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6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庾台鉉 柳永善 庾台鉉信 1顆(적색, 원형, 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6년 3월 15일에 유태현이 류영선에게 고창군 오산면 소재 논 5마지기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 계약 문서 1916년 3월 15일에 유태현(庾台鉉)이 류영선(柳永善)에게 고창군에 있는 논 5마지기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이 토지는 유태현이 매득하여 경작해 온 것으로, 소재지는 고창군(高敞郡) 오산면(五山面) 학산리(鶴山里)이다. 자호는 여자(與字)이며, 부수(負數)는 20부 6속이다. 가격은 전문 500냥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갑오년 사돈 남씨 언간(諺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미상 査 南氏 査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오년 12월 초2일에 사돈 남씨가 사돈에게 쓴 한글 편지 갑오년 12월 초2일에 사돈 남씨[남ᄉᆡᆼ(南生)]가 사돈에게 한글로 쓴 편지이다. 사위를 맞이하는 혼례를 치르고 난 뒤에 사돈댁에 예물을 보내면서 쓴 편지이다. 혼례 당일 날씨 좋은 날에 많은 사람들을 모시고 대례를 무사히 잘 치렀음을 기뻐하였고, 먼발치에서 바라본 준수하고 비범한 용모의 사위를 보고 흡족하였음을 전하였다. 자신은 편친께서 몸이 편찮으시어 살얼음을 디디고 있는 듯하다고 하면서 식구들 근황을 두루 전하였다. 딸아이가 사돈 마음에 드실지 염려하였고, 누추한 곳에서의 대접과 결혼 예물들이 보잘것없음을 부끄러워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앞면ᄃᆡᄉᆞ난 갈린 길일이 쉽ᄉᆞ리 닷치와당일 양명이 은〃ᄒᆞ온대 관듕 상ᄒᆞ호ᄒᆡᆼ을 반가이 마주어 만인 회듕에만복대래랄 무ᄉᆞ이 슌셩ᄒᆞ온 후ᄂᆡ빈 외ᄀᆡᆨ에 무궁한 ᄎᆞ셩 일문에 간 듯 훤좌ᄒᆞ올 ᄎᆞ 만보애셔 뵈오니 듄슈 비범 옥용하미 진짓 대인군ᄌᆞ에 기틀이라 진셰 인물은 안니시고 쳔ᄉᆞᆼ 션동이 누지ᄋᆡ ᄒᆞ강ᄒᆞ온닷 이곳 ᄒᆞᄉᆡᆼ 미거한 여아을 두압고 십구년 동셔남북으로 광구ᄒᆞ옵든 바 마ᄎᆞᆷ 귀문 존하에 만금 애ᄌᆞ랄 유의ᄒᆞ온니 오히려 소망에넘치온닷 여ᄋᆞ에 ᄇᆡᆨ년 완구 든〃함 미리 깃겁ᄉᆞ오이ᄃᆞ 납한 일셰심한ᄒᆞ온ᄃᆡ 연이ᄂᆞ 사돈겨압셔양톄후 호대 탐〃 신듕 존톄 안상이시와 침반 등호 일향 강밀ᄒᆞ오시며 슬젼도 형님 남ᄆᆡ분 츙완 다길ᄒᆞ시와 가혼을 돕ᄉᆞ오시며 겻사댱 각외분 쳠후 안산이시며 대소졔택과 귀문 당ᄂᆡ 도후 듀〃 일안이신지요 맛따님 안신과 향안나역이 회쳐 젹ᄉᆞ오시며 각신 ᄌᆞ로 용녀업ᄉᆞ신지 신ᄉᆞ지초 각별ᄒᆞ오니ᄃᆞᄒᆞᄉᆡᆼ도 당상 편친계압셔 엄〃 글역 뵈ᄋᆞᆸ기 살빙을 디딈 갓ᄉᆞᆸ고 사뎨도 안밧 와병은 면ᄒᆞ옵드니 근간 경ᄉᆞ에 뜨여 괴로옴을 모라오니 인가 낙ᄉᆞ ᄎᆞ곳ᄒᆞᄉᆡᆼ 혼ᄌᆞ 온 듯ᄒᆞ오니다 슬하 ᄌᆞ식 ᄂᆡ외 어린 것들 다리고 골물 헤워 나시 못 건셩〃 안뒷면히오며 이밧 동기와 대소 각딥 두로화졍ᄒᆞ시오며 싀ᄆᆡ님 형뎨분귀평ᄒᆞ시와 단취 즐기시니 반갑ᄉᆞ오며 각신은 요번 다 드러 편하시나 친안 낙〃 궁겁ᄉᆞ오이ᄃᆞ 여ᄋᆞ도시속 나이ᄉᆞ 어리다 ᄒᆞ리요마는데 달영 넘기노라 혈슉한 모양사돈 쳐음 보실 상 허무하실 듯 사돈 겨셔난 누지에 왕림ᄒᆞ시와 유련토 안니신 ᄃᆡ졉 ᄉᆡ로 박〃 무안ᄒᆞ오니ᄃᆞ 예ᄉᆞ 치혼 결속과 식물은 고법에 상셰오ᄂᆞ ᄇᆡᆨ물언 극고등 시가에 아모것도 보심ᄌᆞᆨᄒᆞᆫ 것 업ᄉᆞ오니 고안에 낙심되오실 듯 원면홍안 둘 곳 업ᄉᆞ오이ᄃᆞ 졍ᄉᆞ 미진ᄒᆞ오ᄂᆞ 분요 듕 ᄃᆡ강 이만졍셔ᄒᆞ오며 ᄉᆞ연 션후 업ᄉᆞ오니 ᄌᆞ문에 눌너 보시ᄋᆞᆸ갑오년 납월 초이틀남ᄉᆡᆼ 상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0년 김협일(金祫日) 토지매도증서(土地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영수증 金祫日 李吉龍高昌柱 金祫日信 1顆(적색, 원형, 1.2cm)高昌柱信 1顆(적색, 원형, 1.2cm)趙秉斗信 1顆(적색, 원형, 1.2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0년 12월 25일에 김협일이 이길룡, 고창주에게 순창군 무림면 소재 집터와 밭을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 계약문서 1920년 12월 25일에 김협일(金祫日)이 이길룡(李吉龍), 고창주(高昌柱)에게 순창군 소재 가대(家垈)와 전래해 온 밭을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매물건의 소재지는 순창군(淳昌郡) 무림면(茂林面) 월정리(月亭里)이다. 매수인에 이길룡, 고창주 2인의 이름이 쓰여있으나 두 사람의 관계는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0년 정대진(鄭大瑱)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鄭守吉 鄭大瑱 鄭守吉 1顆(적색, 1.2cm)洛元 1顆(적색, 0.5cm)鄭炳淳 1顆(적색, 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0년 11월 1일에 정수길이 정대진에게 소나무밭을 방매하면서 발급한 매매계약문서 1910년 11월 1일에 정수길(鄭守吉)이 그동안 금양(禁養)해오던 송전(松田)을 정대진(鄭大瑱)에게 방매하면서 발급한 송전 매매명문이다. 이 소나무밭은 방매자 정수길이 매득한 것으로 서상면(西上面)에 있다. 값은 100냥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0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興培 金敦奎章 1顆(적색, 0.9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0년 11월 10일에 김흥배가 유가면 소재 논 2군데를 방매하면서 발급한 토지매매 계약문서 1910년 11월 10일에 김흥배(金興培)가 유가면(柳加面)에 있는 논 2군데를 방매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매한 토지는 논 2마지기와 1마지기, 부수(負數)로는 12부 4속과 1부 5속이다. 가격은 전문 135냥이다. 매득자의 이름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0년 이길룡(李吉龍) 산지매매증서(山地賣買證書) 2 고문서-증빙류-영수증 徐正華 李吉龍 徐正華信 1顆(적색, 원형, 1.1cm)金弘燮信 1顆(적색, 원형, 1.2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0년 12월 29일에 서정화가 이길룡에게 순창군 무림면 소재 산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산지매매 계약문서 1920년 12월 29일에 서정화(徐正華)가 이길룡(李吉龍)에게 순창군에 있는 산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산지매매명문이다. 이 산지는 순창군 무림면(茂林面) 자양리(紫陽里) 대적동(大蹟洞) 서쪽 기슭에 있는 것으로, 문서상에 산지의 상하좌우(上下左右)의 지형과, 사표(四標)가 기재되어 있다. 매매가는 100원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0년 노 봉문(奉文)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尹慶模 奴 奉文 尹慶模<着名>金大參<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0년(고종7) 11월 25일에 윤경모가 고생원댁 노 봉문에게 밭과 시장, 나무 등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70년(고종7) 11월 25일에 윤경모(尹慶謨)가 고생원댁(高生員宅) 노(奴) 봉문(奉文)에게 밭과 시장(柴場) 등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윤경모는 선대로부터 상속 받은 밭과 시장을 수년 동안 경작하고 가꿔오다가 많은 사채(私債)를 감당하지 못하여 팔게 되었다고 소유경위와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계촌(桂村) 농막촌(農幕村) 앞이다. 매물은 관자(官字) 자호의 밭 1말[斗] 5되지기[升落只], 당목(棠木) 15그루, 마을 뒤편의 시장(柴場) 1편(片), 오동나무 2그루, 시초(柴草) 15복(卜)을 벨 수 있는 곳이다. 이것들을 전문(錢文) 32냥을 받고 고생원댁 노 봉문에게 영영 방매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89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韓圭鉉 梁日龍<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9년(고종26) 3월 한규현이 누군가에게 논 4마지기를 70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89년(고종26) 3월 한규현(韓圭鉉)이 누군가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한규현은 선대로부터 전래된 논을 부득이한 형편으로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오지방(吾支坊) 오지촌 후평(後坪)이고 자호는 피자(彼字),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4마지기[斗落只], 수확량 기준으로 12복(卜) 7속(束)이며, 거래가는 전문 70냥이다. 구문기(舊文記) 1장을 신문기와 함께 매수인에게 넘겨주며 영구히 방매하였다. 양일룡(梁日龍)이 이 거래에 증인 겸 필집으로 참여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착명하였다. 소재지인 오지방은 남원부의 48방(坊) 중 하나로 추정되고 이후 남원군에서 임실군 삼계면으로 편입된 지역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1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蘇輝英 蘇輝英<着名>張時玉<着名>李尙珣<着名>李正會<着名>蘇準述<着名>金赫臣<着名> 3顆(적색,정방형,7.5×7.5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164_001 1891년(고종28) 8월 모일에 둘째 아우인 소휘영이 누군가에게 논 5마지기를 180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91년(고종28) 8월 모일에 둘째 아우인 소휘영(蘇輝英)이 누군가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소휘영은 자신의 동생의 옥사(獄事)로 인해 쓴 돈을 갚을 길이 없어 부득이 큰형이 상속받은 논을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남원 지사방(只沙坊) 옥산촌(玉山村) 율야미평(栗野味坪)이고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5마지기[斗落只]인데 여기에 지금 자라고 있는 곡식까지 합해서 전문 180냥을 받고 영구 방매하였다. 거래시점이 8월로 추수 전이므로 수확할 곡식까지 포함하여 거래가가 결정된 것이다. 옥사가 무슨 일인지 자세히는 알 수 없으나 3개 동(洞)의 동임(洞任)과 풍헌(風憲)이 참여한 것을 보면 상당히 복잡하고 큰 옥사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관인(官印)이 세 군데 찍혀 있는 것도 같은 이유일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앞면안시라 두어ᄌᆞ ᄉᆞᆯ펴라슬푸고 ᄎᆞ회〃〃라 현ᄌᆡ〃〃야 부원지쳑ᄋᆡ서 우디ᄌᆞ로 ᄉᆞᆼ봉 못 ᄋᆡ들〃〃 무심 토목 형은 혀궁ᄋᆡ ᄯᅳ여일전 그곳 츈몽갓치 단여온 지 이ᄉᆞᆷ일 되온이각ᄉᆡᆨ 굼겹기 간절〃〃 무정 ᄉᆡ월 결님 업기로 어언간 ᄉᆞᆷ츈 ᄉᆞᆷ하을 혼몽간 젼송ᄒᆞ고 어난덧지ᄒᆞᆫ 일ᄉᆡ 지리 누진ᄒᆞ온ᄃᆡ 연하와사장어룬긔압셔 ᄯᅡᆫ 쳠절 업ᄉᆞ시며 슬전 안셔방긔셔도 일ᄉᆡᆼ 신양으로 지ᄂᆞ온니 ᄋᆡ들〃〃 조곰 ᄎᆞ호 인난가 굼〃 어ᄃᆡ 가셔 편ᄌᆞ 셔약을 구하야 신양을 타쳡ᄒᆞᆯ고 ᄋᆡ들〃〃 너 동기ᄃᆡᆨ 이위분 알영ᄒᆞ시며 너도 만ᄉᆞ심여 즁 식음 감식 모ᄉᆞ라며 만금 질아들 남ᄆᆡ 무양 뉸ᄐᆡᆨᄒᆞ며 소ᄐᆡᆨ이도 층ᄃᆡ분 평안ᄒᆞ시며 가소 인편이며 일문 합져리 쥬〃 화평들 ᄒᆞ시며 각ᄉᆡᆨ원문이외다 이곳 형은 인명이 결여 ᄉᆡᄉᆞᆼᄋᆡ 머무오ᄂᆞ 서셔방도 ᄯᅡᆫ 연고난 업ᄉᆞ오나 천운인지 가운인지일ᄉᆡᆼ 마암 ᄌᆞᆸ지 못 신 반환 피ᄋᆡ모솝고 동기 각〃 무ᄉᆞ 든〃 아ᄒᆡ들 여려 종반 몹시 파러 즁난〃〃 일전 용기단여가다 ᄒᆞᆨᄉᆞᆫ기리 단와다 ᄒᆞ드라 저 ᄒᆡᆼ편도 난감〃〃 슬푸다 안실라 우리 형ᄌᆡ난 전ᄉᆡᆼᄋᆡ 무ᄉᆞᆫ 죄로 ᄎᆞᄉᆡᆼᄋᆡ 여ᄌᆞ도여 하로 ᄉᆡ월도 못 보고 이리 ᄋᆡ간ᄌᆞᆼ 녹아난고 ᄋᆡ〃 분ᄒᆞ여라 슬ᄃᆡ업난 우리들 어마 휴ᄌᆞᆼ 명만 연뒷면이 그ᄂᆞᆫ ᄯᅩ한 유감이라 이 ᄉᆡᄉᆞᆼ 조물 본역도 고르지 못ᄋᆡ들〃〃 천만ᄉᆞ ᄉᆡᆼ각ᄒᆞᆫ이 인명이 ᄌᆡ쳔이ᄂᆞ니 무ᄃᆡ못ᄒᆞᄀᆡ다 안시라 너난 초열ᄀᆡ ᄒᆞᆨᄉᆞᆫ을 갈ᄂᆞ ᄒᆞ든니가난가 굼〃 형은 보롭ᄀᆡᄉᆞ니ᄂᆞ 가무 시우다 한목 일ᄒᆡᆼᄒᆞ면 조흘다 안실라 보롭날 호명셔 능골양완 지ᄉᆞᆼ인ᄃᆡ 형도 글ᄯᆡ 갈셩ᄒᆞ다 갓ᄯᅡ가 갓치 와셔 여ᄉᆡ날 ᄉᆞ이ᄂᆞ 와셔 일반ᄎᆞ 타고 갓치 가면 조흘다시우다 그 안으로 너가 ᄌᆞᄋᆡ 오거든 우리 집가지 단여가거라 안실아 우리 형ᄌᆡ 심즁 첩〃 ᄉᆞ힌 회포 ᄐᆡᄉᆞᆫ도 부족이고 ᄒᆞᄒᆡ 미족이ᄂᆞ 건천ᄋᆡ ᄯᅳ인 심 ᄌᆞᆸ지 못 횡셜슈셜 괴〃 지ᄉᆞᆼ 업시 두어ᄌᆞ 젹난다 너 능문ᄋᆡ눌여 촌탁ᄒᆞ여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언니 언간(諺簡) 2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미상 兄 安室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544_001 언니가 안씨 집에 시집간 동생에게 답장으로 쓴 한글 편지 언니[형(兄)]가 안씨 집에 시집간 동생에게 답장으로 쓴 한글 편지이다. 첫머리에 '안실(安室)아, 답장 살펴보아라[안실라 답 ᄉᆞᆯ펴라]'로 시작하여 수신자가 안씨 집안으로 시집간 여동생임을 명시하였다. 오남매가 각기 흩어져서 살 뿐만 아니라 여자로 태어나 서로 만나기 어려운 현실을 안타까워하면서 안부를 물었다. 네가 고향 땅에 못 온 지가 4-5년이 되었음을 언급하고, 외롭게 지내시는 어머니는 다행히 무탈하시다는 소식을 전하며 언젠가 만나서 쌓인 정회를 푸는 날이 오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언니 언간(諺簡) 1〉과 발신자 및 수신자가 동일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3년 심능희(沈能禧)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尹審汶 沈能禧 尹審汶<着名>尹炳璡<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3년(고종10) 4월 15일에 윤심문이 심능희의 계중에 논 2마지기를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73년(고종10) 4월 15일에 윤심문(尹審汶)이 심능희(沈能禧)의 계중(稧中)에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윤심문은 자신의 계답(稧畓)에서 수년간 가을에 세를 받아왔는데 판서공(判書公)의 가증(加贈)과 관련한 일로 빚을 갚아야해서 부득이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복하도(福下道) 진항(津項) 미력평(彌力坪)이고 자호는 솔자(率字), 면적은 2마지기[斗落只] 1배미[夜味]이고 부수(負數)는 6복(卜) 6속(束)이며, 거래가는 전문 50냥이다. 이 논의 본문기(本文記)도 신문기와 함께 매수인에게 넘겨주며 영구히 방매한다는 내용이다. 윤병진(尹炳璡)이 이 거래에 증인 겸 필집으로 참여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35년 김장손(金長孫) 토지매도증(土地賣渡證)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金長孫 金蓮淑 金蓮淑[着名] 金長孫 1顆(적색, 0.7)李相採 1顆(적색, 0.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5년 1월 11일에 김장손이 김연숙에게 밭을 방매하면서 작성한 토지 매도 증서 1935년 1월 11일에 김장손(金長孫)이 김연숙(金蓮淑)에게 금성(金城) 기오면(岐梧面) 소재 밭을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 매도증서이다. 토지의 지목은 밭이며, 면적은 2천여평이다. 매매대금은 35원이며, 매매하는 토지의 사표(四標)도 제시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5년 한창석(韓昶錫) 토지매도증서(土地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영수증 韓昶錫 韓昶錫信 1顆(적색, 1cm)韓星洙 1顆(적색, 1cm)韓永洙 1顆(적색, 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5년 3월 19일에 한창석이 순천군 소재 토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도 증서 1935년 3월 19일에 한창석(韓昶錫)이 토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도증서이다. 매득자의 이름은 쓰여 있지 않다. 매도한 토지는 순천군(順天郡) 낙안면(樂安面) 목촌리(木村里)에 있으며, 지목은 밭으로 되어 있다. 매도 대금은 27원이다. 문서 작성에는 매도인, 보증인, 입회인이 참여하여 이름을 쓰고 인장을 찍었다. 보증인과 별도로 입회인이 존재하는 것이 이채롭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權寧八) 巍然院宇沛城東復設威容依舊同五位尊靈妥享裡一鄕多士仰瞻中開窓逈照千秋月拂檻淸噓百世風絃誦書聲傳遠近虔誠俎豆永無窮 安東后人權寧八謹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金昌泳) 淸河院建沛城東多士駿奔芬苾同萬古綱常扶植裏千秋聖學講磨中軒頭更照濂洛月樑上重吹泗水風往蹟繼承今復起一源道脈永無窮 金海后人金昌泳謹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柳煥容) 院宇重新沛水東森嚴廟貌舊規同苾芬牲幣恭伸裡顯赫精靈陟降中仁里平郊凝瑞氣母山峻嶺動淸風闡明綱紀扶吾道百世悠悠永不窮 文化后人柳煥容謹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盧秉宣) 先生大義振吾東書院淸河舊樣同日月高懸昭簡裡江山不變入眸中丹忠赫赫今來仰功績巍巍古往風賢祖令孫相繼述華門景福世無窮 豐川后人盧秉宣謹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講會儀 期日早會瞻拜廟位後行相揖禮【搢紳講長參講升堂復揖】齒坐【縉紳直講掌色直月序東聰講以下諸生序西至南】執事隨唱笏先讀朱子洞規掌議以下長弟讀【問難講義執事隨問答卽錄爲講說】講畢分揖而罷自小學至大學【庸學或問】論語孟子中庸詩書易禮春秋心經近思錄程朱諸書分篇排朔循環熟講永世遵規母負盛朝奬先賢勉後學之意右講規取法於陶菴李先生所述考巖講規略有通變焉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