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行終獻禮 贊引引終獻官詣盥洗位北向立○盥手拭手○仍詣良僖公李先生樽所西向立○奉爵奠爵升○司樽擧冪酌酒○奉爵以爵受酒○贊引引獻官詣良僖公李先生香案前○奉爵奠爵隨之○獻官北向跪○奉爵跪獻官之右以爵授獻官○獻官執爵以爵授奠爵○奠爵自左受之奠于神位前第三坫○奉爵奠爵降復位○獻官俯伏興平身○執笏○仍降復位○贊引引獻官詣恭度公徐先生樽所西向立○奉爵奠爵升○司樽擧冪酌○奉爵以爵受酒○贊引引獻官詣恭度公徐先生香案前○奉爵奠爵隨之○獻官北向跪○搢笏○奉爵跪獻官之右以爵授獻官○獻官執爵以爵授奠爵○奠爵自左受之奠于神位前第三坫○奉爵奠爵降復位○獻官俯伏興平身○執笏○仍降復位○贊引引獻官詣忠簡公李先生樽所西向立○奉爵奠爵升○司樽擧冪酌酒○奉爵以爵受酒○贊引引獻官詣忠簡公李先生香案前○奉爵奠爵隨之○獻官北向跪○搢笏○奉爵跪獻官之右以爵授獻官○獻官執爵以爵授奠爵○奠爵自左受之奠于神位前諸三坫○奉爵奠爵降復位○獻官俯伏興平身○執笏○仍降復位○終獻官再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行飮福禮 祝詣樽所以爵酌福酒置坫上○祝持俎及刀進減神位前昨〖胙〗肉盛于俎置于樽所卓上○贊引引初獻官詣飮福位西向跪○祝執爵詣獻官之左北向跪○以爵授獻官○獻官飮啐爵○祝受爵反于坫○祝取昨〖胙〗肉授獻官○獻官受胙以胙授祝○祝受之降自東階出門置俎于門外○獻官俯伏興○平身○仍降復位再拜○祝入少移籩豆簠簋○降復位○亞獻官以下及學生皆再拜【舊例初獻官受胙訖獻官及學生皆再拜祝移籩豆後獻官及學生又再拜辭神而儀煩禮漬且考朱文公釋菜儀則受胙訖初獻官再拜復位後亞獻官以下諸生再拜辭神而已故改正如上儀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行望瘞禮 贊引引初獻官詣望瘞位北向立○祝以篚取祝文及幣降自西階瘞坎○訖皆復位○贊引進初獻官之左白禮畢○祝入閉櫝○降復位○贊引引初獻官及學生以次出○祝及諸執事俱復拜位再拜○以次出○執禮贊引俱就拜位再拜○以次出○院任使掌饌者復入撤饌○闔門而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鶴山精舍上梁文 全義李炳殷駿才未展於當時堪歎窮廬之虛老鶴齋始成於今日爲賀肯堂之賢昆羽衣蹁躚額楣燦爛竊維鶴山居士鍾精馬峀卜勝鶉江所樂者詩書雅言鄕黨多矜式累傳以簪纓華閥家聲不寂寥雪峯峻嚴獨守孤松之節操月 爽朗頞有霽梧之衿懷是霽也所嘗經營於{亡+月}中因以刱建於身後善繼善述可見孝子之殫誠爰處爰居允合衆賓之獻賀翬飛鳥革上棟下宇制度可觀虎拖龍旋南山北嶽精氣咸華竊念公之志非徒愛好名勝蓋將敎育群昆詩書不入秦災中簡編尙無恙絃誦猶聞魯城下于戈亦何關天不亡道亦存勿謂聖賢之訓可輕侮年漸衰志易惰常思光公之靈卽降臨敢陳八景之歌用代六偉之頌試向雪峯看落照恐看不惜寸陰移鶉江孤帆歸何處恐或隨風任所之漁歌樵笛眞吾樂山或樵兮水或漁沙村燈火終宵耿照我牕前讀古書忽聞樂寺鍾聲出喚起深牕醉夢人馬峀落霞雲與合鎖歲靈境可棲遲暮朝佳景時時變覽物無非悟道時惟願上梁之後至誠所格庶乎其洋洋焉神在上矣百祥竝臻亦豈不欣欣曰余有後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祝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農隱記 咸陽呂昌鉉上古野無遺賢世級垂降有志之士不求名利樂處畎畝飯蔬食沒齒而無怨尤今則講此義者亦難乎見矣若雪南許甲源甫農隱爲號則其有見於此歟第念生長於元亨收藏於利貞天道周矣播以仁培以禮以利收以貞藏人事備矣無灌漑耘耔之勞則有秋之望拓矣無涵養收斂之工則誠身之道不立故君子克念慥慥喫緊做得如農夫之於稼穡無小須臾放過乃能有成若徒然作輟於阡陌之間而無反身之工則非可隱之實而農不爲有年矣吾聞農隱早年力穡以養父母父母不嗟咨友于兄弟兄弟不析箸宗族鄕黨樂與爲善忝稷穰穰倉廩實其於禮義也何難之有若以禮義爲農具則有可隱之實而爲上農我知之矣農隱聞之{賏/隹}然曰我何有於是哉祇以百畝之不易爲己憂而已於學問禮義則未之或聞子非知言者也然今聞戒矣或從此轉腦庶幾有桑楡之收則吾之受賜亦大矣請以是爲農隱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觀碧亭記 陶隱李丙軾觀碧亭湖南谷城郡金君蘭圃在宇之所築也君送其族人在廷甫持其原記來請余記余雖未面其人又未登其亭觀亭之原記則亭在鷦山之下而其山水則備漈亭之環盤谷之邃其風物則兼竹樓之宜膝閣之美庶可爲碩人考盤之所也君能擇地勝區而作亭爰居爰止以燕以傲作追先裕後之訃於此亦可見君之賢也余奚多言亭有八景而不載於原記中故余作八景詩以替亭之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遲松記 咸陽呂昌鉉松譬則君子也松之閱歲寒而不改柯易燕如君子之處亂世固窮而不變方春夏之交衆芳郁郁乎勝似於松而及風霜搖落挺然獨秀惟松爲然平常之時群小竝進自賢自聖多矣乎君子而及夫板蕩毅然有不可犯者惟君子爲然此義陶徵士范魯公善知之故曰撫孤松而盤桓曰遲遲澗畔松鬱鬱含晩翠百世之下猶能稱頌而慕尙之者其義同故也今林光日甫之取號而自省者其義曷異然時之板蕩未有甚於此時者人之群動亦未有如此之甚以人喩物靑者是耶黃者非耶抑靑黃皆非耶必有能辨之者而天生一世人自足了一世事若徒以固窮爲是而群動爲非則誰能普濟到彼岸耶曰否否若不自立而欲濟人則未能濟人而先自沒不待舍達之向從遲遲盤桓上做得一副當後凋林則是乃所以爲濟術請以是爲遲松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司憲府持平許公墓碣銘【並序】 松沙奇宇萬我世宗大王以國家四葉哲辟膺右文一初之運野無遺賢朝無幸位時則有若止齋許公諱斯文字敬始一擧而得上庠再擧而得壯元由主簿陞典籍遷宗廟令出官七邑入選持憲蓋其文章優負時望明廷對策感動 上心直置之第一而兵革之後流民靡歸知公撫民有德使之分憂列郡又知公補袞有忠委以諫輔之任而不能大用於時位稱其德豈其爲年命所局歟生卒年月世久無徵雖不可攷而其不能展布所蘊惜哉公內行甚備生養葬祭無違築室於墓以終其制家牒所傳僅此一班零金碎玉不少槩見而南直學送許壯元文幸傳於世所謂謹愿之質奇偉之才華聞遠播大爲時人仰慕者公實行與負重可槩而知知德者尙有以考焉許氏系泰仁上祖諱褒 高麗受封泰山以爲貫高祖岑禮儀判書曾祖涵僉正祖倫司宰令考慶保勝中郞將妣瀛州李氏父中郞將宜明夫人開城朴氏監務貴生女二男承元昆元幷生員長房孫會習讀二房孫謙生員文行圭組連世東湘震童雪巖紹道峯繼尤著幷俎豆于院至今多讀聖賢而談義理者益知公遺澤久而未斬也垂五百年墓無顯刻蓋未遑也今將竪石秀士淑與其族兄汶族姪泰植幷轡過余而徵銘銘曰泰山之許奕于勝國逮我綿綿文行可述公生奇偉又兼淳質才足需世王庭射策一擧壯元志不喫著出宰列郡俱茂聲績入持憲平以補袞職知止爲齋位不稱德何損於公爲世慨惜仍仍雲雲文風不絶五世者三尙說流澤墨房向午我銘不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앞면편후 누일되온이 신사지의로 긋작 천운을 첨보하압고 탐〃 ᄉᆞ정이 심ᄂᆡ에 간절하올 분 귀문 가즁ᄋᆡ 안젼두 낫구 살을 두온 사정이 시일이 갈ᄉᆞ록쾨활 ᄉᆡᆺ듯하오 미승천입지의 오심 독당 흥황으로 자식 환가하오기을 굴지 기ᄃᆡ하옵든 차 문득 안하ᄋᆡ 득달하온이 다시옴 반갑고 사랑홉기 수월그린 모자 면목갓치 으리시서 저ᄋᆡ 구젼을 자시 드른이 우리 사형시 금시 히활하압신 성덕 자품시로 삼ᄉᆡ 유아ᄋᆡ 지나지 못할 철부지 한 거살 과도사랑 ᄋᆡ휼하시든 자랑 처향이 은근 못ᄂᆡ〃〃하압고 형용 더욱 앙증〃〃 사형시 각골은 히는 일 필난기오며 겸ᄒᆞ와 괄염하압신 정성 식물 차리로 봉파의 일장 글월을 밧자와 집수 면독하온이사의ᄋᆡ 밀〃정곡은 일석 연좌하와 낭〃 옥음을날셜 담축하오미 측호 차등이 업ᄉᆞ와 ᄌᆡ삼 숙시하온이 근일 이화 도화 춘ᄉᆡᆨ이 융〃하여 양곳흥미을 좃통하난 차시 ᄋᆡ연ᄒᆞ시와사돈 양톄후 별무첨손이나 안ᄀᆡ오시며 슬젼 졀무신 ᄃᆡᆨ 각네외분 호번 ᄎᆡᆨ님을 여일 능당 현첨 업ᄉᆞ시고 손아기 다 종반 윤학하오며 이곳 복부도 옥식 다감 화용 월모가 수척지 아이온지요 자욕이 ᄉᆡᆼ기난지 암〃 궁겁ᄉᆞ오이다겻사돈 각위분 귀솔 즁 안영들 하시며 그밧 허다 ᄃᆡ소ᄃᆡᆨ 두로 균상들 하시고 각처 원문 삭〃하오신잇가 두로 향염이로소이다 비처 ᄉᆞ제난 시후ᄀᆡ압서 독노 긔력이 ᄃᆡ첨은 안ᄀᆡ오시나 일ᄉᆡᆼ 두립삽고 ᄒᆞ셍도 근간 와ᄒᆡ난 업사오나 자황을 당뒷면할사로 석일이 ᄉᆡ롭시오이다 아ᄒᆡ도 온 후 저 남ᄆᆡ무탈 기특〃〃 종동서 각ᄂᆡ외 귀솔 즁 무고 든〃하오며 허다 ᄃᆡ소 두로 균상들 하시고 각곳 시ᄆᆡ 연속지 못ᄋᆡ들〃〃 여아들 이번 외와 저 형ᄌᆡ 남ᄆᆡ 화수로 즐기오 나갈 적마다 헛부오이다 사형시오 빈〃이 바든 것 업시 면〃 정성 식물 괄염하오신 일 원면홍안이로소이다 연이나 일후 ᄃᆡ망은 ᄃᆡ〃분 안영하압시고 자식 무사 환가하기 ᄃᆡ망이로소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경술년 사돈 권씨 언간(諺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미상 査人 權氏 査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술년 11월 23일에 사인(査人) 권씨(權氏)가 사돈에게 쓴 한글 편지 경술년 11월 23일에 사인(査人) 권씨(權氏)가 사돈에게 한글로 쓴 편지이다. 불초한 딸아이를 귀한 가문에 시집 보낸 감회를 먼저 서술한 뒤 바깥사돈께서 먼 길 행차하셨는데 제대로 대접하지 못한 것을 부끄러워 하였다. 사위[서랑(壻郞)]의 대장부 풍모에 흡족해하고 있으나, 다만 노복과 말도 없이 빈손으로 돌려보낸 일을 민망해 하였다. 요사이 사위와 가족들 안부를 묻고, 딸아이는 가르친 것이 없으니 친딸처럼 가르쳐 주시기 바란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7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申壽命 申壽命<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7년(고종14) 2월 6일에 신수명이 누군가에게 3냥을 받고 초장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77년(고종14) 2월 6일에 신수명(申壽命)이 누군가에게 초장(草場)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방매사유는 이번 흉년을 당하여 세를 납부할 방도가 없기 때문이라고 적었다. 초장의 소재지는 고창군 오동면(五東面) 사계촌(沙溪村) 뒤편이고 지목은 초장, 면적은 수확량 기준 10복(卜)이며, 거래가는 전문(錢文) 3냥이다. 매득인의 이름은 없고 다만 우댁(右宅)이라고 적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講會儀 入齋之規無論長幼貴賤凡有志於學者皆可入每月朔【或定日】會講別立講長以主之【明經行義衆所推服者爲之】擇有文行者一人爲司講一人爲直月一人爲執禮一人爲讀法○講會日早朝講長率有司及直日及執禮及讀法及諸生先行相揖禮【會中以齒德俱尊者爲東西班首諸生中習禮者爲東西曺司】執禮立於阼階上讀法立於西階上東向讀朱子白鹿洞規約及藍田呂氏鄕約乃升堂就講講長坐北壁下堂中南向【講長有故未參則虛其位】聽講坐西壁下與齋任相對【齋任卽直日執禮讀法】諸生皆行北向西上以齒序立直日詣書案前抽栍示當講者當講者再拜講訖又再拜而出○講畢講長與聽講之應抗禮者交相揖諸生向講長再拜講長答一拜又向聽講再拜聽講答一拜諸生交相揖乃退【升降講長及齋任由東階諸生由西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陳設圖 【縣則不用羊腥】 釋奠正配位每位籩八在左爲三行右上○第一行形醢有前魚鯒次之第二行乾棗在前栗黃榛子次之第三行菱仁在前芡仁鹿脯次之○豆八在右爲三行左上○第一行{䒑/匪}菹在前{沈/皿}鹽次之第二行菁菹在前鹿醢芹菹次之第三行兎醢在前筍菹魚醢次之○俎二一在籩前一在豆前○籩前俎實以羊腥豆前俎實以豕腥○簠簋各二在籩豆間簠在左簋在右○簠實以稻粱粱在稻前簋實以黍稷稷在黍前○爵在簠簋前各有坫○正配位各犧尊二一實明水一實醴齊○象尊二一實明水一實盎齊○山罍二一實玄酒一實淸酒爲二行○第一行犧尊第二行象尊第三行山罍皆加勺冪在殿上東南隅北向西上○配位尊在正位酒尊之東巾用綌玄被纁裏圓一幅釋奠儀云爵重一斤八兩通高八寸二分深三寸三分口徑長六寸二分闊二寸九分兩柱三足有流有扳金○詩禮器圖說云飮器受一升上兩柱取飮不蓋之義戒其過也【本爵玉爵同制】拈釋尊儀云祝版坫重二升九兩從廣九寸二分三禮圖謂拈以致爵亦以承尊今版載祝詞爵備酌獻必審所處而置爲示飮勤祀事之意有占之義故謴之坫也今範金爲之其體四方措諸地而平正爵坫同冪釋奠儀云三禮圖布之幅二尺有二寸而圜之今以布一幅取方爲之周禮圖云八尊獻天地故用疏布巾尙質也六彛裸宗廟故用布巾之精者其畵雲爲文與特牲犧尊釋尊儀云犧尊重九斤一十兩通足高六寸一分口徑二寸四分頭至足高八寸二分耳高二寸一分五厘耳闊八分五厘深三寸七分○禮書云犧象周尊也牛大牲膏薌宜於春象大獸産於南越此先王所以用祀禴也象尊釋奠義云象尊重一十斤通足高六寸八分口徑一寸八分耳闊一寸二分耳長一寸九分深四寸九分餘見犧尊說山罍禮書云山罍尊也刻而畵之爲山雲之形謂之罍者取象雲雷博施如人君下及諸臣山罍夏禹氏之尊也○周禮圖云畵山雲形一盛玄酒一盛盎齊龍勺釋尊儀云龍勺重一斤勺口徑闊二寸一分長二寸八分深一寸一分柄長一尺二寸九分酌獻盥洗皆以勺挹之銀鍍金滿鏤臺盞俗祭用之○陵則爵尊畵龍沙尊俗祭用之○陵則山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祭器圖記 ○朱文公釋尊儀云諸祭器祭服破敝不任修葺者申換器則埋之服則焚之委官監籩釋尊儀云籩以竹爲之口徑四寸九分通足高五寸九分深一寸四分足徑五寸一分○詩禮器圖說云竹爲之薦果核容四升豆釋奠儀云豆以木爲之高下深淺口徑足徑幷依籩制○詩禮器圖說云木爲之薦菹醢容四升鉶禮書云鉶鼎所以實羹者鉶羹所以具五味者自羹言之則曰鉶羹自器言之則曰鉶鼎俎釋奠儀云俎長一尺八寸闊八寸高八寸五分漆兩端以朱中以黑○詩禮器圖說云木爲之以載牲體簠釋奠儀云簠用銅鑄造幷蓋重一十三斤二兩通蓋高七寸深二寸闊八寸一分腹徑長一尺一分○後凡言重者皆銅屬簋釋奠儀云簋幷蓋重九斤通蓋高六寸七分深二寸八分闊五寸腹徑長七寸九分闊五寸六分○詩禮器圖說云瓦器以盛黍稷容斗二升方曰簠圓曰簋篚釋奠儀云篚以竹爲之通足高五寸長二尺八分闊五寸二分深四寸蓋深二寸八分用於薦物而有餙焉者也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羅麗崇奉事實 新羅聖德王十六年【唐開元丁巳】秋九月王子太監守忠【一云鄭河城君】入于唐歸獻文宣王眞像及十哲七十二弟子像命置太學高麗宣宗四年【宋煕寧甲寅】金文安公良鑑左僕射參知政事守太尉使于宋圖太廟國學而還蘇東坡作詩送之曰乞與三韓使新圖渡樂浪高麗元宗時安文城公裕憂學校日衰建議兩府曰宰相之職莫先於敎育人材今養賢庫儲竭無以養士請令六品以上七品以下各出銀幣有差歸之庫存本取殖爲贍學錢兩府從之聞于朝王亦出帑藏以助之以餘財付博士金文鼎等送中原畵先聖及七十二弟子像幷購祭器樂器六經諸子史來以興學養士爲己任嘗憂學校政衰慨然有詩曰香燈處處皆祈佛簫管家家盡事神獨有數間夫子廟滿庭春草寂無人遂納其田土臧獲供給學舍其徒繁衍伴中至今賴之【文宣王十哲七十二弟子像奉安順興府紹修書院】恭愍王時館生不過數十李牧隱穡爲大司成更定學式每日坐明侖堂分經授業講畢相與論難無倦於時學者坌集程朱之學始興○圃隱鄭先生以政堂文學博士入爲侍中內建五部學堂外設州郡鄕校務盡興學之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卷之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本校沿革 高麗恭讓王庚午圃隱鄭夢周以政堂文學博士入爲侍中內建五部學堂外設州郡鄕校以興儒風我 朝太祖元年壬申 命諸道按察使以學校興廢爲考課守令之法本校之創似在於此際而其年代則未詳舊在鳳山蓋蓮花爲邑時密邇鳳山宜其有鄕校後移栗亭而亦未其年代英宗二十五年乙亥宋櫟泉明欽知縣時移建于玉果後雪山下今仍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道峯許先生墓碣銘【幷序】 則止軒兪彦鎬河西文正先生以學問節義爲 中仁朝名儒當時及門之士若鄭松江澈奇錦江孝諫卞壺巖成溫梁鼓巖子澂皆彬彬君子人而又有道峯處士許公繼者從先生久見與甚重特以其出處隱顯之不同不得與諸公竝稱於世君子惜之公泰仁人字仲承生丁亥家于玉果之道理峯下因以自號許氏系出高麗泰山君褒歷四世入 本朝有斯文文科持平校理其子昆元孫謙曾孫叔賢仍三世司馬叔賢子麒參奉是公之考也妣竹山朴氏公 嘉靖辛酉中司馬其從師粤自童丱先生嘗知本縣也公之得於朝夕薰沐者尤多先生每公餘肩興造公與之徜徉乎水石間以發仁智之趣其杖屐之所流{甛/心}土人尙指以爲言云今去公二百餘年家狀佚於兵火平日言行鮮得以詳焉獨先生集中有與公酬贈詩多其詩稱引甚盛有以見公孝友之實學問之博經濟之具師友相契之深也其答楚辭問一絶曰澤畔醒吟客何須問醉翁靑燈手自剪端坐二更中蓋聞先生每七月朔日携酒入深山號哭竟日或月明令門人誦屈子騷賦輒慷慨泣下此詩所以見其意也噫靑燈端坐之夕歔欷鬱悒其意微人莫能測而惟公可與語此則是豈群弟子所敢望哉後千百世可以知公者其在斯矣公墓于本縣雲谷負子配全州崔氏文祥女祔焉一男之吉奉事二女歸梁得遇金克修生員孫廷說將仕郞廷虎參奉廷憲將仕郞廷弘曾孫國忱國良將仕郞國老國臣國賓進士國弼國心國卿國重餘不盡載今公之七世孫橈鏶等走七百里請余銘銘曰昔孔門諸子未必盡通六藝然而名傳于後者由聖人一言以與之也噫金河西贈公詩數篇足以不朽公於百世又安用琢辭于牲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改勉齋申公墓碣銘【幷序】 全州李喜璡申君彦繩錄叔父行治請余以樹阡之文其錄曰公有異質沈重介潔自幼聲色之不正者未嘗接于耳目上學後讀書不懈里塾來往不由田間蹊徑曰古人草木之方長不折況踏穀而安於心乎其事親也遵古人成法至於宿處飮食禮無所闕自成童已然二十三謁艮齋田先生有訓必服膺書不泛涉專習小學有童子來學必令總角由是或致毁謗無所係慮從僧舍間讀書忍飢啖松未嘗少怠好友勝己者以資益同門最親者金炳庵駿榮崔松庵鍾和崔秉心黃鑽奎如當世賢德崔勉庵益鉉奇松沙宇萬亦嘗從遊德必期於全成業必要乎廣博不幸志業未就二十七卒甲辰二月十二日也葬于穀城磻溪里高藏洞先塋下戊坐之原嗚呼幼而齎志其進也勇其操也堅修於家者孝且義施於人者愼而和所取友皆一世之賢而有望者先聖所謂事其大夫之賢者友其士之仁者也如是而往將見神會理融斯文之託世道之扶安知不在斯人也歟天何嗇其命而遽至於斯余爲之慨然不忍牢辭依其所錄敍之而名號世係幷列焉諱源均字學善平山之申自高麗太師壯節公崇謙入 本朝左議政文僖公槩貞淸公命仁是爲十七世十四世祖曾祖義瀗祖梃常春齋父夏熙學古堂亦師艮翁外祖慶州鄭永旼金海金宗泰其妻父也無子以兄子彦準爲後二女長適慶州金會信次幼銘曰因材以篤是天之道天亦難諶或反壽夭所謂壽夭以形骸言所不死者不以形存所立偉然其來有源父而學古祖乃常春有受家庭就正師門天定在此莫謂促齡愈遠彌彰百世猶生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