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坡州廉圭煥 三幅鮫綃上後人感慕存春秋享祀敬眞像有儼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晉州鄭煥舜 三聖賢人出斯文有所存集成祠宇上鳳嶽仰彌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密陽朴璋玲 斯道萬千載皦如日天存鳳山南中出齊拜聖像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羅州鄭遇琳 吾道千秋下尙今賴孰存大哉安子統如日上天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月城崔命煥 繼開千萬古元氣待人存天出三夫子集成道益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全州崔基暘 乾坤合道德景仰千秋存繼往開來學明幷日月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마적(馬籍)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18세기 5顆(적색,정방형,5×5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연대미상의 마적 낙장 연대미상의 마적(馬籍) 낙장이고, 관인이 날인되어 있다. 말을 기르고 있는 사람의 이름과 해당 말의 특징 및 나이를 적었다. 우선 말의 털색은 류마(騮馬), 류월라마(騮月羅馬), 적마(赤馬), 적다마(赤多馬), 적부로마(赤夫老馬), 청마(靑馬), 청부로마(靑夫老馬) 등으로 표기하였다. 이 가운데 류마는 털빛이 붉고 갈기가 검은 말로, 우리말의 월따말에 해당하고, 월라마는 우리말의 '워라말', 즉 얼룩말을 한자로 표기한 것이며, 부로마는 '부루말'을 한자로 쓴 것으로 털의 색이 흰색인 말이다. 그리고 말의 특징 가운데 두 코가 찢어진 말은 양비열(兩鼻裂)로 표기하였고, 코끝이 흰색이면 비말백(鼻末白), 네 다리가 흰색이면 사족백(四足白), 이마에 흰털의 점이 별처럼 박혔으면 소태성(小台星) 또는 백태성(白台星) 등이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말의 나이를 '화(禾)' 자를 써서 표기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장사 지낼 날을 정하기 위해 점을 친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02년 문씨(文氏)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田致雨 文氏 田致雨<着名>朴春得<着名>申亨楫<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2년 10월 14일에 고 장설동 처 문씨가 전치우로부터 논 1마지기를 매입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02년 10월 14일에 고(故) 장설동(張雪東) 처 문씨(文氏)가 전치우(田致雨)로부터 논을 매입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득인인 문씨 앞에 고흥군 포두면(浦頭面) 금사동(金寺洞)이라는 거주지를 적는 것은 흔한 경우는 아니다. 전치우는 조상으로부터 유래되어 소유한 논이라고 소유경위를 밝혔다. 이 논을 수년간 경작해오다가 다른 지방으로 이사하면서 이 논을 팔고 그곳의 토지를 사기 위해 방매하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포두면 척치리(尺峙里) 광대천동평(廣大泉洞坪)이고 자호는 환자(垣字)이며, 면적은 파종량 기준 1마지기[斗落只]와 또 이 논과 북쪽으로 연접해 있는 금사동 논 1살매(㐊每) 12배미[夜味]를 전문(錢文) 17냥을 받고 문씨에게 영구히 판다는 내용이다. '살매'라는 용어는 주로 전라도지역의 명문에 등장하는 용어로 정확한 의미는 미상이다. 신문기와 함께 본문기(本文記) 4장도 함께 넘겨주었다. 박춘득(朴春得)이 증보(證保)로, 신형집(申亨楫)이 필집(筆執)으로 이 거래에 참여하여 각각 착명하였다. 금사리와 척치리는 포두면 봉림리(鳳林里)로 편입된 지역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9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敦重 金敦重信 1顆(적색,팔각형,3×3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9년 2월에 개흥산의 산주 김돈중이 상대방에게 벌목지 3장을 허급하면서 작성한 명문 1909년 2월에 개흥산(開興山)의 주인 김돈중(金敦重)이 누군가에게 작성해준 허급 명문이다. 상대방의 부모 산소[親山]가 김돈중 소유인 보성군(寶城郡) 도촌면(道村面) 개흥산(開興山) 입암(立巖)의 중록(中麓)에 있고, 또 회장(灰場) 1편(片)이 김돈중 소유인 용추동(龍湫洞) 문 밖 우장(牛場) 꼭대기에 있어서 차제에 허매(許買)하려고 했기 때문에 상대방의 회장도 다른 사람의 예에 따라 허매하겠다고 했다. 그랬더니 상대방이 개흥산 입암에 부모 산소가 있으니 벌목지 3장(丈)을 허급하고 우장의 꼭대기에 있는 회장도 허급해달라고 운운하였다. 이에 김돈중은 대대로 교분이 있는 사이에 괄시할 수 없어 벌목지 3장을 상대방의 말에 따라 문서를 작성해주면서 훗날 이 문기로 증빙을 삼으라고 하였다. 즉 상대방과 교분이 있는 관계임을 고려해서 상대방 부모산소 주변의 벌목지를 금전 거래 없이 상대방에게 넘겨준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建祠事實 正祖戊午建祠于羅州郡獐本坊臥牛里【今光山郡本良面德林里】以西山柳先生爲主位逸堂柳公弄圃柳公高巖柳公配享焉 高宗戊辰因國禁撤之乙酉光復後二十年乙巳湖南儒論齊發是歲三月起工於舊址九月祠宇及講堂告功仍舊顔以德林復說神位耕隱柳公追配同月十六日奉牌禮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德林祠上樑文 維孝維忠國家之褒旌而多士之所以景仰有功有德祠宇之建設而後孫之所以禋享永言孝思俾也可忘恭惟我祖西山先生莊陵遺臣孤忠卓節不忘舊主之大義遯跡海西之首陽逸堂府君忠孝世家簪纓華閥紹其先世之徽蹟貽厥後昆之美謨弄圃公儒州舊族西山肖裔文章卓越有士林之稱譽勳業升聞有牧民之貤典國運傾否賊勢陸梁遠鬪古島救明將於危亂之中出宰竹山恤小民於飢饉之歲肖胤高巖公擧義勤王聞媾罷歸孝於家而詩禮遺訓過庭得聞忠於國而春秋大義無地可守德林磵阿惟見大明日月栗里松菊猶存永和乾坤孝哉裔孫耕隱公百行之源兮爲仁之本歟至蘆嶺而心動似黔婁之有感歸本家而夜行有猛獸之護衛禱天祈斗而求以身代湯藥嘗糞而靡不庸極菽水不繼感子路之百里負米甘旨屢空思王祥之剖氷得鯉士林之闡揚揭貞珉而鐫刻史氏之彤筆載邑誌而昭詳忠臣求於孝子之門五先生易地則皆然爰設祠宇式薦俎豆猗歟西山先生之主壁亶其然矣盛矣逸弄父子之配食亦其尙矣偉哉高巖公之忠義配侑乎東卓乎耕隱公之孝行從食于西爰設五君子俎豆之所乃是高巖公杖屨之墟今日肯構之責其誰吾兒在萬獨謂賢勞此地營建之議始發族姪在得特爲叶助棟樑非邱木之欝蒼而肯取賣買斫伐之東西求得財錢無門用之剩餘而莫非拮据蓄租之日月計量迨巳歲而卜辰月天呈鳳曆之祥背壬原而顔丙向地叶龜食之吉苟合苟完美輪美奐慕勳烈而升堂儼然乎丹書鐵券之銘勒寓羹墻而入室若覩乎黃冠野服之逍遙峴山之亭特設叔子之盛烈嚴州之祠咸仰先生之遺風玆陳短引助擧脩樑兒郞偉抛樑東瑞石龍珍佳麗中一祖諸孫忠與孝創家爲國敢忘功抛樑南錦岳嵯峨碧罷嵐誰知耕隱根天孝惟有山君感至諴抛樑西月岳山高初月低長使兒孫詩禮課綿綿福祿草萋萋抛樑北悵望京華倚斗極吾祖當年趨走地荒凉殿陛空無跡抛樑上可憐寰宇易天壤德林惟有數間祠一線綱常賴以仰抛樑下源泉混混石間瀉挹彼注玆稻黍陳春秋禋享承純嘏伏願上樑之後山川增彩祖烈彌長若子若孫克遵忠孝之風善繼善述不墜詩禮之訓攸芋攸寧綿苽瓞於百世我將我享奉芬苾於千秋歲乙巳四月 日 後孫洪烈謹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西山柳先生奉安文 黃州邊時淵惟我先生英質卓識雄文達筆名振鄕國筮仕英陵敎導奉職際當慶科一擧得捷霜臺糾正惟勤忠直靑猪何歲變生叵測志切謀復勢孤力弱走入空門緇衣斂跡收養成女娶子爲媳採薇西山歲經四十恨未殉君遺戒子孫勿用茶毗勿書推恩其義其跡墨胎悅卿泉老陶相揄揚闡明旣享二祠又配肅殿維此德林裔孫周遍士論齊起廟宇已築告陳禮成惟靈歆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墓碣銘【幷序】 嗚呼 康陵之世儒風勃興之時而幼君踐阼政出於奸凶大臣故即位之初慘殺士類是所謂乙巳士禍也逸堂柳先生戒在履霜飄然遠擧得免白馬淸流之禍世稱明哲君子士林慕公風節立祠而俎豆之七峯山下德林祠是也惟公歸眞之宅在羅州寶賢洞月井峯南負丑之原者四百星霜阡表蒼古而無陰記雲仍以幽德未章爲戚者久矣乃者公之仲男希達十一代孫在萬獨竭賢勞而治貞珉問刻于不佞金石之役太史之職而謬謀於山間病叟無亦以今無其職故寧求於近而聞風之稔者耶辭之固而請愈勤謹按公諱節字叔孚逸堂號也文化之柳遠有代序大丞車達佐高麗太祖統合三諱〖韓〗自是屢公屢卿政堂文學叅知政事文簡公公權尙書左僕射澤修文殿太學士文正公璥都僉議使貞愼公陞贊成事章敬公墩代言贈領議政總皆麗朝名臣也朝鮮之興左議政曼殊佐 太祖策勳被禍於芳碩之亂世宗朝追伸三世而自湄監察 莊陵遜位遯于首陽山全節世稱西山先生是生軒號西坡司果於公高祖也曾祖繼先平壤判官祖琬司直考順長蔭司憲府監察妣南陽房氏正言貴溫女有壼範 中宗二十二年丁亥二月一日生公于京畿道楊州之自作里生而岐嶷慧竇夙啓七歲受讀周興嗣千字文至容止若思言辭安定有默契於心自謂曰止而後能定輕佻浮薄則何事能定耶從事于涵養之工自此始寡言笑愼步履年及成童儼然有長者風儀探索經傳不知不措造詣精而踐履篤孝根于天怡愉承順務以悅志親若使之以事莅之以敬洞洞屬屬如執玉奉盈其罹外艱哀毀動人擇吉而葬于坡州居廬終制至乙巳 明宗嗣位文定王后垂簾聽政 后弟元衡擅執國命誣搆士類行行刑戮朝著一變公以見機而作自村舍卽日奉母夫人而南下羅州句陳浦猝遇風浪溯流而上至榮山浦止于錦城之西寶賢洞而居之躬耕養母囂囂樂志母喪守制盡禮如前喪 宣廟丙午五日二十日卒享年八十贈通政大夫工曹叅議配淑夫人陽城李氏光弼女庚寅生辛巳六月二日卒墓雙墳三男長希榮壬辰亂與仲弟希達擧義勤王明將宋遊擊大贇之來援也希達爲接伴官及其擊古音島屯倭兄弟從之斬獲甚多倭酋平義益等敗走釜山朝廷褒其功希榮除侍講院習讀陞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希達賜弓矢庚子除竹山縣監陞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幷錄宣武原從勳事載倡義錄季曰希培武科煕川郡守甲子适變倡義後孫蕃衍忠孝文學不墜世業噫公可謂以見幾之明能裕後謨之君子也後人之景慕而祠祀者其在斯歟銘曰芥屣功名一朝納綦自公退食委蛇委蛇無惡無斁是曰明哲初無忮求豈行克伐侐彼德林俎豆莘莘遺風賸馥百世不湮有鬱佳城伐石崇崇載仰載式不騫不崩檀君紀元四千三百十一年戊午八月 日 豐山洪錫憙謹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弄圃柳公事略 公諱希達字仲顯號弄圃文化人逸堂節子幼有美質才器過人從戚姻文烈公健齋金公千鎰講論義理之學及兵家之書無不精通金公大異之登武科除主簿宣祖壬辰倭亂明游擊將宋大贇之來援也公爲接伴使游擊壯其儀容奇其才略禮遇甚重時倭兵據古音島公與游擊馳往拒戰留陣四月公謂游擊曰彼衆我寡不可以兵刃相接佯敗而走誘引倭酋平義智等敗走轉戰至釜山留十日斬獲數百級游擊還京師 上親接見公亦從而入侍游擊指公曰柳希達大用之才器可任大將 上嘉之特賜弓矢馬匹自後使命往來每叅接伴之列庚子除竹山縣監庚申陞秩嘉善官同知中樞府事錄宣武原從勳領相文忠公晩圃沈煥之撰竹狀承旨杞泉李喜熊撰墓碣銘成均館博士玉山李光秀撰神道碑銘享德林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9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2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柳根善 柳根善<着名>金貞玉<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9년 2월에 유근선이 누군가에게 3마지기의 밭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909년 2월에 유근선(柳根善)이 누군가에게 밭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유근선은 수년동안 경작해오다가 긴요하게 쓸 곳이 있어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고창군 오동면(五東面) 사천석우평(沙川石隅坪)이고, 자호는 교자(交字), 면적은 파종량 기준 태종(太種) 3마지기[斗落只]이고 수확량 기준으로는 6부(負) 4속(束)이다. 거래가는 전문(錢文) 10냥이다. 김정옥(金貞玉)이 이 거래에 증인으로 참여하여 착명하였다. 이 밭의 구문기(舊文記)는 분실하여 매수인에게 넘겨줄 수 없다는 문구를 추기(追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3년 대아면장(大雅面長) 강낙흠(姜樂欽) 인증서(認證書) 고문서-증빙류-인증서 姜樂欽 姜允執 高敞郡大雅面長之印 1顆(적색, 정방형, 1.8×1.8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384_001 1913년 4월 18일에 대아면 면장 강낙흠이 매매 대상 토지가 강윤집 소유가 확실함을 인정하는 인증서 1913년 4월 18일에 대아면(大雅面) 면장(面長) 강낙흠(姜樂欽)이 매매 대상 토지가 강윤집(姜允執) 소유가 확실함을 인정하는 인증서이다. 강윤집은 동년 4월 3일에 누군가에게 대아면 성동전평(成洞前坪)과 후당후평(書堂后坪)에 있는 견자(堅字) 자호의 논을 매도하였고, 이후 토지가옥 매매 증명규칙에 따라 면장으로부터 인증서를 발급받은 것이다. 매매한 토지의 소재지와 자호, 지번, 면적을 적은 뒤에 강윤집의 명의의 토지가 확실하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03년 고극린(高克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朴瑞權 高克獜 朴瑞權<着名>崔宗玉<着名>吳錫權<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403_001 1803년(순조3) 윤2월 21일에 유학 박서권이 고극린에게 선산의 뒤쪽 시장 한 곳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 1803년(순조3) 윤2월 21일에 유학(幼學) 박서권(朴瑞權)이 고극린(高克獜)에게 시장(柴場) 한 곳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이다. 박서권은 상(喪)을 당하여 지출이 많았던 나머지 세미(稅米)를 납부할 길이 없어 팔게 되었다고 방매 사유를 적었다. 매물은 선산의 뒤쪽 산기슭 일남(一南) 마근동(磨斤洞)에 있고, 자호는 문자(問字)이다. 시장의 경계를 적었는데, 동쪽은 유점(鍮店) 길 아래를 한계로 하고 서쪽은 숙부 무덤의 뒤쪽까지를 한계로 하며, 주룡(主龍)은 봉우리 줄기[峰脉]를 한계로 한다고 하였다. 본문기(本文記)에는 다른 시장이 함께 기재되어 있어 매수인에게 넘겨주지 못한다고 적었다. 박서권은 이후 1814년에 이 선산의 나머지 한쪽의 시장을 또 방매하게 되는 것을 관련문서를 통해 알 수 있다. 최종옥(崔宗玉)이 증인으로, 오석권(吳錫權)이 필집으로 이 거래에 참여하여 각기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賜額時禮曹啓下 前監察朴之孝等六十五員上疏據禮曹啓目粘連【缺】是白有亦湖南士子等爲高敬命已爲立祠請特命賜額且令本州春秋致祭以慰忠魂爲白良結有此疏陳竊念壬辰之初列郡風靡無一人抗賊而敬命以散居鄕曲之人不階王命首倡擧義提烏合之衆誓死勤王使一道人心有所興起不辛遇賊失利父子橫屍戰場其義氣忠烈足以聳動百世朝廷旣已褒贈正卿而一道公論猶以贈典與金千鎰張潤等不同爲嫌上年抗疏請加贈爵且請私建祠宇自上以加贈難於更議而祠宇則已許私建矣今者祠宇之建雖出於士子之私建而旣因朝命而成則特命降賜扁額以示顯忠之意似爲宜當至於春秋致祭則祠宇旣已私建享祀亦可私設是所謂鄕先生歿可祭於其社者豈必煩俎豆於公家乎疏內所引李舜臣則朝廷至命立祠賜額每歲春秋降香致祭若以此論之則敬命之與舜臣其死於國事則同而敬命則首事倡義之志可嘉舜臣則竭忠討賊之功甚大舜臣旣蒙降香致祭之典則敬命亦依所請自本州設祭未爲僭賞是白在果然春秋降香事體極重舜臣之事朝廷旣已講定雖不敢輕議而臣等亦未知穩合於禮也則敬命之致祭臣等不敢因其所陳而强爲上請也若或一番遣使致祭則亦足激勸士心而係是一時恩典幷只上裁施行何如宣祖三十六年正月二十八日啓敬命之忠至爲可嘉賜額當否問于大臣建祠之後遣官致祭未爲不可爲良如敎曹啓目粘連判下是白有亦問于大臣則鰲城府院君李恒福以爲私祠賜額古多有之亦非隆禮特係一時恩榮伏惟上裁左議政尹承勳以爲古者亦有私祠賜額之時故前因李成柟等上疏以賜額表忠之意旣爲獻議伏惟上裁右議政柳永慶以爲私祠賜額古亦有之而皆出於一時特恩非在下所可議惟在聖裁伏惟上裁鵝城府院在李山海判中樞府事李元翼領議政李德馨病不收議大臣之意如此上裁施行何如宣祖三十六年六月初二日啓依議爲良如敎禮曹單子節前監察朴之孝等上疏回啓高敬命祠宇良中賜額事議大臣允下爲白有置同額號乙良令藝文館選定落點令善寫人書寫懸板諸事亦令該掌依例擧行送于本道何如宣祖三十六年六月初七日啓依所啓施行爲良如敎受敎額號藝文館大提學撰定以褒忠彰義義烈備三望入啓以褒忠啓下賜額祭文知製敎製進賜祭官前禮曹正郞尹趌賜額懸板以芸閣板子下送眞彩色目禮曹備送工匠自本道擇送癸卯六月二十四日禮曹次知書吏安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五先生位次 忠烈公霽峯高先生東配位孝烈公隼峯高先生左承旨月坡柳先生西配位毅烈公鶴峯高先生左承旨淸溪安先生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