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觀碧亭原韻 蘭圃金在宇龍沼巖頭結小亭煙濃庭際月濃局垂釣常思嚴子趣擧盃方覺屈原醒風淸松塢蕭蕭響春入花壇灼灼形恨未一生賓接厚傍人空讚老來寧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次安義士崇慕碑韻 暘谷許燖殲厥邦讐勢轉淸芳年三二獨仁成孤忠直節驚人世靑史應傳萬古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同郡守與校任遊百濟古都 晩悔金鎭浩看盡扶餘是勝邱士人於此滌塵愁落花歷歷巖猶碧白馬依依水自悠路入古都宜暇日臺高望月感前秋斜陽浮笛同歸處太守淸風放小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李成熙) 復元書院沛城東棟宇新成舊制同俎豆薰香五位際精靈陟降瑞雲中軒窓每照仁山月楹檻長吹智水風後學敬虔追仰慕淸河懸額耀無窮 慶州后人李成熙謹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朴斗燁) 大洋波浪激吾東建宇斯時孰與同地穩凰巢懷抱裡里仁麟月照臨中可欽華閥崇先業仍昨人間復古風香火春秋追仰慕講明吾道永無窮 咸陽后人朴斗燁謹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宴飮笏 會日早朝開廟門灑掃設香爐香盒具燭臺布席于廟庭設席于講堂及階上司饌陳器具饌時到鳴鼓賓贊引上賓以下立於門外東向北上主贊引主人【直講】及掌色直月諸執事出門外西向南上主人與上賓相向立主人揖上賓報揖引主人入門右掌議以下隨入引上實八門左衆賓隨八引主人以下立於神門外西向北上引上賓以下立於神門外東向北上主人揖上賓答引主人以下八自東門引上賓以下八自西門引主人以下立於東庭北面重行西上引上賓以下立於西庭北面重行東上執事者燃燭賓主以下皆再拜引主人升自東階詣神位前北向跪三上香引降復位與在位者皆再拜撤燭闔廟門引主人以下出自東門引上賓以下出自西門撤廟庭席闔神門引主人以下立於講堂東庭西向北上掌議以下稍却引上賓以下入於講堂西庭東向北上上賓與主人正相向主人揖上賓報揖主人將進揖上賓報揖主人當階揖上賓報揖主人請賓升上賓辭主人固請賓升上賓固辭主人終請賓升上賓終辭引主人先升東階上賓從升西階引主人以下北向西上立引上賓以下北向東上立重行引上賓斤堂西邊東向立引主人以下升堂東邊西向南上立掌議以下稍却主人以下拜上賓答拜引上賓詣北壁下少西南向立引尊者【長於主人二十年者】升堂四邊東向南上立主人以下拜尊者答拜引尊者詣上賓之西南向東上立【無尊者則拜尊者條不唱】賓贊引長者【長於主人十年以上者】升堂西邊東向南上立主人以下拜長者答拜引長者詣西壁東向北上立【無長者則拜長者條不唱若有異爵則如拜長者】引主人詣堂中少東南向立主贊引掌議以下就主人前北向西上拜主人答拜【於主人爲少者則跪而半拜爲幼者則跪而微俯首】引掌議以下詣東壁西向北上相拜上賓與尊者南向相拜【無尊者則否】引長者枕尊者及上賓前北向東上拜上賓及尊者答之引長者退西壁東向北上相拜【無長者則否】引主人東邊西向立掌議以下稍却其後西向南上立賓贊引敵者【上下不滿十年者】升堂東向北上與主人以下交拜引敵者就上賓及尊者前北向東上拜上賓及尊者答之引敵者就長者前西向北上拜長者答拜【無張者則否】引敵者序立於長者之南東向北上相拜【無敵者則拜敵否條不唱】賓贊引少者【少於主人十年以下者】升堂就主人前東向北上拜主人以下答之【主人跪而半拜】引少者就上賓及尊者前北向東上拜上賓及尊者答之引少者就長者敵者前西向北上拜長者敵者答之【長者敵者俱無則否】引少者序立於南行北向西上相拜【無少者則少者拜條不唱】賓贊引幼者【少於主人二十年以下者】升堂就主人前東向北上拜主人以下答之【主人跪而微俯首】引幼者就上賓及尊者前北向東上拜上賓及尊者答之引幼者就長者敵者前西向北上拜長者敵者答之【長者敵者俱無則否】引幼者就少者前南向西上拜少者答拜【少者無則否】引幼者序立於少者之東北向西上相拜【幼者無則幼者拜條不唱】儒生升堂就主人前東向北上拜主人揖儒生就上賓及尊者前北向東上拜上賓及尊者揖儒生就長者敵者前西向北上拜長者敵者揖【長者敵者俱無則否】儒生就少者幼者前南向西上拜少者幼者揖【少者幼者無則否】儒生序立於幼者之東北向西上相拜主人揖就北壁之東南向坐引掌議以下坐於東壁西向北上上賓以下各於立位坐【有親咸之妨於位次者坐於直月之南西向北上不屬】設書案于北壁下案上置節目冊白鹿洞學規直月就書案北向跪敬讀節目訖敬讀白鹿洞學規訖撤書案設卓子於兩楹間置大杯於卓上設爵洗於卓南酒注於卓北主贊引主人降席卓東西向立在位者皆起賓贊引上賓降席卓西東向立主人取杯親洗上賓辭主人置杯卓子上執事者進酒注主人執酒注斟酒于盃以注授執事者主人執杯獻上賓上賓受杯置卓子上主人西向拜上賓東向拜興取酒東向跪祭于坫遂飮以杯授執事者遂拜主人答拜【若少者以下爲上賓則飮畢拜時主人跪受如常儀若主人是少者以下則上賓飮後主人乃拜上賓跪而半拜】上賓取杯親洗主人辭上賓置杯卓子上執事者進酒注上賓執酒注斟酒于杯以注授執事者上賓執杯酢主人主人受杯置卓子上上賓東向拜主人西向拜興取酒西向跪祭于坫遂飮以杯授執事者遂拜上賓答拜引上賓復位引尊者降席卓西東向立主人取杯親洗尊者辭主人置杯卓子上執事者進酒注主人執酒注斟酒于杯以注授執事者主人執杯獻尊者尊者受杯置卓子上主人西向拜尊者東向拜興取酒東向跪祭于坫遂飮以杯授執事者主人拜尊者跪而半拜引尊者復位【尊者衆皆如是無尊者則獻尊者條不唱】引長者降席卓西東向立司洗洗杯尊置卓子上執事者進酒注主人執注斟酒于杯以注授執事者主人執杯獻長者長者受杯置卓子上主人西向拜長者東向拜興取酒東向跪蔡于坫遂飮以杯授執事者主人拜長者跪而半拜引長者復位【長者衆皆如是無長者則獻長者條不唱】引敵者降席卓西東向立司洗洗杯置卓子上執事者進酒注主人執注斟酒于杯以注授執事者主人執杯獻敵者敵者受杯東向跪祭于坫遂飮與主人相向拜引敵者復位【敵者衆皆如是無敵者則獻敵者條不唱】引少者降席卓西東向立司洗洗杯置卓子上執事者斟酒于杯主人執杯授少者少者受盃東向跪祭于坫遂飮以杯授執事者遂拜主人跪而半拜引少者復位【少者衆皆如是無少者則獻少者條不唱】引幼者降席卓西東向立司洗洗杯置卓子上執事者斟酒于杯主人執杯授幼者幼者受杯東向跪祭于坫遂飮以杯授執事者遂拜主人跪而微俯首幼者復立【幼者衆皆如是無幼者則獻幼者條不唱】引主人復位賓主以下皆坐進饌【五十以下二豆六十者三豆七十者四豆八十者五豆九十者六豆主人豆視賓豆】賓贊設饌上賓以下主贊設饌于主人以下無算爵撤饌進點心飯賓贊進飯于上賓以下主贊進飯于主人以下進熟冷撤飯諸執事設食于他所執事者進主人之左請少休賓主以下皆起一時揖以次退執事者進主人之左請復會鳴鼓賓主以下就堂一時揖皆坐講論從容【或行己之要或院中之事或經書疑義】俗禮行酒執事者進主人之左白禮畢賓主以下皆起因其位皆拜一時揖上賓以下以次出主人以下以次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定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釋菜祝文 維歲次干支某月干支朔幾日干支具位姓某敢昭告于高麗三重大匡太師開國壯節公伏以公國而忘家主而忘身一樹風節實敍彝倫非忠無君非孝無親不有大人小子何依式陳虔誠敢冀格思尙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移安祝【鋪陳改易】 維歲次干支幾月干支朔幾日干支具位姓某敢昭告于高麗三重大匡太師開國壯節公伏以鋪陳不潔今將修改已有舊例禮當權移式陳虔誠敢冀格思尙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還安祝 維歲次干支幾月干支朔幾日干支具位姓某敢昭告于高麗三重大匡太師開國壯節公伏以日吉辰良工亟物備鋪陳已宛禮當還侑式陳虔誠敢冀格思尙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耆老案序 鄕學之養老古禮也夫子嘗曰觀於鄕知王道之易易者指斯之謂也夫今之書院亦庠序之遺制而崇報先賢開導後學之地也春秋而奠菜朝暮而講習奠菜而不及燕毛則祭之禮不備矣講習而不先孝悌則道之本不立矣院可不養老哉乃若本院是我先君太師壯節公岳降之邦多士寓慕之所也嗚呼多士之所寓慕者何事太師秉忠烈於前朝樹倫綱於來世令人感發藹然於無窮故也八斯院想古事孰懦不立孰頑不廉谷之鄕俗善人傑頗有稱於江左者未嘗不鼓舞於此也然節文制度之尙未遑於前者一二存焉無其財而然也韋史尙書石琴元師俱是太師肖裔合契同力節財補用本院儀式文章之缺於前者庶可復光矣於是命煕與鄕中長老議復禮飮之儀告其事於兩公許契錢以霈用成節目以定式烹狗禮賓尙有德也豆羹異數尊高年也賢賢老老之儀始備而耆老之案由玆而設本院之節文制度將可謂無憾於古矣院之儒永守勿替則庶幾有補於風化之萬一云爾壬戌季秋下浣壯節公三十二世不肖孫命煕謹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靑襟案序 建學而祀先師古禮也大要使入學者慕賢不忘如農者之祭先農工者之祭先工豈徒然也哉禮曰非類不祭此乃祭其類之義歟嗚呼惟我鼻祖壯節公生於羅麗之際文以壯元武以大將明以知眞忠以代殉根乎內者仁也合乎外者義也人倫之標準忠義之規矩眞可謂超卓千古烈丈夫共賦秉彝者孰不起敬起慕哉岳降之地宜有不忘之祀斯院之設亦不徒然也尤齋老先生訓學者曰不徒想像乎先生之容色聲音必須講求乎先生之所學若徒仰公之宏勳盛名而不求公之所存主則不可謂慕也亦不可謂類也可不早辨哉於是乎選士之規立而靑衿之案始焉噫公之所存主者何事孟子曰生亦吾所欲也義亦吾所欲也如不得兼舍生而取義是乃公之素所存主也世之規規於利害有其身而物我於君親計其家而指目於鄕黨者寔公之罪人也豈可容接於英靈如在之地乎亦非盛朝休揚善類之義故嚴立程規以孝弟忠信爲序第之最以學文辨事爲其次而不言其餘遵守勿替則庶幾無謟祭之歎亦不無小補風化之萬一云爾歲在癸亥仲春旣望壯節公後裔申光獻謹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60년 박조이(朴召史)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雪云金 朴召史 金雪云金<着名>金重太<着名>金晋岩<着名>趙德琳<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60년 12월 22일에 박조이가 김설운쇠에게 3마지기의 밭을 매입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760년 12월 22일에 박조이(朴召史)가 김설운쇠(金雪云金)에게 밭을 매입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김설운쇠는 본래 이 지역에서 살다가 어려서 부친을 여의고 또 연달아 집안의 화를 당하여 이곳을 버리고 타향으로 이사할 계획에 이 밭을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고, 이 밭은 자신이 상속을 통해 소유하게 되었다고 경위를 밝혔다. 매물의 소재지는 덕신원(德新員)이고 자호는 아자(雅字)이다. 면적은 수확량 기준으로는 4복(卜)이고 파종량 기준으로는 겉보리[皮牟] 3마지기[斗落只]인 곳이며, 거래가는 전문(錢文) 10냥이다. 밭주인은 김설운쇠 외에 김중태(金重太)가 함께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27년 가대매매증서(家垈賣買證書)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判德 金判德 3顆(적색,원형,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7년 음2월 12일에 김판덕이 누군가에게 45원을 받고 가대를 팔면서 작성한 가대매매증서 1927년 음2월 12일에 김판덕(金判德)이 가대(家垈)를 매매하면서 작성한 가대매매증서이다. 가대의 소재지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현재 김판덕의 주소지는 함양군(咸陽郡) 안의면(安義面) 초동리(草東里)이므로 그 근처로 추정할 수 있다. 자신이 현재 거주중인 가대를 매매하는 것인지 다른 곳의 가대인지는 알 수 없고, 매매대금은 45원이다. 이 금액으로 체사(體舍) 3칸, 감나무 1주(株), 작은 감나무 1주를 확실하게 매도하며, 훗날 문제가 있을 시에는 손해금을 위약인이 부담하고 매수인은 손해가 없도록 한다는 뜻으로 계약한다는 내용이 있다. 매수인의 이름은 기입하지 않았고, 같은 마을의 이진수(李鎭秀)는 연대보증인으로, 박상열(朴相烈)은 간증인(看證人)으로 이 증서 작성에 참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토지매매계약서(土地賣買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崔彩宇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최채우가 누군가에게 6마지기의 토지를 팔면서 작성한 연대미상의 토지매매계약서 최채우가 누군가에게 토지를 팔면서 작성한 연대미상의 토지매매계약서이다. 토지 소재지는 정읍군(井邑郡) 보림면(寶林面) 태남평(泰南坪)이고, 면적은 6마지기[斗落只] 1,214평(坪)이며, 이매매대금은 560원이다. 이 토지에 대하여 매매대금은 전부 영수하고 신문기(新文記) 1장으로 매주(買主)에게 영구 방매한다고 하였고, 소유권 이전비용은 매수인이 부담할 일이라고 하였다. 매수인의 이름은 적혀 있지 않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경신년 사돈 조씨 언간(諺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미상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신년 12월 19일에 사돈 조씨가 사돈에게 쓴 한글 편지 경신년 12월 19일에 사돈 조씨가 사돈에게 한글로 쓴 편지이다. 사돈의 편지를 받고서 두루 무탈하신 안부를 알게 되었다며 기뻐하였고, 배우지 못한 아들을 보냈다며 민망해 하는 한편, 며느리의 비범한 용모와 범절을 칭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次三九亭韻 槐軒鄭遠采大鵲山前鳳峀東名亭三九好相同間情嘯咏花階月淸興徘徊竹塢風錦石龍溪聽瀨畔玉峯梧岳彩霞中天慳地秘開仙境應是千秋與不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 雪後許相浩【字季仁柯亭里】山中一見海東天地得其人不偶然藥伴留霑仙雨露樵兄慣示客風煙家園渾入忘千事經史新開送百年造物厭情塵世漏白雲來護曲簷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 鶴菴張國相【仁同人大興里】洞門窄窄闢幽天不染林窩隱翼然簷月溶溶明是燭籬藤緩緩翠生煙耕雲招鶴閑迎日種秫餐芝好送年誰識主翁今止此茶湯笑答喜相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 芝山金永斗【光山人只里】道理峯頭小小天考槃淸致正悠然氣節庭栽黃白菊生涯竈起暮朝煙蕭寺邱墟經幾甲山靈黙守待今年仁翁勝地緣相合顔字香名百世連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