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36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奴 文山哲 奴 文山哲<着名>慈上<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239_001 1936년 3월 26일에 정생원댁 노 문산철이 누군가에게 2말 7되지기의 논을 8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936년 3월 26일에 정생원댁(鄭生員宅) 노(奴) 문산철(文山哲)이 누군가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문산철은 자신의 상전을 대신하여 교동전평(橋洞前坪)에 있는 존자(存字) 자호의 논을 팔았다. 논의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2말[斗] 7되지기[升落只]이고 매매가는 전문(錢文) 8냥이다. 방매사유는 이매(移買), 즉 이 논을 팔아서 다른 곳의 토지를 사기 위해서라고 적었다. 산철은 상전댁의 배자 내용에 따라 매수인에게 영구 방매하고 신문기(新文記)를 작성하여 주었고, 구문기(舊文記)에는 다른 논이 함께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출급하지 못한다는 내용도 추가하였다. 노 문산철이 정생원에게 원매인을 찾아 방매하라는 내용의 배지가 함께 전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44년 노 차복(次卜) 배지(牌旨) 고문서-명문문기류-배지 尹 奴 次卜 上典 尹<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44년 4월 19일에 상전 윤씨가 노 차복에게 원매인을 찾아 밭 1일경과 1식경을 합한 두 곳을 팔도록 지시하는 내용의 배지 1844년 4월 19일에 상전(上典) 윤씨(尹氏)가 노(奴) 차복(次卜)에게 발급한 배지이다. 윤씨는 자신의 밭을 방매하고자 사내종 차복에게 이 밭을 사기 원하는 사람을 찾아 매매를 할 수 있도록 밭의 상세 정보를 적어준 것이다. 논은 포천(抱川) 청량면(淸涼面) 마전리(麻田里)에 있고 자호는 조자(弔字)이며, 면적은 일일경(一日耕)과 일식경(一息耕) 두 곳을 합하여 2부(負) 4속(束)이고, 사표(四標)가 분명한 곳이라고 하였다. 이렇게 밭의 상세정보를 적은 뒤에 너는 원매인을 찾아 값을 받아 상전댁에 바친 뒤에 이 배자의 내용에 따라 신문기(新文記)를 작성하고, 본문기(本文記) 2장과 배자 3장도 함께 매수인에게 주도록 하라고 하였다. 이러한 정보들은 매매명문을 작성하는 기초정보를 배지 안에 모두 기재한 것이고, 차복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원매인을 찾아 매매를 성사시키면서 매매명문을 작성하는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30년 현학규(玄鶴圭)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得春 玄鶴圭 李得春信 1顆(적색,원형,1cm)光州地方法院潭陽出張所 1顆(적색,정방형,3.7×3.7cm)司法代書人吳昌俊 1顆(적색,정방형,1.5×1.5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0년 1월 14일에 현학규가 이득춘으로부터 토지를 매입하고 광주지방법원 담양출장소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작성 제출한 매도증서 1930년 1월 14일에 현학규(玄鶴圭)가 이득춘(李得春)으로부터 밭을 매입하고 난 뒤 광주지방법원(光州地方法院) 담양출장소(潭陽出張所)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작성 제출한 문서이다. 일본어로 인출된 용지에 대서인(代書人)이 해당 사항을 기입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매매 부동산의 소재지는 담양군(潭陽郡) 고서면(古西面) 고읍리(古邑里) 184번지이고, 지목은 전(田), 면적은 450평(坪), 매매대금은 63원이다. 문서의 좌측에 장방형의 도장 두 개가 찍혀 있는데 우선 하단의 등기제(登記濟) 인은 수부(受附)를 적은 것으로, 수부는 접수의 의미이다. 즉 등기 신청을 접수한 날짜는 소화(昭和) 5년 1월 15일이고, 접수 번호는 제487호이다. 상단의 작은 장방형 도장은 토지등기부에 등록된 등기번호를 기입한 것인데 번호는 제3935호이고, 순위번호는 2번이다. 등기제인 아래에 찍힌 도장은 '광주지방법원담양출장소인(光州地方法院潭陽出張所印)'이다. 그리고 마지막 좌측 하단에는 이 매도증서를 작성한 사법대서인(司法代書人) 오창준(吳昌俊)의 이름이 있고 여기에 도장이 날인되어 있다. 그 위에 적힌 서기요금은 16전이다. 사법대서인은 1895년 재판소구성법이 제정 공포되면서 생긴 새로운 직업으로, 변호를 담당하는 경우 대언인(代言人), 서류를 담당하면 대서인이라고 하였다. 주로 토지의 소유권이나 전당권 등을 증명하는 서류를 대신 작성해주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3년 오연술(吳然述)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吳成集 吳成集信 1顆(적색,원형,1cm)吳然述信 3顆(적색,원형1.2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3년 3월 24일에 오성집이 오연술에게 8마지기의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913년 3월 24일에 오성집(吳成集)이 오연술(吳然述)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소유 경위는 자신이 매득한 것이라고 밝혔고 수년 동안 세를 거두다가 부득이한 사정으로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고창군 오동면(五東面) 봉산전평(蜂山前坪)이고 자호는 창자(唱字),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8마지기[斗落只], 수확량 기준으로는 26복(卜) 8속(束)이며 거래가는 전문(錢文) 520냥이다. 이 논의 구문기(舊文記) 1장을 신문기(新文記)와 함께 매수인에게 넘겨주면서 영구히 방매하였다. 별지로 붙어있는 작은 종이에는 1913년 4월 1일에 오연술이 논 값 500냥을 받았다는 표(票)로 영수증과 같은 성격의 문서이다. 3월 24일에 거래가 이루어져 명문을 작성하였고 논 값 520냥 가운데 500냥은 며칠이 지난 뒤인 4월 1일에 수수된 것으로 보인다. 남은 20냥은 명문 작성 시 지불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2년 이길룡(李吉龍)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崔道成 李吉龍 崔成 1顆(적색, 태원형, 1.2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2년 11월 30일에 이봉엽이 시장 매매가 45원을 받고 이길룡에게 발급한 영수증 1922년 11월 30일에 이봉엽(李奉燁)이 시장(柴場) 매매가 45원을 받고 이길룡(李吉龍)에게 발급한 영수증이다. 시장은 온자곡(溫紫谷)에 있는 산지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1년 이수암(李壽岩) 차용증(借用證) 고문서-증빙류-차용증 李壽岩 李吉龍 李壽岩信 1顆(적색, 원형, 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1년 2월 20일에 이수암이 이길룡에게 80원의 돈을 차용하면서 작성한 차용증 1921년 2월 20일에 이수암(李壽岩)이 이길룡(李吉龍)에게 돈을 차용하면서 작성한 차용증이다. 차용한 금액은 80원이고 이자는 월리(月利)로 4푼으로 하고, 여기에 전당을 잡히는 물건은 무림면(茂林面) 자양리(紫陽里)의 마을 앞들에 있는 5마지기[斗落只] 3배미 논이다. 차용금을 갚을 기한은 음력 4월 말일로 하되 기한을 넘기면 전당 잡힌 논을 영구히 이길룡에게 넘기는 조건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8년 류영선(柳永善) 영수증(領收證) 1 고문서-증빙류-영수증 劉甲龍 柳永善 劉甲龍 3顆(적색,타원형,1.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253_001 1918년 음2월 21일에 유갑룡이 류영선에게 논 매매대금 400원을 받고 발급한 영수증 1918년 음2월 21일에 유갑룡(劉甲龍)이 류영선(柳永善)에게 발급한 영수증이다. 금액은 400원이고 이는 논 매매대금이다. 이에 앞서 음2월 4일에 유갑룡과 유면선이 류영선에게 고창군(高敞郡) 아산면(雅山面) 목동리(木洞里)와 중월리(中月里)에 소재한 1,446평과 2,614평(坪) 면적의 논을 각각 469원과 1,005원에 팔면서 매매계약서를 작성한 일이 있었다. 이 두 곳의 매매대금을 합하면 1,474원이 되는데, 지난 14일에 200원을 받았고, 지금 21일에 400원을 받은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8년 류영선(柳永善) 영수증(領收證) 2 고문서-증빙류-영수증 劉冕鐥 柳永善 劉冕鐥 3顆(적색,타원형,1.2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253_001 1918년 음2월 14일에 유면선이 류영선에게 논 매매대금 200원을 받고 발급한 영수증 1918년 음2월 14일에 유면선(劉冕鐥)이 류영선(柳永善)에게 발급한 영수증이다. 금액은 200원이고 이는 논 매매대금 중 약조금이다. 이에 앞서 음2월 4일에 유갑룡과 유면선이 류영선에게 고창군(高敞郡) 아산면(雅山面) 목동리(木洞里)와 중월리(中月里)에 소재한 1,446평과 2,614평(坪) 면적의 논을 각각 469원과 1,005원에 팔면서 매매계약서를 작성한 일이 있었다. 이 두 곳의 매매대금을 합하면 1,474원이 되는데, 그 가운데 약조금, 즉 계약금 200원을 이날 받았고, 이후 21일과 29일에 전체 대금을 받은 것을 관련문서를 통해 알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44년 문옥심(文玉心) 가대급건물매도증서(家垈及建物賣渡證書)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宣洙模 文玉心 宣洙模 1顆(적색,타원형,1.3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4년 9월 13일에 선수모가 문옥심에게 대지 및 건물을 100원을 받고 매도하면서 작성한 매도증서 1944년 9월 13일에 선수모(宣洙模)가 문옥심(文玉心)에게 대지 및 건물을 매도하면서 작성한 매도증서이다. 매매 부동산의 소재지는 순천군(順天郡) 낙안면(樂安面) 목촌리(木村里)이고, 지번이나 지목 등은 빈칸으로 두었으며, 매도대금은 100원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46년 이인식(李仁植) 토지매매증서(土地賣買證書)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裕植 李仁植 李裕植 1顆(적색,타원형,1.3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6년 12월 17일에 이유식이 이인식에게 밭 8마지기를 25,000원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도증서 1946년 12월 17일에 이유식(李裕植)이 이인식(李仁植)에게 밭을 팔면서 작성한 매도증서이다. 매도대금은 25,000원이고 지목은 전(田)이며, 면적은 8마지기[斗落只]이다. 이 토지를 영구히 매도하고, 소유권 이전은 매수인이 부담하기로 한다는 내용이 특약으로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9년 이길룡(李吉龍)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李奉燁 李吉龍 李奉燁信 31顆(적색, 원형, 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9년 4월 2일에 최도성이 대지 매도대금 42원을 받고 이길룡에게 발급한 영수증 1939년 4월 2일에 최도성(崔道成)이 대지(垈地) 매도대금 42원을 받고 이길룡(李吉龍)에게 발급한 영수증이다. 대지는 순창군 구림면(龜林面) 자양리(紫陽里)이고, 번지와 평수(坪數)는 빈칸으로 두고 적지 않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9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奴 成列 奴 成列<着名>宋和洙<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9년(고종16) 2월 4일에 변생원 노 성열이 누군가에게 논 18마지기를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79년(고종16) 2월 4일에 변생원(邊生員) 노(奴) 성열(成列)이 누군가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명문이다. 방매 사유는 이매(移買)라고 하였는데, 이는 원거리의 전답을 팔아 경작에 편리한 인근의 땅을 매입하는 것이다. 매물의 소재지는 고창군 오동면(五東面) 중리촌(中里村) 앞의 고직평(庫直坪)이고, 자호는 제자(諸字)이며,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18마지기[斗落只]이고 결부수(結負數)는 빈 칸으로 두었다. 거래가는 전문(錢文) 313냥이다. 구문기(舊文記)는 없이 신문기(新文記) 1장으로 거래가 이루어졌다. 유학(幼學) 송화수(宋和洙)가 증보(證保)로 이 거래에 참여하여 착명하였다. 증인이 거래사실의 진위 여부를 입증하는 참여자라면 증보는 거래상의 채무 불이행이나 불완전 이행 시에 보증 책임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82년 노 정득(丁得)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德善 奴 丁得 金德善<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2년(고종19) 10월 15일에 김덕선이 한생원댁 노 정득에게 논 3마지기를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82년(고종19) 10월 15일에 김덕선(金德善)이 한생원댁(韓生員宅) 노(奴) 정득(丁得)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 명문이다. 김덕선은 자신이 긴요하게 쓸 곳이 있어서 팔게 되었다고 방매 사유를 적었고, 소유 경위에 대해서는 선대로부터 전래된 논이라고 하였다. 매물의 소재지는 유고개(柳古介)이고 자호는 양자(良字)이며, 지번은 44분답(分畓), 면적은 수확량 기준으로 2복(卜)이고 파종량 기준으로 3마지기[斗落只]이다. 거래가는 전문(錢文) 40냥이다. 옛 본문기 1장은 집에 있어서 가져오지 않았고 매득 본문기 1장은 신문기와 함께 매수인에게 넘겨준다고 하였다. 그리고 소유권이 넘어가는 시기를 '내년부터[明年爲始]'라고 하였는데 이는 거래 시점이 10월이라 수확물에 대해서는 김덕선이 갖는다는 의미로 추정된다. 추기(追記) 부분에 지자(支字) 구문기 1장은 훗날 가져다 주는 것으로 약속한다고 적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11년 김상일(金尙一)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振云 金尙一 金振云<着名>金奉甲<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11년(순조11) 1월 31일에 김진운이 김상일에게 네 곳의 전답 10마지기를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 1811년(순조11) 1월 31일에 김진운(金振云)이 김상일(金尙一)에게 네 곳의 전답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이다. 김진운은 긴요하게 쓸 곳이 있어서 팔게 되었다고 방매 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서강내(西江內)의 이모고리(二毛古里)이고 양안(量案) 6책(冊)에 기재되어 있는 전답이다. 일자(壹字) 자호의 논 2마지기[斗落只]와 1마지기, 같은 자호의 밭 4마지기와 동범(東犯) 밭 3마지기로 모두 네 곳이며 부수(負數)로는 18부(負) 1속(束) 면적이다. 거래가는 전문(錢文) 25냥이고, 본문기(本文記) 5장을 신문기(新文記)와 함께 매수인 김상일에게 넘겨주면서 영구히 방매하였다. 김진운과 오촌관계인 김봉갑(金奉甲)이 증인으로 이 거래에 참여하였고 문서는 김진운이 자필로 작성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11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尹氏 尹氏<右手掌>朴履三<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11년(순조11) 3월 25일에 윤씨가 누군가에게 시장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 1811년(순조11) 3월 25일에 윤씨(尹氏)가 누군가에게 시장(柴場)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이다. 우선 방매인 윤씨는 오른쪽 손가락을 대고 수장(手掌)을 그린 것으로 보아 여성으로 보인다. 윤씨는 상속으로 받아 소유하게 되었다고 소유 경위를 적었고, 세미(稅米)와 환자[還上]를 마련한 방도가 없어 팔게 되었다고 방매 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장성군(長城郡) 북일면(北一面) 자경동(子景洞)이고 자호는 삭자(朔字), 지목은 시장이다. 시장의 면적은 부수(負數)로 7복(卜) 5속(束)인데 그 가운데 4복 5속만 따로 방매하는 것으로 보이며 천탈(川脫)은 미상이다. 거래가는 전문(錢文) 1냥 5전이다. 이 시장의 본문기(本文記)는 중간에 잃어버렸기 때문에 매수인에게 넘겨줄 수 없다고 하였다. 박이삼(朴履三)이 증인 겸 필집으로 이 거래에 참여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5년 최성구(崔聖九) 입후성문(立後成文) 고문서-증빙류-입후성문 崔聖元 崔承鎬 崔聖九<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5년 11월 4일에 양부 최성윤이 후사가 없어 최승호를 양자로 들이면서 작성한 입후성문 1895년 11월 4일에 양부(養父) 최성윤(崔聖允)이 작성한 수표이다. 최성윤 부부는 나이 70이 넘도록 한 점 혈육이 없어 통탄스러웠다며 성이 같은 최승호(崔承鎬)를 양자로 들이기로 하였다는 내용이다. 훗날 약속을 위반하게 되면 온 동네 사람이 모여서 관에 아뢰어 조치하도록 한다는 다짐도 덧붙였다. 입후(立後) 문기는 양가(兩家)의 합의를 기반으로 하므로 이 문기는 최승호의 생부에게 작성해준 문서일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10년 전시복(全時福)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弼玉 金時福 金弼玉<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396_001 1810년(순조10) 1월 7일에 김필옥이 계유사인 전시복에게 3말 5되지기의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 1810년(순조10) 1월 7일에 김필옥(金弼玉)이 계유사(契有司)인 전시복(全時福)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이다. 김필옥은 긴요하게 쓸 곳이 있어서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보성군 율어면(栗於面) 하도(下道) 가척촌(可尺村) 앞의 군성평(軍城坪)이고 자호는 환자(桓字)이며,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3말[斗] 5되지기[升落只]이고 수확량 기준으로는 13복(卜) 5속(束)이다. 부수 다음의 84는 지번으로 추정된다. 거래가는 전문(錢文) 65냥이다. 김필옥은 본문기(本文記)와 소지(所志)를 신문기(新文記)와 함께 매수인 측에 넘겨주면서 영구히 방매하였다. 거래 시 새롭게 생성되는 문서 즉 거래계약서인 이 명문을 신문기라 하고 매물과 관련한 기존의 권리증빙 문서를 본문기 혹은 구문기(舊文記)라고 불렀다. 당시 거래 관행상 신문기와 함께 구문기를 모두 매수인에게 넘겨주는 이유는 혹 넘겨주지 않은 문서를 이용하여 이중매매 등의 불법행위를 방지하려는 목적에서였다. 지금 이 문서에서 소지까지 넘겨주는 것은 해당 토지와 관련한 소송이 있었고, 소송을 통한 판결 내용이 소지에 적혀있기 때문에 이것도 함께 매수인에게 넘겨주는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52년 한은(韓溵)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崔▣ 韓溵 崔▣<着名>李世彬<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2년(철종3) 12월 25일에 유학 최 아무개가 유학 한은에게 6말5되지기의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 1852년(철종3) 12월 25일에 유학(幼學) 최(崔) 아무개가 유학 한은(韓溵)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 명문이다. 최는 자신이 매득하여 수년 동안 경작해왔다고 소유 경위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남원(南原) 오지방(梧支坊) 필도평(必道坪)이고 자호는 여자(女字)이며,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6말[斗] 5되지기[升落只]이고 수확량 기준으로는 27부(負)이다. 거래가는 전문(錢文) 29냥이다. 해당 토지의 본문기(本文記) 1장도 신문기(新文記)와 함께 매수인에게 넘겨주었다. 본문기는 구문기(舊文記)라고도 하며, 해당 거래에서 작성된 신문기와 대비되어 거래 이전에 생성되어 소유권을 증빙할 수 있는 문서를 말한다. 예전에 방매인이 해당 전답을 매입할 때 작성된 명문이거나 혹은 패자 등 거래 매물과 관련되어 생성된 일체의 문서가 해당된다. 유학 이세빈이 증인 겸 필집(筆執)으로 이 거래에 참여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1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郭明奕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1년(고종28) 7월 19일에 유학 곽명혁이 누군가에게 논 8마지기를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91년(고종28) 7월 19일에 유학(幼學) 곽명혁(郭明奕)이 누군가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명문이다. 곽명혁은 수년 동안 세를 받아오다가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 팔게 되었다고 방매 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고창군 오동면(五東面) ▣성평(▣城坪)이고 자호는 아자(兒字),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8마지기[斗落只]이고 그곳에 심겨 있는 화곡(禾穀)까지 아울러서 전문(錢文) 120냥을 받고 영구히 파는 내용이다.유학 김수환이 증인으로 이 거래에 참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21년 김영기(金永己) 산판매매명문(山坂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朴永哲 李吉龍 朴永哲信 1顆(적색, 원형, 1cm)金守同信 1顆(적색, 원형, 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1년 7월 4일에 이인우가 김영기에게 정읍군 고부면 소재 산판을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 계약문서 1921년 7월 4일에 이인우(李仁雨)가 김영기(金永己)에게 산판을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방매한 토지는 정읍군(井邑郡) 고부면(古阜面) 덕안리(德安) 동편 기슭에 있는 송전(松田)이며, 그곳에서 그동안 길러 온 재목(材木)이 포함되어 있다. 가격은 100원이며, 이 금액은 7월 12일에 받아서 영수증이 작성되었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