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柳溪 柳溪字擧用高興人忠正公濯六世孫主簿汶孫忠智子官濟州判官天性孝友勇力絶人至古人盡忠殉義編未嘗不撤讀而長吁曰大丈夫出世當如此云 萬曆壬辰島夷猖獗 大駕播越公與季父忠恕及淳滉諸從等十一人倡率義旅赴都元帥權公幕屢畫籌策扈從至龍灣轉戰克樹大勳錄宣武勳 仁祖丙子蒙恩典八代孫世浩撰行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6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3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柳重熙 柳重熙<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6년 9월 모일에 유중희가 누군가에게 논 2마지기를 130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906년 9월 모일에 유중희(柳重熙)가 누군가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유중희는 선대에 매득해서 수년 동안 경작해오다가 긴요하게 쓸 곳이 있어 부득이 팔게 되었다고 소유 경위와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고창군 오동면(五東面) 봉산촌(蜂山村) 앞 당상평(堂上坪)이고 자호는 팔자(八字), 면적은 구획상으로 2배미[夜味]이고 파종량 기준으로 2마지기[斗落只]이며, 거래가는 전문(錢文) 130냥이다. 이 논의 구문기(舊文記)는 없이 신문기(新文記) 1장으로 영구 방매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尹漢烈 尹漢烈<着名>金鎭文<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유학 윤한열이 누군가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유학 윤한열(尹漢烈)이 누군가에게 자신의 논 4마지기를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매 대상 토지의 자호는 솔자(率字)이고, 면적은 4마지기[斗落只] 부수로는 16부(負) 8속(束)이 확인된다. 이 문서의 형태는 대각선 방향으로 사할(斜割)되어 있는데, 이는 이 문서에 적힌 토지의 일부를 누군가에게 할매(割賣)하면서 해당 토지가 적혀 있는 부분을 잘라 구문기(舊文記)로 매수인에게 건네주었음을 보여준다. 한 장의 명문 안에 기재되어 있는 토지를 나누어 팔 경우 이처럼 대각선으로 잘라서 건네주기도 하고, 절반으로 잘라서 건네주기도 하며, 칼이나 가위로 해당 부분을 도려내어 건네주기도 하는데, 이는 신문기와 함께 대상 토지의 이전 거래 문서 일체를 매득인에게 건네주는 것이 관행이었던 것에 기인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6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2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基榮 李基榮<着名>安宗榮<着名>鄭淳兌<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6년 8월 9일에 이기영이 누군가에게 150냥을 받고 산지를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906년 8월 9일에 이기영(李基榮)이 누군가에게 산지를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이기영은 임실(任實) 이인면(里仁面) 독산촌(獨山村) 하당산곡(下堂山谷)에 있는 자신의 5대 조모의 묘소를 수백 년 동안 지키고 금양(禁養)해오다가 다른 곳으로 이장(移葬)하기 위해 파광(破壙)한 곳 전체를 전문(錢文) 150냥을 받고 팔았다. 이 산지는 구문기(舊文記)는 없이 신문기(新文記) 1장으로 영구 방매하였고, 훗날 자손들 가운데 다른 말을 하는 경우가 있으면 이 문기가 증빙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이 거래에 안종영(安宗榮)이 증인으로, 정순태(鄭淳兌)가 필집으로 참여하여 각각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建祠日記 安東植孔子二千四百七十四年歲在癸亥十二月二十一日吾安老少以慕聖衛先之意會議于祭室永慕齋事體重大猝難決焉猶豫而罷粤明年甲子正月十九日更會于鳳洞鳳棲齋爛商互諭曰人之所生皆聖人所?及祖先所遺也當有所報豈可歸於豺獺不若者乎詢議以必就僉曰諾各出誠義合累萬金粵若來三月三日乃興學講會也士友小會於永慕齋講畢請以建祠具告以道統祠分會擬設而不乃立祠妥靈欲倣道統祠例以遂慕聖衛先之意士友亦贊成自是而通于本鄕多士士乃周章是時湖南道誌刊所設在羅州自刊所走通列邑校院又致通于晉州道統祠示以摸孔朱安三聖賢眞影同月十五日相地宜開基告神命匠工擔任董役二十三日使舍姪哲魯問聖廟體制於弦窩高丈【光善】則曰堂宇坐向從其地勢可也不必拘於子坐敎意合義越二十四日開基二十八日以摸影事送哲魯于晉州越四月二日安礎翌日立柱八日自道會所分定建築有司十二日甲午己巳時上梁後石吳丈【駿善】扁其額曰集成製偉文弦窩書焉十四日哲魯自晉州還報以嶺儒響應二十一日以儒論偕送鄭燾洪以敦摸事五月十四日哲魯電報至十五日午車到榮山驛卽於伊日本倅安鍾哲及域內章甫齊明等待于榮山晉州士林梁文煥安定植與鄭燾洪哲魯陪三聖賢眞幀下榮山一是歡慰陪從【名簿載時到記】日曛奉至本祠時祠役未得告竣故揭影于永慕齋北壁上僉章甫齊誠參謁十六日丁卯權奉于齋之西壁而告曰百世景慕謹奉遺像廟貌未就權奉是告設儒契【有景慕詩】自興學契中購納祭器士林各捐誠義又納土田以供春秋釋菜之資十八日還送晉州士林于道統祠於是胘窩丈改顔永慕齋曰玉振堂而記實又名神門曰三元外門曰道東使鄭燾洪書焉自六月至九月士木丹雘始告訖功七日丁巳奉安行釋奠後倣滄州故事從道統祠例改定以釋菜以春三月上丁秋九月上丁行祀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集成祠記 湖南羅州之鳳凰山下鳳洞有巍然一祠曰集成奉至聖先師孔夫子眞像配以文公朱子從祀以文成公安子以其道學之嫡統相承也於乎至聖夫子祖述堯舜憲章文武大成其一貫之道而垂嫡統於萬代則及門有七十子之聖哲私淑有漢唐宋諸儒之賢而今於斯祠只以朱安二子配從無他也惟朱子則尊德性而道問學精義理而博考據以闢陸而明聖道故河西金先生曰天地中間有二人仲尼元氣紫陽眞惟安子則嘗曰欲學仲尼當先學晦庵摹奉孔朱二夫子像於精舍朝夕瞻謁以闢佛而倡聖道故陶庵李先生曰天不欲使聖道墜地篤生晦軒先生承巳絶之道開無窮之學使吾東爲學者知尊孔朱關異端實東方道學之祖不惟此也 列聖朝及諸先正之表章乎朱安二子者已多而闕里衍聖公孔德成曰集群聖之大成者孔子也集群賢之大成者朱子也祖孔宗朱集群儒之大成者安子也本祠所以集成扁焉者是也而寔循乎晉州道統祠之追體精舍故事也嗚呼今大局奇變吾道將墜地而斯祠起焉八域之宗守夫子敎者莫不嚮應而駿奔瞻仰若頹波之砥柱偉乎盛哉斯文庶其賴是而有振歟世敎庶其藉是而有補歟湖省之弘碩諸公安子后諸仍之竭誠力以創祠足以發明於天下也孝鎭亦以安子孱裔地遠年老終不能一分相役感衷斯極輒忘僭越敢擧實蹟之大略以記焉孔子二千四百八十四年癸酉孟冬上旬安子二十一世孫孝鎭謹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卷之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答鹿洞書院儒敎會創立文【壬申六月 日】 竊伏以成德在人行道在時聖之孔孟是也孔子在春秋之末周流天下而道不行於當時孟子生戰國之世賓師諸侯而徒取好辯之譏德雖在人道難在時時乎時兮何道之行不行於時也今天下之德之衰久矣道之行知在何時自古聖賢皆出於德衰之餘五季程朱亦皆是耳至于我東羅麗以降國朝文化不讓諸夏儒敎聲勢不待所會而莊且韙矣何天不吊我邦王府關石忍作虛器家塾翰墨徒爲文具世無眞儒久矣秦國無人亦久矣經傳子書束之高閣或賣諸紙肆看作腐陳物事文物禮敎掃地無餘處世衰德衰有如今日之甚乎且公私學校各立廣設而反失舊制顧諟非徒我邦擧世皆是是庸可懼幸使斯文不墜在人尊院碩德先定衛道尊賢之方尊賢卽慕聖也慕聖卽衛道也衛道濟時則何患乎今不如古也竊惟尊院卽安子妥靈之所也安子卽我東理學之祖也今我人士因尙知聖學之爲宗而儒敎之爲宗矣向日尊院致慰於曲阜兵禍之餘今又建所立敎得育英材所謂天不欲盡喪斯文也耶首創斯會以振興風敎者是誰之功猗歟竹儂子安淳煥也素以安子之後殫厥畢生之誠倡是不世之業眞可謂有祖有孫矣旁近諸賢從爲贊成以至風動四方何感如之鄙等雖在遐隅無誠均是慕聖尊賢中一類豈無聲氣相應之道乎但慰安事實記奉讀以後稽復尙悶荐承盛諭吾道進行玆得門路矣夫以儒案之敎自聖府已有參加之督況吾本邦士類敢不從諸至於敎科一遵聖法以景賢範依古循俗以爲一周十三省而養成幾許人材則一國之英材則天下英材也何恨定數如此則不惟君子爲樂於家國天下成德者其人行道者此時也竊願僉尊始終一揆俾完創事則斯文之大幸而吾儒吾敎復有光於前日其尊賢堂經義齋之制及藍田鹿洞之規今可復也斯敎之於德成道行幸且孰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答魯城闕里祠文【壬申五月 日】 伏以曲阜山河兆眹之鄕闕里聖府發祥之地中外瞻仰今古一致則有何正彊伊界之殊乎惟我東土雖褊在海隅漸於源流逹于餘裔尊信之仰師之一體攸同猶爲斯文大幸況又貴邑尊祠與聖地合似其文物禮敎儀章等威一遵聖府凡節而首爲我全邦柯法於戲韙哉其尊慕奉行當百倍其誠矣至於籩豆之享修理等節尤不可不致敬盡禮而建祠以來實蹟遺典尤當詳誌也凡誌事之義雖有大小之不同以備不忘一也備其不忘孰有加於此哉往自上國每有奉還之眞國朝先聖又有六本合奉之典如此盛儀殊蹟敢不謹記詳載乎乃自尊院當此正路蓁蕪聖門閉塞之日首事擧示是亦尊聖衛道之一端也其在宗師尊仰之地孰不同辭贊成乎又我東方素稱小中畢之國也元氣斯文繼在其人右文聖化巳如彼至于當今存祠潤誌又如此能使物力維持人斯講學則陽無可盡碩果還生可期日而待矣敞祠奉行有年物儀未完本詞誌將營刊錄已有年而未就耳竊惟僉尊利成誌事尤致敬於祠享將令儒化復振使其山河之朕聖府之祥可復見於我邦則小華之稱由此愈合又尊祠虔奉之化於吾道斯文爲惠幸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21년 박동근(朴東根) 처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壽岩 李吉龍 李壽岩信 1顆(적색, 원형, 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1년 4월 6일에 박동근 처가 이공선에게 정읍군 고부면 소재 산판을 방매하면서 작성한 산판매매 계약문서 1921년 4월 6일에 박동근(朴東根) 처(妻)가 이공선(李公先)에게 조상 묘소가 있는 산판(山坂)을 방매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매한 산판은 정읍군(井邑郡) 고부면(古阜面) 덕안리(德安里) 동편에 있다. 남편이 일찍 사망하자 묘소를 지키지 못하고 이를 방매한 것으로 보이며, 값은 30원이다. 문기 말미에 매매 당사자 및 증인 등의 이름과 서명이 있는데, 산판주(山坂主)는 박동근의 처이나 이와 별도로 매도인(賣渡人) 김채선(金菜仙)의 이름과 인장이 있다. 두 사람의 관계는 알 수 없으나, 산판 주인이 여성이므로 매도인을 추가로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21년 김영기(金永己) 영수증(領收證)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壽甲 李吉龍 李壽甲 4顆(적색, 타원형, 1.6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1년 7월 12일에 이인우가 김영기로부터 산판 대금을 받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써 준 영수증 1921년 7월 12일에 이인우(李仁雨)가 김영기(金永己)에게 산판(山坂) 대금을 받고 발급한 영수증이다. 받은 금액은 100원이다. 이 산판의 소재지는 정읍군(井邑郡) 고부면(古阜面) 덕안리(德安里) 동쪽 기슭이며, 같은 달 초4일에 매매가 이루어졌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토 분급기(庄土分給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진년 1월 회갑을 맞은 아버지가 재산을 나누기 위해 작성한 분급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1년 나두환(羅斗煥)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朴東根 羅斗煥 朴東根<着名>高時淵<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183_001 1901년 11월 20일에 나두환이 유학 박동근으로부터 산지를 사들이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901년 11월 20일에 나두환(羅斗煥)이 박동근(朴東根)으로부터 산지를 매입하면서 작성한 산지매매명문이다. 박동근은 증조부의 선산이 고부군(古阜郡) 남부면(南部面) 덕안(德安) 앞 산록에 있는데 묘소를 이장할 때에 나두환이 이곳에 입장(入葬)한다고 하여 산지 전체를 전문(錢文) 700냥을 받고 영구 방매하였다. 구문기는 없이 신문기 1장으로 거래가 이루어졌고, 고시연(高時淵)이 증인 겸 필집으로 이 거래에 참여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착명하였다. 이 명문에는 박동근이 산지 값을 받고 나서 작성해준 작은 영수증 성격의 종이가 지끈으로 묶여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1년 박동근(朴東根)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朴東根 申龍熙 朴東根<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183_001 1901년 12월 12일에 박동근이 나두환으로부터 산지 값을 받고 작성해준 영수증 1901년 12월 12일에 박동근(朴東根)이 나두환(羅斗煥)에게 작성해준 영수증 성격의 문서이다. 이 문서는 지난 11월 20일에 박동근이 나두환에게 산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한 산지매매명문과 지끈으로 묶여 있고, 명문은 박동근이 고부군(古阜郡) 남부면(南部面) 덕안(德安) 앞 산지를 나두환에게 700냥을 받고 파는 내용이다. 이 영수증은 대략 20여일이 지난 뒤 나두환의 산지값 700냥을 신용희(申龍凞)가 가지고 와서 박동근에게 주었고, 박동근은 이 돈을 받았다는 증표로 이 문서를 작성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5년 김근록(金根祿)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巨濟府 金根祿 行府使<署押> 居濟府使之印 1顆(8.0x8.0)周挾無改印 1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5년, 거제부사(居濟府使)가 김근록(金根祿, 36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690년 이익태(李翊台) 완의(完議) 고문서-증빙류-완의 前府使 李 李翊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00년 12월 25일에 숙부인 이 승지공이 종손인 이익태에게 수직노로 쓸 사내종을 서로 바꾸어 지급하기로 약속하는 내용의 완의 1700년 12월 25일에 숙부(叔父)인 이 승지공(李承旨公)과 유학(幼學) 이(李)가 종손(宗孫)인 이익태(李翊台)에게 작성해준 완의(完議)이다. 완의는 종중(宗中)ㆍ가문(家門)ㆍ계(稧)ㆍ동중(洞中) 등에서 제사나 묘위, 계나 동중의 사안에 대해 의논하고 그 합의된 내용을 적어 서로 지키도록 약속하는 문서이다. 이 완의는 수년 동안 묘소 아래에 수직노(守直奴)가 없어서 사절일(四節日)마다 각 집안에서 제수(祭需)를 실어올 때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완의를 하여 봉사조(奉祀條)인 사내종 선명(先明)으로 하여금 그 일을 대행하게 한다는 것이다. 다만 울 아래 노비와 외방(外方)의 노비는 차이가 있으므로 선명 1구(口) 대신에 외방의 유루노비인 함평(咸平) 사내종 난복(蘭卜)의 첫째 소생인 사내종 오봉(五奉)과 강진의 사내종 김남(金男) 2구를 상환하여 대신 지급하기로 한다는 내용이다. 사절일은 정단(正旦), 한식(寒食), 단오(端午), 중추절(仲秋節)을 가리킨다. 숙부 이 승지공이 자신의 사내종 선명을 시켜 수직노의 일을 대행하게 하되 그 대신에 외방노비 2구를 대신 지급받기로 종손 이익태와 약속하는 요지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69년 노 을선(乙先)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奴 禮春 奴 乙先 奴 禮春<着名>奴 申任<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9년 12월 1일에 박생원댁 노 예춘이 민생원댁 노 을선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69년 12월 1일에 박생원댁 노(奴) 예춘(禮春)이 민생원댁 노 을선(乙先)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박생원댁 노 예춘은 긴요하게 쓸 곳이 있어서 팔게 되었다고 방매 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수답원(水畓員)이라고 하위지명만 적어 어느 곳인지 알기 어렵다. 자호는 무자(毋字)이고 구획상으로 2배미[夜味]이며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1말[斗] 5되지기[升落只]이고 수확량 기준으로는 3부(負) 3속(束)이다. 거래가는 전문(錢文) 45냥이다. 이 논의 본문기(本文記)에는 다른 전답이 함께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민생원댁 노 을선에게 넘겨주지 못하고 다만 신문기(新文記) 1장으로 영구히 방매한다는 내용이다. 민생원댁 노 신득이 증인으로 이 거래에 참여하여 착명하였다. 문서에 피봉 형태의 작은 종이가 붙어있는데, 유정원(柳亭員) 훈자(訓字) 답 1마지기 2부 5속을 55냥을 주고 1877년 12월 17에 매득한 문권 2장이라는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이 문서와는 소재지와 자호 등이 다르므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9년 김병수(金秉秀)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尹滋馨 金秉秀 尹滋馨<着名>河定洛<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340_001 1789년 12월 26일에 윤자형이 김병수에게 산지를 팔면서 작성한 산지매매명문 1789년 12월 26일에 윤자형(尹滋馨)이 상인(喪人) 김병수(金秉秀)에게 산지를 팔면서 작성한 매매명문이다. 윤자형은 연기군(燕岐郡) 남면(南面) 개동(介洞)의 세 봉우리 가운데 중봉(中峰) 내 개화곡(開花谷)에 있는 시장(柴場) 한 곳을 수백 년 동안 수호해 왔는데 이곳이 김병수 조부의 묘 백호(白虎)이므로 김병수가 누누이 사기를 원하였으므로 하는 수 없이 전문(錢文) 10냥을 받고 허급(許給)한다는 내용이다. 하정락이 증인으로, 임혁우가 필집으로 이 거래에 참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20년 류기춘(柳基春)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權秋山 柳基春 權秋山 1顆(적색,원형,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0년 2월 16일에 권추산이 류기춘에게 135평의 밭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920년 2월 16일에 권추산(權秋山)이 류기춘(柳基春)에게 밭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물의 소재지는 고창군 아산면(雅山面) 계산리(鷄山里)이고 자호는 내자(內字), 지번은 429번, 지목은 전(田), 면적은 135평(坪)이며, 거래가는 40원이다. 이 문서는 매매계약서의 양식과 명문의 양식이 혼재되어 있는데, 일본 연호를 사용한 점이나 음력이라고 표시한 점 그리고 명문 대신 계약서라고 하거나 매도인과 매수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점, 거래당사자들의 이름에 거주지를 적은 것, 착명 대신 인장을 사용한 것 등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수확 치부(收穫置簿)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각 지역의 소작낸 논에서 나오는 수확량을 기재한 치부 가격: 김원익조(金元益条) 100圜, 최풍헌조(崔風憲条) 100圜, 정조(正租) 10苞, 소 1隻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