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39년 김성옥(金成玉)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崔成采 金成玉 崔成采<着名>徐漢興<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419_001 1839년(헌종5) 12월 21일에 유학 최성채가 유학 김성옥에게 세 곳의 논과 밭 15복 8속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 1839년(헌종5) 12월 21일에 유학(幼學) 최성채(崔成采)가 유학 김성옥(金成玉)에게 세 곳의 전답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 명문이다. 최성채는 자신이 매득하여 수년 동안 경작해 오다가 이매(移買)하기 위해 팔게 되었다고 방매 사유를 적었다. 이매는 이 토지를 팔아서 다른 곳의 토지를 사기 위한 것인데, 대체로 원거리에 있어 경작에 어려움이 있다거나 등의 이유를 말한다. 매물의 소재지는 무장(茂長) 성동면(星洞面) 주을촌(注乙村)의 후평(後坪)과 방축(防築) 아래이고, 자호는 선자(善字) 논과 밭, 그리고 복자(福字) 논이다. 선자 논은 4배미[夜味]이고 파종량 기준으로 3말[斗] 5되지기[刀落只], 수확량 기준으로 10부(負) 8속(束)이며, 선자 밭은 5되지기 2복(卜)이며, 복자 논은 1마지기[斗落只] 3부 면적이다. 세 곳을 합하여 15부 8속인 곳을 전문(錢文) 28냥을 받고 김성옥에게 팔았다. 구문기(舊文記) 1장을 신문기(新文記)와 함께 매수인에게 넘겨주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盆城金氏孝烈碑記 孺人金氏籍盆城金振重女自在家人稱孝女笄嫁晉陽姜大環未幾夫病革扶救彈誠露禱願代及遭城崩年甫二十六矢心下從忽憣然曰一縷雖不足惜奈夫家之香火盲姑之飮啖遺孤之襁褓何卽起視事慰喩盲姑撫養幼孤間治喪事姑性甚厲事多非理承奉無違姑乃安之家寠甚負薪負米行傭紡績雖一飯一味有得於外不先入口必歸獻具告曰某在斯某在斯凡臥起抑搔櫛沐溲溺皆委曲孝養以終天年噫體亡夫心安養盲姑敎育幼孤存夫家祀雖古忠臣烈士愛君保國無以過之自官累次贈遺士林薦狀積成卷軸其子俊遠慮後或泯今將勒石紀實因其族明秀喩意蓋明秀從余遊有年素信其忠實感歎孺人至行遂書如此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孝子權公行狀 竹溪安塑公諱龍圭字雲集號竹淸肇祖諱幸仕 高麗至太師封于安東仍爲貫十三世而至文正公溥以朱子性理之學大著五子三壻皆封君六傳而諱曉號晩隱事我 端廟官司正 光陵累徵不赴因與同志申公末舟遯于淳昌鄕人俎豆之屢傳而諱振休武科及第德而不顯於公高大父也曾大父鏶副護軍大父邦華副護軍父思國外大父鄭鍾錫晉陽著姓高宗甲戌二月三日公生于玉果立面月谷里自髧齔知有父母而不有身出而遇一味之可口者必懷而遺尤以養志爲先凡小不滿於親意者未嘗待禁而方不爲其有不安節煮粖煎藥幾廢寢啖迄于復初甫十四罹內艱擗踊屢絶而甦父公積久沈疾惟鰣鱒是欲遍求諸隣邑市不以風雨而替人嘗闕於市皇皇焉不知所爲至合江川有魚類鱒而非土産也取歸示親則喜見於色亟使煎進疾以良已咸稱孝感數月而更劇洛氷稽辰求以代命及纊刳指灌血得少延及喪毁幾滅性庇終必誠信日哭墓罔或雨雪以廢旣闋而致如在于忌祀至老益虔有二弟篤友析甘分縷殆不知其異體弟亦以敬順聞此皆公之實行也年六十六而以己卯正月十九日卒葬于本郡兼面鷦谷案山丙之原配咸安趙氏月溪希文之后士人性夏女公之孝養內相亦多焉生後公沒先公俱二年墓同洞乙坐生三男鍾弼鍾善出鍾聲一女適崔錫瑾鍾弼子南洙東洙女沈鳳燮鍾善子某鍾聲子祥洙明洙餘姑略也余惟仁者人也仁主於愛而愛莫大於愛親然則孝親之至然後仁之道得而斯爲人矣公之行旣孝爲之本則順德之推而措之百行擧無不宜可執契而俟也然而王杜久屋旌淑無階公則何少竊懼夫爲善者之無以勸於叔世也今鍾聲君錄公生平大略要余芟潤之將藉謁於秉弗家懿德之好不容牢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南臺許公行狀 唐城洪爛公姓許諱鑑字汝洪南臺其自號也詩山人玉果之有許自進士謙始先是 勝朝有諱士文以 高麗太祖王建之壻封詩山府院君是爲受貫之祖本駕洛之裔終麗世名賢達士連世不絶事在麗史入 本朝有諱斯文號止齋登科連歷司憲府持平至弘文館校理生昆元生謙俱中進士諱叔賢生進爲擧子冠然數奇不大顯至蓮谷公諱緝階繕縫監役公九世祖也曾祖諱溟祖諱炯考諱塾俱以法行名妣全州李氏父諱文琦高宗辛卯正月九日生公公生而爽朗性剛直雅潔方免孩提已知入孝出弟父老目以異童八歲就學一遵師訓說有器量强記所詣大進言詳行重善書工文先行後言及長不事家産業專心於古哲人修行不戚戚於貧困且窺人富貴言不及非義行不犯非理事父母極孝雖貧甘旨不匱於有無雖祈寒暑雨不廢定省雖事急遽父母召之恭而色愈怡諾而趨愈疾在父母所氣色不及於下而怒叔父無育而嬰風疾湯劑食飮無間於父母友篤於弟雖一不多人弟百然爲叔父立後每連案共卓長思父母先是甲寅丁內艱丙辰又丁外艱連當巨創哀毁棘梅三日哭不水飮號擗頓踊幾絶方蘇營葬盡誠久不得吉壤寤也寐也常恨父母之早失而不得安親之地夢有一人自後園牽大龜一而來甚古愧翌日地師來言有金龜沒泥形在前山東倘有意乎我感子之孝思而來非求斗升故也卽葬之今其妣塋所在龜峙洞也家稍間然每月初吉必往省祭必齊沐必見所祭敎子嚴不傷恩雖一小事有善誘而開導之要循乎法度性好客接之誠禮必盡款曲或與之散策壟首或朗吟澗月不知誰主誰客然家益寒儉然有叩門聲卽迎之歡若平生常戒子姪曰家貧親在須是學耕半偏學則失養偏耕則昧古昧古則面墻孔子曰耕也餒在其中以其偏之之謂也郵曰凡人家不好客見聞不寬未免俗而野又曰治心莫如誠治身莫如勤尊親莫如孝敎子莫如義保家莫如和汝等銘之以丙子七月二十五日卒享壽四十六葬于谷城石谷面如雲里左麓公之曾祖塋階下負壬之原娶文化柳在元之女有婦德生四男一女沄沅洵涉男也高靈朴炳熙女也孫曰榮同長房出曰東炫二房出餘幼不煩錄公之胤沄謁余狀公之德之文辭意俱摯余夷考公事行見其書文亦一方之豪學與時左無大事業蹟可紀胸中之奇才器之利僅僅見於家庭孝友文字之間使斯世沈嗚乎士生於世時造左右所値治亂分也知有分而方寸不炫於時惟君子爲然語曰君子固窮此可以書公之德之萬一故陳其大略如右所以傳信於世之闡繼好善之君子之採擇焉玉果鄕校志卷之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玄圃處士許公墓碣銘【幷序】 咸陽呂昌鉉以賢明之才生於詩禮漸磨成就聲譽菀然而夷考其行則本之家政繩尺乎禮法涵泳乎彝倫雖不能爀爀於當時亦可以垂範于方來此近古玄圃處士許公諱相崙之孝之德足以不泯者歟公字士潤許氏貫詩山麗太祖駙馬封詩山君諱士文爲初祖尙書侍郞譜不絶書至諱巓判書詩山府院君諡文肅至諱斯文號止齋 世宗祖文壯成均博士司憲府持平弘文館校理至諱昆元生員始居玉果至諱繼號道峯進士與兄雪巖紹同學於河西金先生鄭松江奇高峯道義相交享詠歸院於公爲十一世祖曾祖諱蘅進士通政祖諱錫寬考諱進源俱有隱德妣寧越辛氏父在基公生以戊辰有異質纔言笑知文字就傅文思日進詩書淹博不甚思索而活潑裕餘孝友天植志體之養出於誠意見有不是處愉色以諫使不離於令名長弟怡悅共被如溫姜聯床如椿津敦宗睦族不越規矩處鄕黨朋友各有範模爲文發前人難解處多當時評論誦習有不可誣者沒以辛卯葬施霧谷庚原配洪州宋氏翰黙女貞淑孝烈育遺孤振起家道生壬戌卒於癸未墓左崗酉坐一男燖鄭淳弼壻也孫男女基宣基炫基奐基柱吳基鍾曰中錫基炫出曰鍾鎔基奐出鍊鎭基柱出餘不錄公之器才敏贍蓄積而未能歷揚雖若可憾裕後之報將使燖克肖世業亦理之不泯者日具狀謂外弟曰府君懿行或昭諸墓衍可傳於後子其識之余曾聞於長老參以慈幃之言敢辭諸銘曰作善降祥蓋不偶然公之不壽難諶者天乃文乃孝克昌厥後理之所存氣不枉遂凡厥有過視此爲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 又淸金鍾植【彦陽人潭陽武貞面安平】非人間是別開天力學斯翁復本然杖履逍遙閑日月衣襟蕭灑遠塵煙谷送溪流通四海園留石怪老千年不知得喪門前事志尙淸高憶魯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 鶴靑沈遠述【靑松人立面擇村】群巒兀兀接靑天北望雲間眼豁然蓮葉何時霑雨露柳絲今日領風煙抱琴席上多迎日無曆山中不記年入室從觀吾道麥東來元氣絡如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 南湖韓秉衍【淸州人淳昌福興面馬峙】卜居心擇僻幽天君亦然之我亦然別有乾坤間日月飽來山水好風煙相揖禮行今肇夏讀書聲聽昔何年感舊深懷知者少忘歸孤客久留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 竹軒洪承璉【豊山人南平茶道面道川】天山獨守秉彝天吾道千秋亘朗然寒聽松籟山疎雨煮曝茶爐晝濕煙棟宇奐焉塽塏地雍熙止此老閑年借問箇中仁智樂不諼邁軸始終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陸文基) 吾道燦然復海東院祠更建協心同舊墟堙沒如蕭界環境復元似畵中斯道荒凉多歲月諸儒更振慕賢風講堂軒豁鮮明潔詩禮講論興不窮 沃川后人陸文基謹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全州淸河壇通文【乙巳十二月日】 儒生李士遠洪景漢李殷衡等四十五人右文爲通諭事全州之淸河祠卽梅圃聽流堂芝谷三先生妥靈之所也蓋三先生學問志節固可爲百世之表準矣梅圃朴先生諱東立密陽人 宣祖癸卯兩場司馬三歷齋郞光海廢母草疏詣闕甲子适變募兵聚穀丙子胡亂誓死擧義其忠孝昭著學問高明踐履篤實始拜沙溪老先生也老先生與語移晷謂門弟曰朴某言論風彩足以爲南州師表聽流堂朴先生諱東顯卽梅圃先生之弟也 宣祖壬子進士廢母時詣闕抗疏其學以堯舜孔孟爲主力究心神性命之理篤行孝弟忠信之道經濟力量足以輔佐王室拜老先生也老先生出示禮經一篇曰付標處文義有蘊奧請聞格論先生縷析明證老先生許以南州高士芝谷柳先生諱組全州人師事陶菴李先生而爲儕類所推重 景廟甲辰以一韋布之士特率南儒疏陳完南李公之冤 英廟戊申逆亂發檄致討性潭宋文敬公銘其墓曰不畏鈇鉞累呈琅玕伸枉闡義其可謂爲國之禎者矣屛溪尹文憲公記其堂曰斥邪說而辨賢誣倡多士而討亂賊淵泉洪公序其集曰壬寅忠逆倒植民彝將絶公以一言反其案而 天聽遂回幽枉畢伸嗚呼三先生學問旣如此忠節又如彼其卓然矣此果不爲百世之表準歟所謂鄕先生沒而可祭於社者三先生其人也故州之士立廟於河波洞已數百有餘年而不幸 高宗戊辰遽遭大同之撤吾林孰不慨歎哉故就其遺址設壇復享亦四十星霜矣然風雨時逼灌薦興俯不中儀式者多矣曷若復其祠之爲愈乎況河波洞老先生宰益山時累過之地亦三先生講學之所也其遺風餘韻至今尙在而溪山草木亦含光華則更建院宇奉安老先生以三先生配享不亦宜乎故鄙等不量譾劣玆敢布告伏願僉君子齊聲贊揚以至於有成之地千萬幸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連山遯巖書院答通【丙午三月 日】 儒生黃敎性權友善兪鎭洙等七人右答通事伏以尊德性敬善行講誦不絶培養英才秉彝扶綱後輩之急務而尊莫大於俎豆敬莫重於儀禮也卽因貴壇之馳諭又聞士林之所傳知悉淸河祠宇旣被大同之毁設壇從祀今乃撤壇肯構棟椽以文元公沙溪金先生主壁梅圃朴公及聽流堂朴公芝谷柳公配享爲書院而將使矜式有終於是庶可見尊德性以俎豆敬善行以儀禮講誦不絶秉葬〖彝〗扶綱之盛事也適有錦地之巨劃幸接僉賢之提意路遠忠羅末由合簪嚮風引領臨書景仰以助贊揚之萬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李乙淳) 重新院宇母山東五位英靈妥享同濟濟儒冠參拜裡洋洋神道降臨中林間鵲噪見良俗松下鶴飛思美風累歲經營功告訖高懸楣額耀無窮 星州后人李乙淳謹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7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2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朴潤八 朴潤八<着名>朴昌允<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7년(고종14) 2월 12일에 박윤팔이 누군가에게 밭 2마지기를 6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77년(고종14) 2월 12일에 박윤팔(朴潤八)이 누군가에게 밭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박윤팔은 긴요하게 쓸 곳이 있어서 수년 동안 경작해오던 태종전(太種田)을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신안면(新安面) 장동촌(藏洞邨) 뒤편 외동산(外東山) 질우평(叱牛坪)이고 자호는 장자(藏字), 면적은 2마지기[斗落只] 4부(負) 1속(束)이며, 거래가는 전문(錢文) 6냥이다. 이 밭의 구문기(舊文記)는 중간에 잃어버렸기에 신문기(新文記) 1장으로 영구 방매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5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2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德仲 金德仲<着名>朴成三<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5년 2월 6일에 유학 김덕중이 누군가에게 논 8마지기를 410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905년 2월 6일에 유학(幼學) 김덕중(金德仲)이 누군가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김덕중은 자신이 매득하여 수년간 경작해오던 논이라고 소유 경위를 적었고, 방매 사유는 부득이해서라고 간단하게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고창군 오동면(五東面) 봉산촌(蜂山村) 전평(前坪)이고 자호는 창자(唱字), 면적은 파종량 기준 8마지기[斗落只], 수확량 기준으로는 26복(卜) 8속(束)이며, 거래가는 전문 410냥이다. 문서 말미에 구문기는 중간에 잃어버렸기 때문에 매수인에게 넘겨주지 못한다는 문구가 추기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5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韓孟俊 韓孟俊<着名>金致三<着名>金昌鉉<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5년(고종32) 윤5월 28일에 한맹준이 누군가에게 밭 8마지기를 10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95년(고종32) 윤5월 28일에 한맹준(韓孟俊)이 누군가에게 밭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한매준은 처가(妻家)로부터 상속받은 밭을 수년 동안 경작해오다가 세금을 납부할 길이 없어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거야리촌(巨也里村) 뒤편 백정치(百亭峙)이고 자호는 상자(傷字),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8마지기[斗落只]이며, 거래가는 전문(錢文) 10냥이다. 이 거래에 김치삼(金致三)이 증인으로, 김창현(金昌鉉)이 필집으로 참여하여 각각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5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2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朴有石 朴有石<着名>趙箕煥<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5년(고종32) 8월 12일에 동몽 박유석이 누군가에게 논 1말 5되지기를 35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95년(고종32) 8월 12일에 동몽(童蒙) 박유석(朴有石)이 누군가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박유석은 자신에게 전래된 논을 수년 동안 경작해오다가 부득이한 상황 때문에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상사면(上沙面) 마륜촌(馬輪村) 전평(前坪)이고 자호는 숙자(夙字)이며,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1말[斗] 5되지기[刀落只]이고 수확량 기준으로는 5부(負)이다. 양안에는 노(奴) 수정(水丁)의 이름으로 등재되어 있는 논고, 거래가는 전문(錢文) 35냥이다. 신문기(新文記)와 함께 수표(手標)를 매수인에게 넘겨주며 영구 방매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友鶴鄭公墓碣銘【幷序】 全州李喜璡衰世而求盛世人物豈獨峻節偉德之士淳樸而不彫彩雅實而不俚浮者亦是也友鶴鄭公其人也歟海直余志友也以其伯兄海珍之命來求樹阡之文余忍終辭哉按其狀公諱喆鎬慶州人遠祖有文正公珍厚文獻公玄英入本 朝司藝 贈左贊成知年判官 贈兵曹參判承復以忠義著顯慶瑞達壽在三曾祖祖若考也妣全州李千興女性孝慈仁惠能事舅姑敬夫君睦族黨見人餓推食與之以壬寅四月九日擧公天分異群事親不以貧闕甘旨父以宿疾久臥床第能順適其意終無少弛至於先世葬祭弟妹婚嫁惟親意是從與弟友有過溫言以規臨財必先弟後已性嗜酒或有所困晩悔節飮待人不以勢豪畏之貧窮忽之當事惟是非輕重視而未嘗計較利害日必晨興以董家務常曰自養僅取蔽形充腸祭先供賓須要豊備敎子必期成就賣牛購書傾帑供贐從師遠方家計贍約不掛念也艮齋先生及炳庵金公皆稱美之 光武丁未卒壽六十七葬于德山村后喬木洞枕西之原配金海金成雲之女有婦德不違舅姑敬奉君子見事拂戾少不作色公少有外房未嘗形妬色一日聞艮齋田先生來遊湖南士友多從之者謂海直曰汝何時能成德如田先生乎余平生之望在此千萬勉旌愛諸姪無間於已出敦睦族戚奉祭盡其誠敬接賓加其款厚補助於公者不少也有四男二女海珍海權海直海禎柳興修許柄長房四男二女永鍾永恒永昌永學沈相浩權永植次房二男三女永敬永信李重基李洙泳柳秉春三房三男二女永安永一永鳳夭具洪三沈相瑚季房五男二女永大永洪永植永寬永守趙判燁任永表曾玄以下不錄海直永大永一永學師艮翁學業漸進乎崇廣子孫亦蕃衍此皆公修善之報也世之立言者宜將闡美以爲世道之勸今略述以竣焉銘曰外不逐流中自保眞養親訓子振綱敦倫豊約付命欣戚制情家傳餘緖鄕有稱聲四尺堂鬣喬木高罔過者指點古樸攸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雪翁全州李纘遠遺墟紀蹟碑 坡平尹準昔瀟水之溪得柳柳州頗有名焉今雪山之智洞得雪翁以山雪指示始奠居 哲宗庚申二月也自玆雲仍安堵如故菟裘有傳桑梓維新肆昔漢蕭相國置家僻地而不治垣屋曰母爲勢家所奪蓋公賴其神佑而占此福地無乃見得乎蕭而爲裕后計耶若爾則遠慮深諸者匪公伊誰迄于今百有一年子姓之席先蔭食舊德而追惟報本因集力伐石紀其遺蹟梗旣永存不杇曷其韙哉公先系出全州德泉君厚生后至其文行事業異日秉筆君子潤色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孝子東庵朴公紀績碑 欽齋崔秉心孝子朴公諱益來字大顯密陽人出新羅王赫居世累傳至諱日堂始居玉果又至諱載孝桂鎭準麟其三世妣昌寧成氏在昊女以 憲宗己酉二月二十三日生公孝性根天自幼遇異味必袖歸獻長學于山南柳公昇烈門讀小學明倫篇感覺孝必如此及分戶執産勤儉致業山樵以適朝夕溫淸之節川綱以供四時新味以父命出事伯父準弼伯母光山金氏愛敬承奉一如所生家間大小事岡不悉稟至如市路亦行出告返面之禮非惟父母安之鄕隣莫不稱孝焉及喪前後皆致哀禮日必省墓風雨無闕服闋仍曰以所後財産欲爲補生致家計則大非爲後致孝之道逐盡賣田土擇吉地安厝焉且生母成氏以風症三歲委席公不顧家務常侍側靡粥煎大小便不委人極誠潔所後父有孝行公欲立石表道竟以力緜未遂公之次允炳鈗將欲立公碑石藏之公終夕不寐慨歎不已炳鈗問故公曰聞汝爲我伐石云此固我所不堪且我志事未遂所以生憾也對曰子不知尊意矣此石替用於先祖考可也公曰然則甚好遂損土竪碑宗規自先世以來凡家間當忌辰諸族各具粢盛往參祭公曰此亦美俗必守勿替又與同執爲師設契買田奉祀公歿後諸門子姓遂增資立石奉祀無闕此皆公之孝推也公戊辰卒享年八十配仁同張氏希錫女有婦德生三男炳先炳鈗炳斗孫在圭仁圭洪圭長房出文圭彩圭泰圭次房出珍圭判圭季房出餘不錄嗚呼跡公之孝可謂天植炳鈗等深懼泯沒先此紀績以待旌褒樹風之日使文圭遠來謁辭不獲遂紀實如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