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白齋許公墓碣銘【幷序】 安東金寗漢昔松沙奇公講道林樊紹述家學考德者盈門弱冠受業敦潔好修者必稱詩山許公焉公歿之明年其孤問銘于予燮諱晦彦字白齋號也高麗駙馬士文封詩山君是爲始籍之祖冕黻相承奕葉顯融 本朝有弘文校理斯文是生成均生員昆元肇居雪山卽今之玉果也累傳曰紹號雪巖與其弟道峯繼學于河西金文正公與鄭松江奇高峯爲道義交於公爲十二世曾祖錫勃祖百源有文行考相麟賢而蚤世安東金政基其外王父也公以 高宗辛巳生甫五歲祖若考俱歿公憑棺呼爺幾絶復甦觀者皆嘖嘖稱季父相鎰使之上學勸誘甚勤至辛丑與三從弟炳同師松翁佣服訓誨及歸受學不倦三字以爲帖額符又謁淵齋宋文忠及其弟心石公俱蒙獎許歸則設塾課督子姪村秀願學者亦受之早夜呻佔不轍聞有賢師友不計遠近從而講劘造詣益深知行雙得可見講學之勤也持祖母承重情文咸秩事母氏克盡子職大耋之齡殿屎在床公年亦過半百而不解帶不交睫不離左右以致其憂及喪號哭哀動隣里葬用祔禮距其家七里長川間之式日展省可見其孝也戊午 壽皇賓天鄕曲以服制携貳公志不撓奪縞素望哭一如禮典丙寅 大喪亦如是可見其忠也盡誠於師門生則服勤死則心喪可見其義也平居必整冠端坐不設惰容古今格論書壁而自警大小各家通籬而同居敦睦之風行乎閨門忠信之言及於鄕黨年四十餘喪其耦或勸續巹則曰子已娶中饋有主勸卜姓則以伊川孀婦說拒之可見其制行之篤也目見世道極否縛陋室芝山之中携孫課誦與世相忘有時讀出師表詠北征詩輒潛然出涕其志氣之激昻又可見矣豈不誠莊士哉及周一甲風痺爲祟憫見家人往還之勞乙酉歸家竟以翌年二月十三日考終享年六十六墓在兼面叱狗峙上艮丑乾亥壬入首子坐配孺人咸陽朴在現女有壺儀卒於甲子墓合兆男基洪基萃基洛基宇女歸朴濟根孫男六人女五人公篤於奉先五世懿跡竝剞劂而布之己之述作散而不收厪厪掇拾者爲六卷方登梓云予讀公之狀無往非孝弟忠義之行此不可泯焉强病握管撮而爲序係以錄曰雪山儁良才志超群蚤從賢師襲其餘薰克珮要訣爲學不倦如金如壁是琢是鍊飮河充量坐春盎背以敬以義方外直內若無型範曷成其器乃揭言行貞珉在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5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麗澤 金麗澤<着名>曺聖鉉<着名>趙華性<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5년 1월 26일에 김여택이 누군가에게 산지를 18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905년 1월 26일에 김여택(麗澤)이 누군가에게 산지를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김여택은 자신이 송추산(松楸山)을 매득하여 수년 동안 소나무를 길러오다가 방매하게 되었다고 소유 경위와 사유를 적었다. 매물은 본면(本面)의 옥천(玉泉) 좌측 산기슭 1편(片)이고 거래가는 전문(錢文) 18냥이며, 구문기(舊文記)도 신문기와 함께 매수인에게 넘겨주면서 영구 방매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7년 전당문기(典當文記)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京七 李京七信 1顆(적색,원형,1cm)柳燉植信 1顆(적색,원형,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7년 윤2월 25일에 이경칠이 자신의 가대를 20원을 받고 전당잡히면서 작성한 전당문기 1917년 윤2월 25일에 이경칠(李京七)이 누군가에게 가대(家垈)를 전당잡히면서 작성한 전당문기(典當文記)이다. 이경칠은 수년 동안 살아오던 자신의 가대를 긴요하게 쓸 곳이 있어 전당을 잡힌다고 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순창군(淳昌郡) 무림면(茂林面) 자양리(紫陽里)이고 가대의 규모는 체사(體舍) 4칸, 행랑 3칸, 문간 1칸이다. 자호는 가자(可字)이고 번지는 46번지, 면적은 6되지기[升落只] 2부(負) 5속(束)이다. 이 가대를 전문(錢文) 20원(圓)으로 값을 쳐서 4리(利)로 얻어 쓰면서 전당잡히고 기한은 11월 15일까지로 하되, 기한을 넘기게 되면 이 물건을 영구히 상대방에게 허급(許給)한다는 내용이다. 같은 마을에 사는 유돈식(柳燉植)이 보증인으로 도장을 날인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8년 윤행수(尹行秀)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尹相堯 尹行秀 尹相堯印 2顆(적색,원형,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8년 1월 22일에 삼종질 상요가 삼종숙 행수씨에게 2마지기 논을 600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918년 1월 22일에 삼종질(三從姪) 상요(相堯)가 삼종숙(三從叔) 행수씨(行秀氏)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상요는 자신이 매득하여 소유하게 된 논을 긴요하게 쓸 곳이 있어 부득이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울진군(蔚珍郡) 원남면(遠南面) 후고평(朽槁坪)이고 자호는 강자(崗字), 면적은 구획상으로 1배미[夜味], 파종량 기준으로 2마지기[斗落只]이며, 매매가는 엽전 600냥이다. 증인이나 필집을 두지 않고 상요가 자필로 문서를 작성하고 도장을 날인하여 삼종숙에게 넘겨주며 영구 방매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26년 김정근(金貞根) 계약증서(契約證書)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貞根 玄鶴圭 金貞根信 1顆(적색,원형,1.2cm)全行圭信 1顆(적색,원형,1.2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270_001 1926년 음1월 13일에 현학규가 김정근에게 1마지기의 토지를 매수하기 위해 계약금 30원을 주고 작성한 계약증서 1926년 음1월 13일에 현학규(玄鶴圭)가 김정근(金貞根)에게 30원을 주고 작성한 계약증서이다. 현학규는 담양군(潭陽郡) 고서면(古西面) 고읍리(古邑里) 향교평(鄕校坪)에 있는 1마지기[斗落只]의 토지를 매수하던 중에 계약금으로 30원을 지급하고, 훗날 이의가 있으면 이 금액은 무효로 하기로 약속하는 내용이다. 관련문서를 보면, 양력으로 3월 3일에 현학규가 김정근에게 이 토지를 매입하는 매도증서를 작성한다. 3월 3일은 음력으로 1월 19일이므로 계약금을 지급하고 6일 뒤에 매도증서를 작성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相揖笏記 東西班首各率諸生曺司從繩折旋而行○以次詣初立位東西行序立○東西曺司各詣班首前拱揖○班首答揖○曺司退復位○東西班首各率諸生曺司從繩折旋而行○以次至再立位東西行序立○東西曺司各詣班首前拱揖○班首答揖○曺司退復位○東西班首各率諸生曺司從繩折旋而行○以次至進立位東西行序立○東西曺司各詣班首前拱揖○班首答揖○曺司退復位○東西班首諸生曺司向師席拱揖○師席移座答揖○東西曺司各詣班首前拱揖○班首答揖○曺司退復位○東西班首各率諸生曺司從繩周旋而行○以次至再立位東西行序立○東西曺司各詣班首前拱揖○班首答揖○曺司退復位○○東西班首各率諸生曺司相向揖○東西曺司各詣班首前拱揖○班首答揖○曺司退復位○東西班首各率諸生曺司從繩折旋而行○以次至進立位○東西曺司各詣班首前拱揖○班首答揖○曺司退復位○東西班首各率諸生曺司從繩折旋而行○以次至階前東西行序立○讀法抗聲讀白鹿洞規藍田鄕約○東西班首諸生曺司同聽規約訖○執禮讀法立於西階下東西班首諸生曺司立於阼階下相向揖○升堂就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朱子白鹿洞規 父子有親君臣有義夫婦有別長幼有序朋友有信 右五敎之目博學之審問之愼思之明辨之篤行之 右爲學之序言忠信行篤敬徵忿窒慾遷善改過 右修身之要正其誼不謀其利明其道不計其功 右處事之要己所不欲勿施於人行有不得反求諸己 右接物之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茅堂記 艮齋田愚茅理直而潔白君子之行宜似之也山徑茅塞君子祛邪之功宜勿間斷也藉用白茅君子大過之用宜愼斯術而行也拔茅彙征君子之進必賴朋友以濟也茅茨不翦聖人崇儉之德可以爲萬世法也鄭生海直搆木爲巢日讀書其中其師白山翁名以茅堂而告之以此鄭生於此誠能盡心焉其於修身處事用世澤民之道其殆庶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春雨堂上梁文 東鄭淳黙遵晦庵守墓之儀文聿修歲祭之禮倣宣溪扁亭之遺矩爰揭春雨之名諒非人謀若有神相維慶州李氏棠誠庵雲孫名德碩輔譜不絶書蔚爲靑邱之著姓孝友敦睦世守其法足徵白沙之契宗茅山先生服事己卯大賢竭厥於綾城謫所師傳令公早辭癸酉徵命躋享於榮江舊祠望族於錦城之碓州已數三百載轉徙於雪山之巖邑今四五十家蒼翠滿山聿睹松楸之相望靑丹有里乃知桑梓之必恭無非牛眠虎踞之岡盡是螭首龜跌之石而展省休{甜/心}之無所乃詢謀經度之有方循始而訖終喜工役之就緖爭先而恐後見子孫之殫誠六兒齊歌雙虹載擧抛梁東梧枝秀色映廉櫳爲看罷日含泥鳳合抱群經讀此中抛梁西招賢峯影蘸靑溪請勸進修加勉勵端宜名實與相齊抛梁南橫川北逝碧如藍流豊自是知源遠緬慕先徽重我擔抛梁北龍首蟠蜿扶地力苾芬孝思知無窮後見英靈時降陟抛梁上連阡族位依宗葬方履圓冠儒者人兟兟環列何其壯抛梁下佳城鬱鬱羅羊馬淸觀自慕流根滋歲歲東風甘雨灑伏願上梁之後神理愈明欽俟陰騭而眞佑本支益茂庶見詳孝而責忠豈惟賁一時之觀瞻抑亦慕百世之永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玉山祠上梁文 咸陽呂昌鉉兒郞偉崇義之道何處不俎豆而必先矜式乎本鄕尊賢之禮無時不羹墻而最宜觀法於今日蓋述舊典非違前章伏惟月坡柳先生湖南名家海東淸閥文院淸選早蜚英於治平將壇義屯遂效忠於急難捍賊酋犯闕累立奇功應行朝設機賴之整頓義重泰嶽憤主將被圍身輕鴻毛使軍國增氣未三十而聞道猶見墜緖之繫苞桑閱千百而芳名焉比輕塵之捷弱草非徒忠孝之大壯抑亦懿烈之家人以學諭除承宣旋施棹楔之命配從容侑忠院亦越詠歸之隮自撤享之大同士林之景仰無所値光復之彦慶祠宇之建設有階乙未歲春殷史陳相土之筮辛巳月朏翌工奏抛梁之歌山列屛而廟貌寬水環除而蓮塘闊誰知昔日布政之所換做藎忠享祀之基非圖往年會文之樓仍爲後學藏修之閣少壯云玆非鎭東將軍之廟敢效服勤之勞耆老曰此是司諫先生之祠實深鑽仰之思競陳善禱恭奏偉歌抛梁東梯川碧水古今同逶迤收括精靈氣回抱先生宅里中抛梁西雪滿峯凡正難梯坦然果峙如繩路擧義當年互挈提抛梁南梧枝山月照蓮潭肅然將事今如古感得千秋幾義男抛梁北凄雨悲風吹不息百萬秕苴何足誇聞公忠義愧胸臆抛梁上義炳日星皆景仰今此公時時又難憑欄不覺久悽愴抛梁下鄕土如今也自詑若使九原能起諸掃淸氣穢鎭華夏伏願上梁之後人人知道義之尊家家傳忠孝之業聞風於百世之後兟兟多義烈之作興取則於一邑中萃萃出冠珮之文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金海金氏烈婦旌閭記 白齋許 燮贈判書海州崔鍾起妻貞夫人金海金氏夫罹病百藥救之未效願食冷氷時方盛暑無處求得以井萃水奉盤祝天凝奉而進之及喪殉從如此卓行節義不可埋地泯滅子秘郞洪達今伐琅石故許燮在隣而樂聞說之如右二男洪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耕隱原韻 耕隱金在仲晴耕雨讀樂吾天觀去觀來摠自然嶺上白雲如有意殷懃傍我叱牛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次耕隱韻 南齋李錫鍾畎畝之中樂堯天食田飮井是誰然世人不識閑人趣笑指白雲耒一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孝烈婦玉川趙氏紀行碑 波澄尹寧求孝百行之源烈三從之義孝且烈婦人之道至矣盡矣世或有斯者旌其閭可矣而今也無之代之以碑其亦賢乎已也全南谷城郡梅月里孺人玉川趙氏孝烈婦也按全南儒狀孺人玉川府院君之後士人祉永之女自幼性至孝事父母至誠未嘗貽父母憂父母曰吾女孝女及笄爲完山李公以洙妻敬而無違以洙曰吾妻賢妻不幸以洙罹貞疾刀圭罔效夜禱天願代延幾日之命屬纊以洙訣家人曰善養吾父母善育我遺孤翛然而終孺人攀號擗踊如不欲生葬之如禮時年二十一家人欲奪志矢靡他蓬頭垢面不啓齒泣血以未亡人自處跬步不出門朝夕上食事死如事生制闋猶哀慕不已養舅至孝觀者亦悲之遺孤名潤圭常抱徹天之慟而三復蓼莪涕往往雨下可謂有是母有是子矣鄕道俱薦而近無旌閭之典竪石以代請余記實嘻孺人孝婦及烈婦也他日太史氏必大書特書不一書也姑數語以銘銘曰孝哉孺人活孝於親又此活烈異乎他人天故憐之有兒克仁竪石紀念顯親益新涅而不緇磨而不磷孝烈之名至于萬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孝子張公紀蹟碑 完山李錫鍾列鼎累菌而遺其親者有之甕牖圭竇而孝其親者有之然則孝不可以富貴貪賤擇之也決矣余聞興德張公興鉉家貧親癠傭力衒勞菽水藥餌之供日繼不乏十祀如一日喪葬如制雖無氷鯉雪筍之異其千辛萬苦之情景何忍說哉古之王祥孟宗未知或如是也彼列鼎累菌獨享富貴不顧父母之養者抑亦何心使此卓行湮沒於蓬科之中則將何以警遺親之俗耶公之先吏部尙書諱伯翼世襲圭組考諱基宣銘曰孝是群行之首公得于性榮是衆趨之途公視若病藹然而愛恬然而靜揭此貞石頹俗可警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孺人沃溝張氏紀蹟碑 顧齋李炳殷沃溝張氏然玉之女嫁爲慶州金公準信配孝烈著于家而鄕爲之褒子敬喜懼或不傳之爲不孝旣又得首校之狀嗣而碑閭里以表之使余癃聾不文文之夫傳聞易訛於狀曷詳其淑德設詳之余豈盡信哉方紀綱紊亂舅姑隣嫗視以其所事事之鮮有聞矣張氏惟命是順送終必愼可謂能事矣夫之病也祝天願代而不得則決意下從忽念育孤克家之遺誡殯葬如儀以至身親稼穡而育子承杞方其寡也年二十七噫夫如是非善事夫君者耶居今之世有是之孝烈者吾豈自重而不以爲文也哉同鄕申彦龍吾黨之有信望者亦盛道其蹟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 同更逢初度本非期公道人間白髮新風樹心懷無定日蓼莪詩思倍前時年來萬事灰塵㤼老去六旬雲水遲兒曹未諳孤露感滿庭餙喜彩衣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次耕隱金萬洙回甲韻 同長江無量海東流翠積崗陵萬萬秋吾家和氣春回日北斗瑞光月滿櫻誰知老佛前生事疑似仙人下界遊桃源不納尋常客物外商山擧眼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3년 노 옥립(玉立) 수표(手標) 고문서-증빙류-수표 奴 玉立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3년 1월 26일에 유 과부댁 노 옥립이 당질에게 작성해준 수표 1903년 1월 26일에 유 과부댁(柳寡婦宅) 노(奴) 옥립(玉立)이 당질(堂侄)에게 작성해준 수표(手標)이다. 노 옥립의 이름을 쓰기는 했지만 수표의 당사자는 유과부이다. 전날 당질에게 6마지기[斗落只]의 논을 엽전 200냥을 받고 방매하였는데 250냥을 주고 다음달 10일에 환퇴(還退)하겠다는 것이고, 만약 기한을 넘기게 되면 이 논은 영구히 환퇴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90년 장동환(張東煥)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興奎 張東煥 李興奎<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401_001 1790년(정조14) 10월에 유학 이흥규가 유학 장동환에게 5마지기의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 1790년(정조14) 10월에 유학(幼學) 이흥규(李興奎)가 유학 장동환(張東煥)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이다. 이흥규는 방매사유를 이매(移買)하기 위해서라고 적었다. 이매는 이 논을 팔아 다른 곳의 토지를 사는 것인데, 흔히 원거리에 있어 경작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가까운 곳의 토지를 사기 위해 팔 때 이매라고 적는다. 매물의 소재지는 경기도 이천군 백토리면(栢土里面) 조읍동(助邑洞)인데 지금은 백사면(栢沙面) 지역이다. 자호는 국자(鞠字)이고 지번이 735답이며 면적이 5복(卜) 6속(束)이다. 여기에 같은 자호의 지번이 4답인 곳이 면적 8복(卜) 중에서 1복(卜)을 합해서 파종량 기준으로 정조(正租) 5마지기[斗落只]를 전문(錢文) 55냥을 받고 영구히 팔았다. 본문기(本文記)에는 다른 전답이 함께 기재되어 있어 매수인 측에 넘겨주지 못한다고 적었다. 본문기는 매물과 관련한 기존의 권리증빙 문서를 가리키는데 이것을 신문기(新文記)와 함께 모두 매수인에게 넘겨주는 것이 거래관행이다. 그러나 본문기에 적힌 토지 가운데 일부를 나누어 파는 경우 문서를 넘겨줄 수 없으므로 신문기에 본문기를 넘겨주지 못하는 사유를 적는 것이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