稡者也就鍊欲藏之巾衍以寓羹墻之慕願得一言以永其傳不佞辭以不文獨喜前日不得復見者得見於今日幸孰大於是亟受而讀之不覺昏開而老膝跪旣卒業迺謂金君曰若無恨此篇於少也知其味一臠足矣何必盡一鼎哉今觀其詩意趣溫雅聲韻淸婉無一點塵累眞有德行君子之言誦其詩不知其人可乎或者以先生志行若是而終無俎豆之享爲先生慨然先生曾不以爵祿動其心隱居溪山漁樵自娛蒲輪之命屢至而終辭則亦旣遯世而旡憫矣奚復以庚桑子之所不釋然者爲先生輕重乎哉噫先生誠孝能感曠賊之心而世遠蹟堙歿歿無傳遂令城南一片石同歸於紛紛棹楔間不能表出而揄揚之以警偸窳之俗晩年隱居之志亦足以立懦廉頑然又遂泯滅而無識者使後學無以矜式而興起焉則又不得不慨然於是也又曰敭先德亦孝思之推也然非其人則反累焉今君有祖如先生而又有遺稿之足徵則有先德之敭夫誰曰不可而其言必藉當世望士以重僕則何敢金君固請不已乃敍平日慕仰之意以爲乘韋之光欲使後來君子繼而張之也【右敍出於後孫湖史基泰家藏而遺稿則逸而無傳惜乎惜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蒙庵記 咸陽呂昌鉉辛居士魯源自號蒙庵蓋曰寓跡山水欲其不囿於世而考其所言所以則規模節度似有見乎作聖之工而無放浪馳鶩底意不可以自道之言槩之也今居士樵山而歌漁水而樂見之者以是爲蒙庵勤於敎授音讀鴻暢聽之者以是爲蒙庵博涉堪輿尺山度水或者以是擬諸而是皆不知居士者也其設心以爲吾之知靡有攸定吾之行靡有所向類之則泉之始出於山而未能行是吾顓蒙之象乃顔而自警於一念之未發一行之未著欲其戒愼恐懼勿忘勿助長雖有可觀於已發已著而果決之育養之是則蒙庵也已矣夫如是則於作聖之工已見大意而所可勗者此事不可一時存諸而無後日亦不可一日存諸而無後月積累久之則豈止於今日之蒙必有所見別而豊盛之功將有不勝其用矣以是爲蒙庵記足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三九亭記 咸陽呂昌鉉三三月九九月亭以三九名誌會同於三九也亭可無時不登而會同必於三九取陽數也陽數不止三九而擧三九則一五七無不在焉三三其一九九其一三九各一一無不在自三至九從九反三損三九則五加三九則七三九之該陽數審矣然造化發育奇耦相生陰陽迭運乃獨取陽數焉爲貴何也蓋天地之生萬物一而已聖人之應萬事直而已陽變陰合非一不能靜存動察非直有間一故不已直故無僞其專其圻象之寓也其舒其縮道之生也光明正大疏暢通達陽也幽闇委靡詖淫邪遁陰也聖人觀盛衰消長之機扶陽抑陰參贊化育其旨深矣自世敎衰賢人在野在野則窮縮憂愁之怨生窮縮憂愁陰之象也以陽類而處陰安能召天地之和氣余與同志築一亭於鵲山下琴坪溪流吟龍星巒峙鵠幽靚爽朗奧曠兼宜望之若窮陰之野陽德昭著之象朝夕登臨吟風美月春秋會同修契講信要將歌詠於斯疎暢堙鬱尋陽界眞樂講前人之成規挽鄕風之頹綱馴致於君子道長小人道消共躋光明正大疎暢通達之域亦或可知不可謂非我輩所與而讓與別人做也始役於己亥秋斷手於庚子肇夏將落之日或難之曰未爲君子而入此亭殆不可曰否欲爲君子此心便是陽類一念之善一事之正何嘗非陽之類乎遂書此以共勗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61년 김맹호(金孟好)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斗碩 金孟好 金斗碩<着名>金斗載<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71년 3월 21일에 김맹호가 김두석으로부터 1마지기의 논을 매입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771년 3월 21일에 김맹호(金孟好)가 김두석(金斗碩)으로부터 논을 매입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김두석은 자신의 매부(妹夫)인 정남채(丁南彩)로부터 자신이 매득하여 소유하게 되었다고 경위를 밝혔다. 매물의 소재지는 신덕원(德新員)이고 자호는 견자(堅字), 지번은 48답, 면적은 수확량 기준으로 5부(負) 8속(束)이고 파종량 기준으로는 시종(時種) 1마지기[斗落只]이며, 거래가는 전문(錢文) 17냥이다. 김두석의 동생인 김두재(金斗載)가 필집(筆執)으로 이 거래에 참여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7년 김백순(金栢淳)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2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安均賢 金栢淳 安均賢<着名>安一文<着名>安啓默<着名>安仲辰<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351_001 1907년 12월 21일에 김백순이 안균현과 안일문으로부터 산지를 매입하면서 작성한 산지매매명문 1907년 12월 21일에 김백순(金栢淳)이 안균현(安均賢)과 안일문(安一文)으로부터 산지를 매입하면서 작성한 산지매매명문이다. 안균현은 자신의 선산 터를 여러 대에 걸쳐 산지기[山直]를 두고 금양(禁養)해 왔는데 사는 형편이 어려워진 가운데 송비(頌費)로 지게 된 빚을 청산하지 못하여 하는 수 없이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산지의 소재지는 이로면(二老面) 자봉산(紫鳳山)이고 자봉산 아래 덕정(德亭) 뒤쪽 산기슭을 전문(錢文) 150냥을 받고 김백순에게 영구히 방매하는 내용이다. 산지의 동서남북 사방 경계를 자세하게 기술하였는데, 동쪽은 과협처(過峽處)로 넘어가는 길을 한계로 하고, 남쪽은 최가의 무덤 용미(龍尾) 위쪽의 야트막한 언덕을 한계로 하며, 서쪽은 김가의 무덤 뒤로부터 시등(市嶝) 뒤쪽 밭 위까지를 한계로 하고 북쪽으로 연접해 있는 밭 위로부터 돌아서 과협처를 넘어가는 길까지를 한계로 하는 한 국내(局內)이다. 이 거래에 문장(門長)인 안계묵(安啓黙)이 참여하고 증인으로 안중진(安仲辰)이 참여하여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기유년 김성보(金成甫) 수기(手記) 고문서-증빙류-수기 金成甫 金成甫<着名>李宗伯<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유년 8월 14일에 김성보가 누군가로부터 돈을 빌리고 대신 기물을 만들어 갚기로 약속하는 내용의 수기 기유년 8월 14일에 김성보(金成甫)가 누군가에게 작성해준 수기이다. 김성보는 긴급하게 쓸 곳이 있어서 어느 댁에 돈 30냥으로 대삽(大鍤) 하나를 같은 값에 얻어 쓰되 오는 11월 말일 안에 기물을 완성하여 갚겠다고 하였고, 만일 하나라도 완성하지 못한 기물이 있으면 환퇴하여 추심하겠다는 내용이다. 이종백(李宗伯)이 증인 겸 필집으로 문서를 작성하고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道統源流圖 道統源流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鄕飮禮圖 鄕飮禮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相揖禮圖 相揖禮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卷之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校宮位置 大成殿三間中安五聖東西壁配宋朝四賢東方十八賢內三門三間明倫堂二層五間在大成殿之南講學明倫之所東齋三間在明倫堂之右齋任及諸儒林止宿之所西齋三間在明倫堂之左【今無】育英齋【一名養士齋】在鄕校西我 朝中葉自鄕中別置田土歲定鄕秀子弟居之式年擧子每員旅費及紙筆墨價劃有定數 高宗甲午以後廢田土則屬于校中典祀室三間在西齋後【今無】藏板庫一間【今無】祭器庫一間【今無】庫舍三間【今無】庫直舍五間在明倫堂之西校僕輩居之紅楔門在明倫之北【今無】下馬碑在明倫堂之東外三門三間在明倫堂北書冊【七書外禮記朱子大全綱目性里大全通鑑纂要三綱錄馬史心經晦齋實記存齋集其他類合三百二十五卷】儒班【齋長一掌議二色掌二有司一直員一掌議三色掌二庫直一】垈地【一千五百二十一坪】田畓【田一千六百四坪畓二萬九千八百十六坪皆屬于財團】尊聖契畓【一千一百六十四坪】玉果里一四의二林二千七百八十三坪○玉果里四○六林二八二九步○雪玉里二八三林六七○○○步○玉果面水里六五八畓一○八三坪祀典【凡祭祀之禮天神曰祀地祇曰祭人鬼曰享文宣王曰釋菜】每歲仲春仲秋上丁日釋菜先告事由【丑初二刻四更一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釋典儀 【釋奠儀見朱子書○唐太宗親行釋菜其時用仲月以四時之正其日用丁以文明之盛也雪山之象寓於尊罍以吾道與天地同體奇偶之數形於籩豆以吾道與陰陽同用也釋奠所以致其厚故合樂而興樂釋菜所以致其薄故興樂而不樂酒必以玄所以致其虔而幣必以白所以致其質也蓋孔子之道猶元氣流行兩間成小成大所以合其禮者如此其備也迎神奏咸和之曲奠幣奏寧和之曲初獻奏安和之曲亞獻奏景和之曲終獻奏咸和之曲送神望瘞同奏咸和之曲隨以四仲月上丁行釋奠州郡則以春秋仲月釋奠明洪武三年更定釋奠祭物祭器成化年間以侍郞周弘謨言加八佾古者士之見師以菜爲質故始入學者必釋菜以禮其先師○出王纂醴齊一日之酒盎齊三日之酒淸酒五日之酒○出字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齊戒 前祀三日諸祀官幷散齊二日宿於正寢致齊一日於祀所凡齊官散齊治事如故惟不縱酒不茹葷不弔喪問疾不聽樂不行刑不判刑殺文書不預穢惡事惟行祭事前祭二日皆沐浴更衣川祭一日質明赴祭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藍田呂氏鄕約 德業相勸過失相規禮俗相交患難相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本校記文 竊惟本校創設時禮成文字累次重修記文及移建上樑祝記文逸於兵燹而今收其存者錄在下方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