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앞면ᄉᆞ제 답견우리 남ᄆᆡ 소회ᄂᆞᆫ 만권지셔도 부족이라 제번ᄒᆞᆫ다 초츈의 북경으로 편지 붓쳐 즁츈의 회답 오와 엇지 그리 반가온지 반가움이 극ᄒᆞᄆᆡ 그음업난 쳥누 영〃 불변 게우 진졍ᄌᆡᄉᆞᆷ 어라만져 ᄉᆞᆯ필ᄉᆞ록 너의 어엿분 풍모을 일셕의 ᄃᆡᄒᆞ야 담화하ᄂᆞᆫᄃᆞᆺ 기리 경〃ᄒᆞᄂᆞᆫ 마ᄋᆞᆷ을 ᄌᆞᆷ간 진졍ᄒᆞᄂᆞ 일ᄌᆞᆼ 셔지 속졀업고 우리 본가 편 드른직 환국ᄒᆞ여 경셩 가 잇다 ᄒᆞᄂᆞ 쥬소 몰ᄂᆞ 슈젹 인ᄌᆞ 붓치지 못 ᄆᆡ시 일카을 ᄎᆞ ᄀᆡᆨ월의 너의 옥슈능필 바다 반갑기그지업시 반기고 진직 회셔 붓치지 못ᄒᆞ여 남ᄆᆡ졍이ᄂᆞ 셔어ᄒᆞᆫ ᄃᆞᆺ 일〃 괴탄ᄒᆞᄉᆞ 무가즁 긔내노라 ᄌᆞ언 그리 되물 읏지 동ᄉᆡᆼ이 김ᄌᆞᆨᄒᆞ랴이향 남북 소식이 졀원ᄒᆞ오니 운쳔을 망지ᄒᆞ야 ᄉᆞ모할 ᄎᆞ 듯밧 종싀슉들 회졍ᄒᆞ시며 뭇ᄌᆞ오니 너의 내외 무고의 기낸단 소식 든〃 깃부기 그지업다 세월리 여류ᄒᆞ야 어언 환졀유화 일기 더운 ᄯᆡ의만금 일신 평안 ᄒᆞ감ᄒᆞ며 ᄀᆡᆨ고의 심여 ᄉᆞ연이 되고 공부 열심ᄒᆞᄂᆞ야 엇지 도로 강습소의 단인다오니 답〃ᄒᆞ다 아우님도 신기 평ᄂᆞᆨ 식미 ᄃᆞ식ᄒᆞᄂᆞᆫ거ᄂᆞ 규즁 여ᄌᆡ 멀이가 ᄀᆡᆨ고가을 읏지 견ᄃᆡᄂᆞᆫ고아 인〃예 필 종부 ᄌᆞ유로 하루 업고 쳐음 군속 오ᄌᆞᆨᄒᆞ랴 무ᄉᆞ 강습이 입학ᄒᆞ얏나야유딜 츙건ᄒᆞ며 고향 문후와 네 형 소식 드러나야 곳 형은 혼도 무탈ᄒᆞ고 영완은 오직 어린ᄋᆡ을 잇칠 슈 업셔 신학의 보내지 못ᄒᆞ오니심ᄂᆞᆫ 너의 ᄆᆡ형쥬 외가 항시 그러ᄒᆞ니 시ᄌᆡ〃라 어이ᄒᆞᆯ고 모라게다 할 말리 여쳔여지ᄒᆞᄂᆞ ᄉᆞᆯ피디ᄌᆞᆼ포 기리ᄒᆞᄂᆞᆫ ᄃᆞᆺ 그만 근친니 ᄂᆡ〃무고 소식 고ᄌᆞᆨ 밋난다 열음 파학의 남ᄆᆡ ᄉᆞᆼ면밋난다임슐 오월 십칠일 여형 답소뒷면ᄯᅩ 졀ᄉᆞᆫ니 종이 네게 와 잇다 오니 든〃 혈〃일신 브ᄃᆡᄌᆞᆯ 인도ᄒᆞ여라 우리 이모 흥망이 ᄆᆡ여시니 부모갓치지위ᄒᆞ여라 너의 인ᄌᆞ한 셩질리 여복 ᄌᆞᆯᄒᆞ랴마ᄂᆞᆫ 누의가 하ᄂᆞᆫ 말리다 네 ᄉᆞ진을 집의셔ᄒᆞ송ᄒᆞ시와 보오니 남ᄆᆡ ᄉᆞᆼ봉ᄒᆞᆫ ᄃᆞᆺ 어엿분면목을 ᄃᆡ한 ᄃᆞᆺᄒᆞ오ᄂᆞ 일언을 통치 못ᄒᆞ오니 혼ᄌᆞ 반길 달음이ᄂᆞ 너의 ᄆᆡ형 젼쥬 길ᄒᆞᄂᆞᆫᄃᆡ 집이 다녀와 쳐남들 업ᄉᆞ오니 셥〃ᄒᆞ다 ᄒᆞ더라우리 남ᄆᆡ 봉면ᄒᆞᆫ 지 우금 육칠연일ᄃᆞᆺ 암히ᄒᆞ다 건오징어 약간 보ᄂᆡᄂᆞ 영셩ᄒᆞ다 마ᄂᆞᆫ맛시ᄂᆞ 보오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질부 잠시 견독하여라명성죤텍 공후장ᄉᆡᆼ 낫든 영여을 나에 친당질아ᄇᆡᆨ년가약 ᄆᆡ진 연분 월노 낙〃이 어엿비 추립하사만복대례을 순성을 추룬 회편에 황홀소담 청이결속ᄋᆡ 혼약 정신이 반분 ᄉᆡᆼ명이 걸여 옥수 복필 바다 ᄌᆡ삼 속독하온이 진면이 무패온닷 유종질부 ᄃᆡ괄염 넘기노라 옥용자ᄐᆡ가 수척지 아이오며 관즁네외 동방화초 봉황상융 금상첨화로 금실우지 종고지락 ᄇᆡᆨ년양필노 굿ᄀᆡ ᄆᆡ자 장ᄂᆡ ᄒᆡᆼ복이 창흥창ᄃᆡ수 부귀겸젼하여 친시 양가의 유복지인 될 일 미리 깃부오나 이곳 질아의 년기야 어리다 할 수 업사오나 궁향 벽촌의 아무 문견 업시 만고 교동을 기롸 첫 추립 가서 성당 고안ᄋᆡ 무비취소치 안는가 질부ᄋᆡ 은근금실의 가라처 주어라 년이나 춘ᄉᆡᆨ이 은〃하온ᄃᆡ 어미 신사돈겨오서양테후 평안하시오며 너 동기ᄃᆡᆨ 각 네외분 다솔 즁안영들 하시며 ᄃᆡ소ᄌᆡ절 쥬〃 안상들 하온지 두로 궁겁다 곳 시고모난 안밧 와ᄒᆡ난 업사오며 아ᄒᆡ들 져 남ᄆᆡ무탈 기특〃〃 친시 양가 두로 화평 든〃 이친지회 업ᄉᆞ온이 만ᄒᆡᆼ〃〃 오가 질부야 우리 숙질 수다 소회고봉하수 부족이나 단문 추필 이만 그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시조모(媤祖母) 언간(諺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미상 媤祖母 孫婦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중춘(仲春)에 시조모(媤祖母)가 혼례를 마친 손부(孫婦)에게 쓴 한글 편지 중춘(仲春)에 시조모(媤祖母)가 혼례를 마친 손부(孫婦)에게 한글로 쓴 편지이다. 첫머리에 '손부(孫婦) 잠시 살펴라'로 시작하여 수신자가 손부임을 알 수 있다. 미거한 손아(孫兒)와 천생가약을 굳게 맺고 화창한 날씨에 혼례를 치른 뒤 너를 보니 요조숙녀로 아름다운 기상이 있었다며 기뻐하였다. 이후 너의 꽃다운 얼굴을 보고 싶어 편지를 쓴다고 하였다. 중춘 가절에 사돈댁 가족들의 안부를 두루 묻고 시조부를 비롯한 시댁 식구들의 근황을 전하였다. 그리고 손부와 나누고 싶은 말은 많지만 이만 줄이며, 잘못 쓴 글자나 글씨체는 바르게 고쳐서 보라는 말로 끝맺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享祀日 每用春秋季月中丁【如國忌改卜下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祭物單子 稻米【七升】○粱米【七升】○淸酒【七升】○鹿脯【無則代以牛脯○一百五十條】○鹿醢【或兎醢無則代以雉醢魚醢○七斤】○菁菹【七束】○韭菹【無則代以芹○七束】○菱仁【無則代以榛子或柏子或棗○七升】○豕牲【七頭】○幣布【用苧布長一丈八尺用造禮器尺無則代以白布或白綿布○二十三尺】○黃燭【七雙】 檀香【七封】○祝文紙【張一】○靑筆【一柄】○眞玄【一丁】○洗巾布【一尺】○香車【祭物封進用木製如轎子○一臺】○卓子【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祭器 簠【鍮製○七】○簋【鍮製○七】○爵【鍮製○二十一】○坫【鍮製○二十一】○牲俎【七】○竹籩【二十一】○木豆【二十一】○幣篚【七】○燭臺【鍮製七雙】○香盒【鍮製○七】○香爐【鍮製○七】○香案【七】○尊【鍮製○三】○勺【鍮製○二】○祝板【一】○燈籠【一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祭服 黑團領【十二領】○黑帶【十二組】○儒巾【十五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列郡通文(9) 伏惟僉禮萬祺謹啓生而書院沒而俎豆宋以來儒典而逮至我東尤昉焉竊伏念蘆沙老先生丈席于澹軒也湖嶺士大夫結轍負笈薰陶講磨蔚然有洛閩諸子之風而東塢曺公居一於高足推明師道功存迪後此物議士論之大同也嗚呼老先生棄後學將五十年而家邦不天斯文淪喪特緣剝底線陽寄在淵源澹對舊軒葺治壞樑有翼新廟高山景仰向所謂生而書院沒而俎豆者誠不圖復見于今日也嗚呼偉哉院享有配自是已例請一暴露鄙忱而仰告第今貴院有事非有曠世同德追議之遲貳而求之親炙誾侃傳心衛道之地則其在德行之科東塢翁恐不在遴選之後矣就讀其遺集師席奬詡同門撰述充美發輝可質於神明而松沙先生推許之重若酹文若狀德若弁卷章章較著當不待餘人之尙論矣鄙等人下不足與論於聞道而猶有挹淸於塢下遺風自頑廉鄙寬實有曠慕于夷惠也今當斯文重議不能糊塗而止矧玆脚下私淑聯章相投校院儒士應響幷起者乎仰惟僉尊執事質諸長德參之輿情今秋丁享之禮丕圖配腏之儀多士顒望不勝幸甚右敬通于高山祠儒林僉座下戊辰八月二十七日泗山祠釋菜時多士申暢休 金永根 朴暉東 宋謹默 孔學源 金相轍奇鳳衍 孔垍烈 權寧玉 金南洙 申聲求 李桓儀姜濟善 金在彦 李鎬根 金永大 鄭仁采 孔仲烈金正鉉 南明煕 金鍾琯 潘在先 朴東根 徐相淳執綱金澤柱 孔東奎 邊武淵 孔在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祠宇創建時通文 右輪爲通告事忠莊公晩翠權先生巍勳偉績可以撑宇宙擎日月宜 朝家褒侑士林崇奉此羅州忠莊祠之所以設也一自腏享後更承 勅諭乃設大捷壇於錦山妥享先生配參謀諸先生可見上下秉彛之不滅而但制度不備諸先生位牌臨享時列于壇上禮畢後藏之篋笥恐不免亂錯顚倒之端則事涉猥褻有關體面且風兩所届位牌添瀆多士禮服沾濕此釐整之不可已者也惟我各家本孫稱力出義以建神祠設位於室堂無至忝瀆則其於體面可無憾矣事甚重大非一二所可擅斷故玆以輪告望須 僉君子必無異議而樂爲之共贊敬祝丙寅二月日錦山大捷壇儒會高駿錫李文鏞朴承鎬趙仁元金達植趙羲斗朴勝淑吉英淳吳載伯辛龜錫金漢禧安致燮鄭永稷祠宇建築擇日開基丙寅七月二十日戊子丙辰時 定礎八月十二日庚戌壬申時 立柱八月十五日癸丑丁巳時上樑八月二十七日乙丑辛巳時 蓋瓦九月一日己巳壬申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列郡通文(8) 右通諭事伏以古者鄕先生歿鄕人祭于社況生而爲一世矜式歿而爲百世師者乎自 朝家腏享聖廡自士林建院俎豆在古不忒在今不差惟我湖南文簡公蘆沙奇先生繼開之功實爲百世師已自 先朝旌招累降恩禮隆重惟建院一事尙云晩矣今聞院役告訖將設俎豆後人之責如有待於今日旣享先生則門下諸賢中道德文章節義三不朽者有一於此同是配食亦出於公議之攸在而故進士石田李公最善學問造詣旣著當時丙寅倡義尤其大節故蘆沙奇先生贈言曰琢磨澡潔鄕黨服義朋友稱信早年上庠其文華也倡宗赴難其氣節也勉菴崔先生曰高風逸韻動盪流注無非自坐春立雪中出來陽園申尙書曰談經禮說心性得其心法天生全材而不見試寧齋李侍郞曰忠君愛國?畝而不忘板蕩而愈奮慨然有節義之風其外諸家之筆不可枚擧而參以諸賢之論則公之不朽者在玆又非後人之所可疊論而可合於配食伏願僉君子博採當世之公議同時躋配則斯文幸甚右敬通于澹對軒儒林僉座下丁卯二月 日光州儒林高光善 李啓琮 朴魯禎 奇世國 高彦柱 朴魯宣高維相 鄭淳衡 金煕駿 尹宗林 林炳一 宋在根李啓萬 李敎喆 梁仁默 朴升柱 柳秉魯 崔洙華安圭冕 盧錫煕 尹錫宗 李玩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7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5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義周 金義周<着名>金春碩<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7년(고종14) 11월 30일에 김의주가 누군가에게 11냥을 받고 산지를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87년(고종14) 11월 30일에 김의주(金義周)가 누군가에게 산지를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김의주는 자신이 금양(禁養)하여 수년 동안 소나무를 길러오던 산지를 집에 긴요하게 쓸 곳이 생겨 부득이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소재지는 영방원(永方員) 위쪽이고 자호는 숙자(熟字), 거래가는 전문(錢文) 10냥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9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奴 成列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9년(고종16) 2월 4일에 변생원 노 성열이 누군가에게 논 18마지기를 250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79년(고종16) 2월 4일에 변생원(邊生員) 노(奴) 성열(成列)이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성열은 이 논을 팔아 다른 곳의 토지를 사기 위해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고창군 오동면(五東面) 중리촌(中里村) 앞의 고직평(庫直坪)이고 자호는 제자(諸字),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18마지기[斗落只], 거래가는 전문(錢文) 250냥이다. 신문기(新文記) 1장과 패지(牌紙) 1장을 매득인에게 넘겨주면서 영구히 방매하였다. 이 논의 구문기(舊文記)에는 다른 토지가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넘겨줄 수 없다는 문구를 문서 말미에 덧붙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5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5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錫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5년(고종32) 11월 21일에 이석래가 누군가에게 논 9마지기를 65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95년(고종32) 11월 21일에 이석래(李錫來)가 누군가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이석래는 긴요하게 쓸 곳이 있어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고창군 오동면(五東) 중리(中里) 후평(後坪)이고, 자호는 지자(枝字), 면적은 파종량 기준 9마지기[斗落只]이며, 거래가는 전문(錢文) 65냥이다. 구문기(舊文記) 1장을 신문기(新文記)와 함께 매수인에게 넘겨주며 영구 방매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6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柳聖學 柳君善<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6년 8월 말일에 유성학이 누군가에게 논 11마지기를 150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96년 8월 말일에 유성학(柳聖學)이 누군가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유성학은 수년 동안 세를 받아오다가 긴급하게 쓸 곳이 생겨서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고창군 오동면(五東面) 사계촌(沙溪村) 전평(前坪)이고, 자호(字號)는 적지 않았으며 면적도 결부수(結負數)는 적지 않고 빈칸으로 남겨두었다. 문서 말미에 구문기(舊文記)를 중간에 잃어버려서 매득인에게 넘겨주지 못한다고 적었는데, 유성학은 아마도 각 논의 자호와 결부수를 기억하지 못했고 이후 확인하여 적으려고 했던 것인지 알 수 없다. 자호도 없고 지번도 없는 논을 마지기[斗落只] 수로만 면적을 적었는데 4곳의 논이고 합하면 11마지기가 매매대상이며, 거래가는 전문(錢文) 150냥이다. 이 거래에 유군선(柳君善)이 증인으로 참여하였고, 필집은 따로 두지 않고 유성학이 자필로 문서를 작성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開基祝文 維 歲次丙寅七月己巳朔戊子敢昭告于土地之神往在龍蛇惟我忠莊公權先生及參謀群賢偉忠大節終始天地炳若日星下濟生靈中恢社稷梨峙爲基祠在金谷不屋而壇風雨憫迫不肖諸裔去愈罔極縉紳同謀壇以更閣寔口典禮神其靈燭佑我先生亦佑我群賢忠烈俾安百世無疆千億謹以酒牲敢告虔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上樑告由文 睠玆金谷天護地秘配腏諸賢營建祠宇擇吉上樑賴有所佑敢將酒果虔告謹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鄭思竑 鄭思竑字汝仁號梅軒慶州人文正公珍厚其鼻祖大匡輔國崇祿大夫領議政文獻公玄英其中祖咸興判官承復子學業篤實恂恂退讓事親盡孝友于兄弟睦于鄕黨鄕黨稱其才行重其義氣中司馬薦參奉庚辰丁外憂三年居廬極其哀禮庚寅丁內憂喪制未闋而當壬辰變泣謂子姪谷口公{忄+賓}曰 大駕播越國危若是此非臣子擁婦子偸衣甘食之時遂聚義穀千餘石與姪子裝於一船九月發船向龍灣敵欲劫奪則以義諭之曰吾 王糗粮汝何敢奪之敵心感而捨之是年十一月無事達于 行在上握手流涕曰眞我忠臣也 特授六品職丁酉敵鋒復起邊境駭盪故統制公李舜臣再往防守之日只有戰船七隻餘卒已散資餉且乏措手無策公乃挺身戮力勸起義卒鳩聚軍粮以致露梁之大捷敵平後拜司憲府持平戶曹佐郞內資寺主簿通禮掌隷院司評後出監漣州安陰二邑民皆有石頒事實俱載昇平誌及忠武全書 宣廟寶鑑資憲大夫弘文館大提學李敏緖撰墓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金漢初 金漢初諱益華字仁起號梅村金海人興武王庾信后公州判官幸慶子風儀磊落性度健確常習射御兼治文藝詩書百子靡不貫徹而尤緊得味於魯史以忠孝爲一身符訣見事必果見義必就心與事吻行與言合屹然若砥柱中立不爲外物之所撓奪望之者莫不徒跣而及之苟非文武兼才焉能如是至若龍蛇之亂則我 朝中運大非之日也彼封豕長蛇食盡求充而三南幾至空虛獨錦山一捷大扶吾 宗社生靈之脈則非但爲澠池之奮翼倍有聲於八公之草木太常之紀鼎彛之銘非不煒煌而曷若置諸近而常目觀覽於是乎先生專爲不忘備考之意捷戰日記則書于壁上捷戰圖像則模于屛間昕宵起居之際每每誦而點之點而誦之至老白首瞭然見當日事一生忠憤如始如終此其大節不必以餘事架疊公之立朝出宰則始捷文科內而遷弘文博士弘文正字吏曹正郞外而監康津使肅川府俱有聲蹟公不自爲榮而晩爲時事所屈賦田園而退臥湖南之綾州雙峯里樹梅爲園實自號曰梅村後人稱大明處士遺址云弘文館校理南陽洪秉喆撰行錄右議政金宇杭撰行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梁彭 梁彭字 濟州人進士忠國子 嘉靖丙申公將誕之日迅雷大作人皆驚異之年甫七八纔識文字倜儻魁偉頗有大人氣像嘗從蘇齋門專心學問而尤切於武穆王傳先生戒以血氣之勇對曰治則靜亂則動動靜周旋無非中規也先生曰君之行勇非血氣云云壬辰敵率七八萬陷東萊釜山生靈蕩盡公之考進士公戒之曰殉義捐軀報答君父之恩乃爺且老未盡國恩之萬一汝其方壯豈不得效忠於王事耶公受命辭家卽日起旅數百人抵南原移檄于宗人梁淸溪翌日轉戰至雲峯聞三道官軍屯于龍仁倍日馳道直抵陣中厲氣巡城先責李洸之不忠無義身先士卒被甲登壘連戰奏捷斬獲甚多一陣倚而爲重敵勢益熾鏖戰良久忽中丸而殉當時士林齎歎不已金時稷抄公實記曰連勝奏捷國家之元氣泰山四維之固又云以赴國亂效忠討敵意氣奮發風聲不絶尹月汀挽詩曰任道平生業憂時挽世情長懷幹父志不盡報君誠洛建日尋緖斑行長謝榮傷心經濟略寂莫秘新塋白岐峰挽詩曰倡義挺身誰獨是三千虎豹不勞求杲卿張許分符日比卞成陽立節秋宅後烏山經㥘立枕邊長海洗兵流當今回憶龍蛇變袖裏蒼龍冷不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宋商甫 宋商甫字秀仲號鳳齋礪山人忠剛公侃六世孫 贈參議大壽子孝友出天膂力超倫慷慨有氣節 萬曆辛卯擢虎榜調軍資監正壬辰赴權元帥幕多畫籌策幸州之役與林月潭克惺申水使汝樑先登血戰所向無前斬敵數百級以權公啓 宣廟賜書榮之曰微爾干城焉有是功書名 御屛拜遊擊將軍尋 除唐津縣監丁酉再猘赴李忠武公舜臣幕出奇應變每得李公稱賞唐浦之戰與薺浦萬戶朱義壽蛇梁萬戶金聲玉海南縣監柳珩珍島郡守宣義卿進兵酣戰自卯至午挫盡敵鋒中丸血流神氣自若竟奏大捷錄宣武勳事載權公日記幸州勝戰碑李忠武公全書湖南節義錄丁孤舟運熙挽公曰岳努王槍血戰時全城功在一褊碑金陵褒賞君恩重馬革空悲失裏尸享興陽世忠祠知縣朴載寬撰行狀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