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春秋享祝文 文忠公谿谷張維撰精忠大節殺身成仁國有常典永薦明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任員分定案 會長朴凖浩 副會長許 煖 總務金在萬 財務高在碩幹事崔鴻鎭 李承南 監董金倫洙 顧問奇近燮 高光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湖南殉國烈士碑陰記 【前參判李始榮書碑面大字五月三日建于忠孝堂前】尼山高光烈 撰湖南從古多忠義之士在昔壬丙之難純忠大節八埏湖南居其半頃於洌京鼎移倡義殉身者及從容取義者又最多無乃前忠前烈洋洋如在悠颺風韻能鼓動人義膽烈肚歟嗚呼諸公其倡義者或戰陣死或逮刑獄不屈死死異而義同也其就義者或自刎或斷粒或仰藥或投水而死死殊而義均也其氣節皆足以貫金石鬪松柏不泯不死聞其風亂賊必皆懼罪其將標幟於宇宙間者可以百世不惑矣諸公氣義亦感動湖士之未死者心相與招魂慰酹於忠孝堂慰靈之必於此堂者以其爲褒忠祠講堂誠宜諸公之依歸也人皆懷義投資爲契妥享有年庶幾償得崇慕之一半時移事變難乎永久安享於是議定以伐石記實圖其不朽諸公當日事甚繁蔓不可個個備載故只分倡義就義二條路大略合書而某氏諱列書于左方若其義蹟之大小難易一任他史氏之特書云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答龍山祠儒會所通文 右回諭事伏以人非忠孝國不爲國家不爲家故自廟堂而表之自士林而享之其於勸善揚美之擧不可不講者也伏聞貴郡有故向北堂鄭先生師事忠烈公高霽峯先生當壬亂陪師擧義有疾未行其胤子草心堂先生就學于朴蘭溪門至是承親命代行以侍癠歸庭及歿也以儒論父子同配于本鄕楓山祠自毀撤命行後士林之羹墻久失其所矣再昨丙戌神祠更新移享父子兩先生俎豆誠意有倍於前云承通以還不覺頌祝起敬者凡在吾儒之列者孰非忠孝中人宿講之餘聞此禮數之盛擧其所鼓舞振作豈後於人哉顧今衰季之餘士林之衷赤油然有不可遏者亦豈非子雷一聲萬戶方開之消息歟玆以回通惟願僉章甫廣布于列郡以樹風聲千萬幸甚丙申十一月十日院任李浩敬 尹在甲 任珽淳 羅平集 高光兌崔允煥 高在碩 多士朴禎圭 金貴炫 朴夏鳳曺國鉉 尹定燮 李大極 李秉烋 許 鏘 李敎台魏錫漢 高光七 李東範 李 埻 宋達洵 金容鶴高熺錫 安龍燮 高在圭 奇會悅 鄭尙龜 高在哲崔善鎭 朴海昶 鄭雲承 高在淵 宋幸鎭 柳斗錫朴哲鎬 吳周烈 奇南鍾 金倫洙 鄭尙林 宋基鳳金熙駿 朴魯省 崔洙晶 張世浩 李良信 朴佑珍崔秉琪 李百休 羅龍均 吳炳鎰 羅綺洙 金容錫閔弘基 朴熙泰 朴三圭 金鍾炫 高龍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51년 노 원봉(元奉)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朴夢安 奴 元奉 朴夢安<着名>金永玉<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421_001 1851년(철종2) 12월 29일에 한량 박몽안이 신생원댁 노 원봉에게 3말5되지기의 밭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 1851년(철종2) 12월 29일에 한량(閑良) 박몽안(朴夢安)이 신생원댁(愼生員宅) 노(奴) 원봉(元奉)에게 밭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 명문이다. 박몽안은 선대로부터 상속을 통해 소유하게 되었고 경작해 오다가 많은 채전(債錢)을 갚을 길이 없어 팔게 되었다고 방매 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장성군(長城郡) 북일면(北一面) 시동백정(始冬栢亭) 전평(前坪)이고, 자호는 시자(始字)이다.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3말[斗] 5되지기[升落只]이고 부수(負數)로는 4복(卜) 9속(束)이며, 거래가는 전문(錢文) 3냥이다. 문서의 말미에 본문기(本文記)는 중간에 잃어버렸기 때문에 매수인에게 넘겨주지 못한다는 문구를 덧붙였다. 본문기는 구문기(舊文記)와 같은 말로, 현재의 거래 이전에 생성된 거래 계약서나 혹은 소유권을 증빙할 수 있는 일체의 문서를 말하는데, 거래 시에 반드시 구문기 일체를 매수인에게 넘겨주는 것이 관행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7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吳氏 金成志<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419_001 1877년(고종14) 4월 18일에 원학조 처 오씨가 누군가에게 세 곳의 논 5마지기를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77년(고종14) 4월 18일에 원학조(元學祧) 처(妻) 오씨(吳氏)가 누군가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 명문이다. 원학조의 처 오씨는 자신이 매득(買得)한 논을 수년 동안 경작해 오다가 가장(家長)이 공전(公錢) 납부에 관한 일로 옥에 갇히게 되었기 때문에 하는 수 없이 팔게 되었다고 방매 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무장(茂長) 성동면(星洞面) 주을촌(注乙村) 뒤쪽 방축저평(防築底坪)이고 자호는 선자(善字)이며, 4배미[夜味]의 3말[斗] 5되지기[刀落只]의 논과 같은 자호의 5되지기의 논, 그리고 복자(福字) 자호의 1마지기[斗落只] 논을 합하여 모두 5마지기 15부(負) 8(束)이다. 거래가는 60냥에 거래되었고 매수인에게 신문기(新文記) 1장과 구문기(舊文記) 2장을 함께 넘겨주면서 영구히 방매하였다. 오씨의 친정 쪽 아우인 오한표(吳漢表)가 증인으로, 김성지(金成志)가 필집(筆執)으로 이 거래에 참여하였다. 위의 '배미'는 토지의 구획의 단위를 나타내는 말로, 논밭의 두렁을 기준으로 지형적 경계 구분을 나타내는 말이다. 되지기 또는 마지기는 토지에 파종하는 곡식의 양을 가리키는데 이것으로 면적을 나타낸다. 1말[斗]의 곡식을 파종할 수 있으면 '한 마지기'가 되고, 한 되[升]를 파종할 수 있으면 '한 되지기', 1섬[石]을 파종할 수 있으면 '한 섬지기[石落只]'라고 쓴다. 되지기는 '도락지(刀落只)'라고도 하고 또는 승낙지(升落只)라고 표기한다. 또 수확량을 기준으로 면적을 표기할 때는 결부수(結負數) 또는 복수(卜數)로 표기하는데 후기로 내려올수록 결부수와 두락수를 병기하는 양상을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2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吳然述 吳然述 1顆(적색, 1.1)金成玉 1顆(적색, 1.1)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2년 3월 4일에 오연술이 오미면 소재 논 5마지기를 방매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 계약 문서 1912년 3월 오연술(吳然述)이 논 5마지기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방매한 토지는 오연술이 매득하여 소유해온 곳이고, 소재지는 오미면(五未面)이다. 자호는 기자(氣字)이며, 면적은 5마지기이고 부수(負數)로는 19부 1속이다. 가격은 전문(錢文) 320냥이며, 매득자의 이름은 쓰여있지 않다. 문기 말미에 증인 외에 이장 문병영(文秉榮)의 이름이 쓰여 있다. 서명이나 인장은 없으나 매매에 입회인으로 참여했거나 역할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享祀儀節 前期三日獻官以下入齋【獻官有官則公服無官則儒巾黑團領執事竝同】前一日執禮【或代院任】率諸執事掃除廟之內外〇設獻官位於堂下北面諸執事位於其後諸生又位於其後皆北向西上〇設飮福位於堂上前楹外近東西向〇設獻官以下門外位重行北向西上〇設望瘞位於瘞坎之南〇設祝版於正位前卓上之右【有坫】〇設香爐香盒【爐東盒西】於各位前【有卓】〇設燭各二於神位前卓上〇設犧尊三於堂上東南隅【有卓】加勺羃〇設幣篚【各一】福酒嚼一【有坫】俎肉俎一【有刀】於尊所〇設洗二於東階下之東【盥洗在西爵洗在東】〇設卓一於洗東置箱二【巾東爵西〇巾獻官一諸執事一爵每位各三】厥明執禮率諸執事者陳設如式卓上北端〇第一行脯籩在左醢豆在右稻簠在脯籩之西梁簋在醢豆之東〇第二行菱仁在脯籩之南栗黃在稻簠之南菁葅在醢豆之南韭俎在梁簋之南俎床在栗黃韭俎之間〇第三行幣篚居中燭二在篚之左右〇第四行爵坫三【尙右】祝坫在西近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朔望儀節 每月朔望焚香擔當齋任敬誠致齊厥明夙興盥洗具巾服看檢灑掃布席階下升自東階開門跪坐三上香降自西階就席再拜閉門歛席而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瞻謁儀節 士林有請參拜則居齋人具巾服自左夾門引導布席階下再拜若請奉審仍升階上開門而入謹嚴循位退出閉門【但院中歷吏等說話出門後敍事若參拜人無巾服則借用院內備置巾服雖緦麻之輕服在身者不許參拜奉審奉審人姓名必無漏記載於奉審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列聖朝傳敎【大本】 宣廟朝追錄宣武勲時御札下勳府曰鄭運以裴興立之故竝與之削去焉方舜臣之會諸將而議運力贊之及討賊運之功又居多焉而終至力戰而死則是以身殉國也不可以興立猥繁之故幷去其當錄之運也運可錄無疑矣英廟朝乙卯正月日筵對入待時上問戰亡諸臣中誰最功可表著而抱寃者近來國綱解弛不能慰泉臺之魂心甚慨然戰亡表著祠宇所在邑使各道都事親祭事下敎筵臣以公及李大源鹿島院宇仰對上特命致祭而祭物一依春秋丁享時劃給事行關本道正廟朝乙卯十二月初五日御筆下敎曰昨有嶺宰辭陛者新印忠武公全書於其行賚往俾藏統營忠烈祠夜又明燭諦閱感其人之忠孝起曠想於百載咨嗟噓唏坐度深更不覺鷄旣鳴矣書成後致祭曾有下敎而祭於家矣祭於墓矣今宜祭於其祠院祠院之中統營忠烈祠爲忠武績庸最著之地令帥臣卜日致祭祭文製下賚去守宰爲執事官其餘以附近守宰差定庭列與祭品幷依祭文中條列擧行而禮成後執事官及營屬校卒等令帥臣分試射放校卒二中以下卽爲分等施賞後狀聞餘則別單啓聞事下諭于統制使又以全書一件給毅愍公李億祺家招其孫完川君李明奎使之親受因此思之靈巖故忠臣鄭運忠烈觀於對忠武之問與自誓之劍銘己知其卓絶且況偉續大節何等凜凜常以爲只表毅愍之烈不及鄭運之忠此特俗習徒知世閥所坐寧不慨嘆其家亦領一件其祀孫訪問狀聞事下諭湖南伯丙辰二月初二日兵曹啓曰才因全羅監司徐鼎修狀啓故忠臣鄭運祀孫繼周居在道內靈巖郡形止探問馳啓事有令兵判招致見其身手問其所業草記之命矣鄭繼周自該道成給草料今巳上來故臣招致繼周觀其身手雖未俊秀聽其言辭亦可謂精詳而年今三十二矣問其所業以數年從事武技而家計窮乏中間廢却而今已三年云矣敢啓傳曰忠臣之孫豈可自外退送欲爲召見爲先付軍職冠帶常仕卽令待令初三日誠正閣鄭繼周入侍時上曰爾爲故忠臣幾代孫乎繼周曰爲七代孫矣上曰年幾何繼周曰三十二歲矣上曰肄習射技乎繼周曰營射數年貧不能自存仍去而不習矣上曰爾之先祖忠烈百世之下與日月爭光子孫何官不可爲除爾內乘着實肄射期於做科可也命書傳敎曰故忠臣贈兵曹參判鄭運之日月爭光之忠肝余則每以爲忠武之儔而毅愍之右云爾其後零替落在鄕外在朝廷崇德報功之道大是欠事起感忠武全書印行之日訪問祀孫今始搜來幾百年之後將使其家直派祿仕豈不奇幸內乘申絧渠家人何時不可爲乎改差待宣官有闕調用其代靈巖人故忠臣鄭運奉祀孫司勇鄭繼周令該曹口傳擬入內賜隷射之弓矢使渠着意做業於內寺中心亭仍令首內乘逐日勸課待其成才該寺都提擧草記之意使之知悉丙辰七月日傳曰每閱忠武全書見鹿島萬戶鄭運事未嘗不拊髀興歎使伊人不有雲臺之戰何以致鳴梁之捷唐浦之勝乎薄暮層溟促櫓先登使遮海之賊艘不能相抗而運則殉義矣似此忠勇求之史牒罕與爲比者此猶在運爲一節慷慨憤迫勸起忠武卽此人也特以乘障之士微而未闡尙無賜諡之典豈可但以欠典闕事謂哉向訪其孫先令軍門付祿其後幷與復職而未聞有收錄之擧矧當大政豈可虛過雲臺卽釜山地方也御營把摠鄭爀今日政釜山僉使作窠差送而故萬戶鄭運特贈戶曹判書仍令弘文館議美諡俾朝家樹風勵俗之擧無有有勢無勢之別戊午四月二十二日繼周宣傳官入直別省記傳曰鄭繼周則忠臣之孫讀兵何爲習射亦不緊何覺晚耶爲先卽爲出直射會與朔試射矢數勿看況許參乎今日內白面定軸金宅基用此例此後忠武公奉祀孫例金鄭兩家奉祀幷依此例許參日限則依堂上例而必也白面爲之射講皆勿論以此傳敎載之該廳所在受敎廳憲乙卯訪問祀孫時祀孫熺居憂而繼周以支孫膺命直除內乘至是又承恩敎丙辰傳敎中御營把摠鄭爀今日政釜山僉使作窠差送者卽公之伯父應瑞之後也而樹殉義碑於沒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2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2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朴基浩 朴基浩信 1顆(적색, 1cm)金萬杓印 1顆(적색, 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2년 12월 10일에 박기호가 영동군 소재 논 7되지기를 방매하면서 작성한 매매계약 문서 1912년 12월 10일에 박기호(朴基浩)가 논 7되지기를 방매하면서 작성하여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방매한 토지의 구체적 소재지는 영동군(永同郡) 양남일소면(陽南一所面) 입석리(立石里)이며 자호는 평자(平字)이다. 규모는 7승락(升落)으로 부수(結數)로는 2부(負)이다. 매득자의 이름은 쓰여있지 않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23년 이길룡(李吉龍) 산지매매계약서(山地賣買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李奉燁 李吉龍 李奉燁信 1顆(적색, 원형, 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3년 1월 2일에 이봉엽이 이길룡에게 순창군 소재 산지를 매도하면서 작성해 준 산지매매 계약문서 1923년 1월 2일에 이봉엽(李奉燁)이 이길룡(李吉龍)에게 순창군 소재 산지를 매도하면서 작성하여 발급한 산지매매계약서이다. 매도한 산지의 소재지는 전라북도 순창군(淳昌郡) 무림면(茂林面) 자양리(紫陽里) 박곡(朴谷)이며, 사표(四標)가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금액은 45원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36년 조준성(趙俊性) 소작계약서(小作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金鍾淳 趙俊性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6년 6월 9일에 무주군수와 조준성이 무주군 소재 안성공안공립보통학교의 토지 경작을 위해 계약한 임대차 계약문서 1936년 6월 9일에 무주군수(茂朱郡守)와 조준성(趙俊性)이 무주군 소재 안성공안공립보통학교(安成公立普通學校)의 토지 경작을 위해 계약한 임대차 계약문서로, 다른 표현으로는 소작계약서라 할 수 있다. 계약 당사자 중 임대인은 무주군수 김종순(金鍾淳)으로, 안성공립보통학교의 재산관리자가 무주군수이므로 계약 당사자가 된 것이다. 임차인은 조준성이며 계약 금액은 13원 45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임술년 누나 언간(諺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미상 女兄 舍弟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임술년 5월 17일에 누나가 남동생에게 쓴 한글 편지 임술년 5월 17일에 누나[여형(女兄)]가 남동생[사제(舍弟)]에게 답장으로 쓴 한글 편지이다. '우리 남ᄆᆡ'라는 표현을 통해 수신자가 남동생임을 알 수 있다. 초봄에 북경으로 부친 편지에 대한 회답을 중춘에 받으니 반가웠음을 전하였다. 또 귀국한 뒤 경성에 있다고 들었으나, 주소를 몰라 편지를 부치지 못하다가 지난달에 너의 편지를 받으니 반가웠다고 하였다. 객지에서 공부하는 남동생을 염려하였고, 여름 방학 때 남매가 서로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하였다. 추신으로 건오징어를 약간 보내니 맛이나 보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中丁國忌相値季丁退行告由 今春(秋)享祀適値國忌季丁退行敢告【中丁前一日焚香先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忠壯公先生實記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肅廟朝忠節祠賜額時致祭文 惟卿天植純孝粵自童孺拔身弓馬勵志儒素誓心報國銘釼自努歷試丞宰遴畀鎭浦繕修器械聿備陰雨歲在龍蛇運艱天步島夷構釁賊勢蜂午海防失險危迫朝暮主辱臣死挺身遠赴抆淚登舟杖劍督櫓快帆雲駛焚鏖賊藪捷聞行在增秩眷注益勵忠憤誓欲報主一身扞衛防截海路時維九月轉戰于釜雨飛赤丸風折大樹白日慘惔雷哭部伍義重泰山身輕一羽聖朝震悼追授節度立廟妥靈恩出異數寵褒荐加秩亞兵部旌名里閭記實行譜酬報之典炳煥前後睠玆南鄕寔卿故土風聲所樹多士景慕甲子一周肇建祠宇尙闕揭額士論齊籲想卿忠節拊髀增傃九原難作予懷之疚肆錫新額庸勸章甫宜薦苾芬毋替永久遣官式奠庶歆觴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鹿島祠賜額雙忠時致祭文 在昔萬曆泹齒肆毒逆觴問周在矢滅䝞嘗兵于隣大蹂南圉列鎭環視主將首鼠惟鹿之島鎭守有寄地比彈丸援絶蟻子揭揭將軍誓志殲凶提單奮弱嘬其前鋒鏖搏洋程海嶽震眩敵人死咋害氣潛卷悉師竝力欲逞于我激勵疲衆遌賊無捨死鬪三日刃折矢竭懦師噎功息軍不發淋漓指血恨結雲愁偷生浼篩義夫攸羞首離先軫舌凜常山寵獎京榮綸音屢頒奸顱已梟義膽彌烈藐焉後來疇能匹凶鋒再猘粤在龍蛇剜釜踣萊易甚踢靴惟時有臣亦莅玆島忠純志節前躅允蹈南嶺赴援詢謀齟齬衆惟㥘㥘獨吐健語挺身犯難張睫決籌成吾輔車梗賊牙喉玉浦之戰紙島之捷杖劍督衆促櫓赴合腥焰臭岸醜血膏海尙賈餘勇轉戰窮界刳蛇殪豕誓蕩巢穴銳氣方馳飛丸潛掣[魚+首]驚鰐泣衡折缶傾哀纏部伍痛結宸情旌褒有加命秩斯崇邈矣孤島凜彼雙忠酬功寵賜立祠竝侑歲久陊剝重新營構額號猶闕多士齊籲事關激揚風聲攸樹痛錫恩扁增玆賁飾精爽如在俎豆有托玆遣禮官式奠菲具靈其不昧尙冀歆顧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本傳【此載朴莪菴所編國朝忠義諸臣列傳】 忠臣鹿島萬戶鄭運字昌辰其先河東人而徙居靈巖之玉泉云父應禎贈工曹判書娶于善山林遇元之女右川先生億齡從姊妹也嘉靖癸卯運生爲人倜儻負氣義慨然以張巡岳飛自期待銘其釼之吷曰貞忠報國登武科而仕出而爲居山道察訪熊川縣監輒不爲監司屈而罷又出而爲濟州判官又以忤牧使而罷其剛果可知濟洲馬之所産而歸舟不以一駒隨人又稱其淸苦焉萬曆辛卯倭釁作擇鹿島堡萬戶堡爲賊路之衝故也運旣以抽擇而行上任寢食不遑孜孜於衣[礻+加]之備別造戰艦二艘其制輕而快明年壬辰之夏四月賊兵果傾國而至望之蔽海釜山東萊鱗次陷而嶺以南望風瓦解無敢嬰其鋒者右水使元均軍孤請救於湖南之左右水軍營左水使李舜臣檄召諸將而議出兵或曰賊鋒銳甚不可輕易出外洋而嘗之姑留而俟右水使李億祺之至或曰左次而覘可而後動吉或曰擧颿西歸勤王可或曰王室已西遷已矣無可爲矣各宜罷而歸衆難紛紜皆恇㥘無一人挺身欲戰運怒張目按釼而跪曰噫噫此何等時嶺南何等地湖南亦何等地嶺南兵罷湖南能獨全社稷存亡在此吾輩疾引兵而逆擊賊以殺賊之勢鑾輿回轄可以日而俟也而反咨且欲退爲語之以國亡主滅巡遠不以是而自沮此方今日猶睢陽之蔽江淮也使道速決策運當先登以死抆淚抗言聲色俱之厲舜臣遽色變而作曰鹿島之言是也微鹿島大事幾乎去矣卽下令曰策已決干令者斬遂約束諸將翌日曉掛颿而前所過搜而轉輾向賊氣凜然賊艘五十餘時屯玉浦望之而懼亦擧帆委蛇而東將避之加德島矣舜臣趣諸將逐之皆畏不敢逼運時以捍後將而殿憤然遂鳴鼓趣櫓而出諸將之前而先焉櫓軍搖櫓稍怠則運提劍而督之其行疾如飛直趨于賊諸軍踵之俱進死戰賊不支棄船登岸而走運遂焚之盡乘勝而進銳甚所向遂無前旣鏖之於赤亭又踣之於泗川賊艘之燬於運者殆百有餘閑山之捷至今稱李舜臣統制豊功偉略而其誘賊出於紙島大膊前洋皆是運之謀也運戰自五月始迄八月而日輒遇或遇六七十艘或遇四五十艘或遇二三十艘或遇十餘艘或遇八九艘或遇五六艘或遇二三艘遇輒前而戰戰己必居後而殿其師李億祺繼又悉以舟師至合勢于運而運軍聲益壯舜臣旣以運功而聞上嘉之超運折衝將軍而官仍舊焉九月一日運轉戰到沒雲臺下而忽戒左右人曰雲運音相近我其沒乎雖死於戰毋使賊知之遂進而與賊戰方酣焚其艘南海縣令奇孝謹黷賊貨?水撲滅多傷運之士運憤發罵驅帆直到絶影島賊艘蔽海我師獨運及助防將丁傑先至相特殊死戰而日且夕矣傑語于運曰日已暮賊又盛姑以退觀勢以明日而戰未晚運艴然而怒曰此吾死所吾欲與此賊不俱生戰何待明俄而舜臣繼以大兵而至運喜甚船頭立而指賊倭一大艘而呼曰此賊放銃猛必先破之遂揮旗而敢死進搏戰甚力幾滅賊忽然賊銃發而中於運洞胸運遂死之年五十我師哭失聲賊喜而賀曰鄭將軍定死矣其餘莫吾毒也已舜臣仰天而噫曰已矣已矣國家失右臂矣遂鳴金收師而退飭鹿島舟運屍而返之玉泉爲文哭其喪凄惋喪旣歸葬之其郡之北其先人之葬在是云運妻淸風金氏忠義衛佐漢之女一子之彦報恩縣監而都事愼汝謜都事朴輖虞侯柳大立運三壻也而之彦無子而繼焉運死旣聞上爲之震悼特贈運嘉善大夫咸鏡北道節度使又用舜臣言而命鹿島立運祠招魂祀之竝祀李大源一榻大源亦以鹿島萬戶死於丁亥損竹島之戰者也賊旣平大封宣武功臣運旣錄焉同錄裵興立之功未厭人意削而及於運上惜之甚嘗以御札下勳府曰鄭運以興立而削焉方舜臣之會諸將而議運力贊之及討賊運之功又居多焉而終至力戰而死則是以身而殉國也不可以興立猥而竝去運運可錄又命加贈運嘉義大夫兵曹參判勳府遂回啓舟師諸將運最有膽勇力戰之稱宜錄時相奇自獻抵言更査竟削運而錄孝謹以其族也光海君撫軍全州遣官致祭于運戊申又旌運之門曰忠臣錄之三綱行實官其子之彦孝宗壬辰運殉節時回同郡人又爲運而立祠鏡湖之上以聞賜額忠節而雙忠祠復立鹿島蓋舊祠之作未數歲而値丁酉之倭再猘而火之盡旣退幾年堡卒私爲結茅而祀之爲草創肅宗癸亥始作祠如式而告更宣額英宗乙卯特遣當道都事賜祭粤五年繡衣使者又啓上上使當堡萬戶歲祀之亦給堡卒田俾守其祠野史曰壬辰之亂旣定錄功臣有曰吾儕執靮臣分耳不足錄宜錄戰亡諸將以勸忠時相不肯遂編從錄從亡諸臣而諸將之戰甚力者力戰而死者其錄之僅以十數其何以勸後世之爲人臣者嗚呼噫噫莪菴朴會源撰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