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去思碑銘【竹山邑民立碑頌德】 文武律身爲國樹功旣全忠孝風敎一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墓碣銘追記 公生詩禮家舍鉛槧而業弓馬登甲午武科蓋國家新經兵亂朝夕虞憂而敵愾捍艱亦公所抱其心以爲大丈夫生國家有事之日與其爲腐儒而死於牖下無寧以馬革裹屍歸耶氣節旣如此故從宋游擊入古音島至釜山而還大爲游擊所器以大用之才言於 朝而所試用僅止於訓鍊主簿竹山縣監嗚呼龐士元非百里才主簿縣監足可以見公之才耶斂退田里不復作仕進計者用不稱才公已見其幾矣寧終身而不售不欲小用其才公之志也送徒失期豈公緩不及事蓋欲以微罪作罷歸之機欲復守吾東岡之陂也於是而公其賢乎哉旣退臥江湖則與物無競無毁無譽以君言亦復佳爲畢生家計尤見公高處而碣文中略不及焉故追稱之如此云爾歲己亥端陽月 幸州奇宇萬謹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14년 한필준(韓弼俊)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聲潗 韓弼俊 金聲潗<着名>孫孝文<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14년 윤2월 26일에 한필준이 김성집으로부터 8되지기의 논을 매입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14년 윤2월 26일에 한필준(韓弼俊)이 김성집(金聲潗)으로부터 논을 매입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김성집은 수년간 경작해오던 이 논을 팔아서 다른 곳의 토지를 사기 위해 방매하게 되었닥 방매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흥양군(興陽郡) 고읍면(古邑面) 율평(栗坪)이고 자호는 봉자(奉字),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8되지기[升落只]이고 수확량 기준으로는 2복(卜) 6속(束)이며 북쪽으로 노(奴) 봉삼(奉參)의 땅과 연접해 있는 남쪽을 전문(錢文) 9냥을 받고 방매한다는 내용이다. 이 논의 본문기(本文記) 1장도 신문기(新文記)와 함께 매수인 한필준에게 넘겨주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37년 이상일(李尙一)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興壽 李尙一 李鎭英<着名>黃聖權<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37년 12월 25일에 이상일이 이흥수로부터 3마지기 논을 매입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37년 12월 25일에 이상일(李尙一)이 이흥수(李興壽)로부터 논을 매입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이흥수는 올해 흉년에 갑자기 양모(養母)의 상을 당하여 많은 빚을 지게 된 상황에 양례(襄禮)를 치르기 위해 논을 팔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고 이 논은 선대로부터 전래되어 자신이 상속을 통해 소유하게 된 논이라고 소유 경위를 밝혔다. 매물의 소재지는 고온평(古溫坪)이고 자호는 행자(行字),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3마지기[斗落只]이고 수확량 기준으로는 7부(負) 2속(束)이며 구획상으로는 3배미[夜味]이다. 이곳을 전문(錢文) 15냥 5전을 받고 영구히 방매한다는 내용이다. 그리고 문서 말미에 이 논의 본문기(本文記) 1장에는 다른 논이 함께 기재되어 있어서 내어줄 수 없다는 문구를 적었다. 이흥수는 상중이라 착명을 하지 않았고 생부(生父)인 이진영(李鎭英)이 증인으로 이 거래에 참여하여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1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召史 趙炳源信 1顆(적색,원형,1cm)文秉榮信 1顆(적색,원형,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1년 8월에 김조이가 누군가에게 5마지기의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911년 8월에 김조이(金召史)가 누군가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일본 연호를 사용하여 연월일을 표기하고 명문 대신 계약서(契約書)라고 썼으며 이장(里長)이 등장한다는 점 등 계약서와 명문의 양식이 혼재하는 이 시기의 문서의 특징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매물의 소재지는 고창군(高敞郡) 오동면(五東面) 상평리(上平里) 전평(前坪)이고 자호는 연자(連字),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5마지기[斗落只], 구획상으로는 5배미[夜味], 수확량 기준으로는 19부(負) 6속(束)이다. 거래가는 전문(錢文) 430냥이다. 신문기(新文記) 1장만으로 영구히 방매한다고 하였고, 구문기(舊文記)에는 다른 토지가 함께 기재되어 있어 내어줄 수 없다는 문구가 추기되어 있다. 증인 조병원(趙柄源) 외에 상평리의 이장(里長)인 문병영이 함께 참여하여 도장을 찍은 것은 이장이 토지가옥증명규칙 절차에 따라 이 거래에 인증(認證)을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일제는 1906년 토지가옥증명규칙(土地家屋證明規則) 및 일련의 법령을 공포했고 1907년 토지가옥증명 사무처리순서를 발표하였는데, 이 절차에서 증명신청자가 통수(統首) 또는 동장(洞長)에게 서류를 첨부하여 증명을 신청하면 통수 또는 동장은 접수부에 해당사항을 기입한 뒤 계약서의 내용을 조사하여 인증부(認證簿)에 기입하고 계약서에 인증하여 신청자에게 돌려주는 단계가 있다. 이 절차를 지방에서는 이장(里長)이 담당하였기 때문에 이 문서처럼 이장이 매매명문에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褒忠祠歌引 光海甲寅陽月之晦安東金尙憲撰苔軒先生褒忠祠歌引曰吾友高君善行曩以海平諸相公爲其先大夫所著正氣錄敍文見示要余一語嗣末余自示不足副吾友所求逡巡不敢承厥后善行手抄建祠賜祭賜額始卒荐示要余詩若文益固余重惟何狀得吾友厚愛不舍如是哉噫忠孝大節固名敎之首稱而士之景仰思慕無賢不肖之間焉矧余與善行有通家之素情義不比他人而又蒙求之之勤非外貌爲者終不可辭旃遂賦長歌一篇以歸之所醜蕪詞陋語不能發揮百一大君子盛德至行然哀傷惻怛憤懣激烈不自已之意則竊目妄擬於楚聲之衍觀者毋徒曰月蝕是軌也光州之野彌迤漫衍沃饒曰湖南名都無等巉巖穹嶐揷雲漢其下極樂之澄湖香秔秬黍美稷百穀栗穎于以薦之簠及簋兮神明又有高松鉅竹紫檀赤木杜沖仄栢異樹嘉木冬靑不變爲棟爲樑爲器用爲百工之經營豈惟物產之富甲一方民以戶計者不啻數萬以口計者什之飛甍傑搆參差突兀丹碧髹漆玲瓏昭映鱗鱗戢戢絃誦之聲洋洋盈耳宛然鄒魯文風賢才雋士砥礪名行揚于庭自檀歷箕曁濟迄麗到盛朝不知歲幾百祀人幾億躬曷不留遺祠古廟樹風聲於今創見之寧非非常人遇非常變然後乃有非常規鳴呼我公誠不幸胡獨際此非常期緬潔靈派討厥源或云鼻祖耽羅彊弧南曜精圓岳鍾英子孫世昌跨航截海動星象中間賜籍天冠鄕公之降也寔豐賦弱齡巳見名譽檀騷壇文章如靑錢紅粟陳陳太倉紫電淸霜凛凛武庫飛揚揵疾驅造化於毫端先輩爭稱麒麟鸑鷟出世間後生快睹河圖玄球發天府內則木天芸藪蓬萊道山出入恩遇外則單父鳴琴河陽種花風流惠政幾年袖裏醫國手林泉逸興窮觴詠一朝雕題黑齒千颿萬舳駕海來東萊城邊先灑忠臣劍頭血鳥嶺重關失天險漢江一葦飛渡疾河北曾無一箇顔眞卿二十四郡望風瓦解隳金城虜卒崩騰焱驚火烈勢莫當長戈利㦸飛霜舞雪兮白日爲之寒無晶玉輦西巡淸露急七廟不守三宮灰封狼毒虺咬牙閃舌食人爲糧長安道中流血成川沸聲若雷全湖勤王精銳十萬師可惜屬非村行宮宿衛草草無完兵重瞳日夜向南望苦待南軍來龍仁一敗不可再收拾元戎奔竄匹馬逃生歸舊營湖之人父子兄弟怨怒皆思磔元戎誰復號令列郡招殘兵已焉哉已焉哉國事已焉哉天柱將傾地維絶公當此時仰天雪涕憤怩不能言誓欲捐軀效死仗義討賊報明主獨立一呼四方義士雲合雨集爭來赴先築大將壇次建大將旗殺馬宰牛祭天地西向再拜起誓師平生玉堂揮草如椽筆瀝盡滿腹丹衷寫一檄軍中健兒聞之無不髮衝冠帳下書生讀之人人涕橫臆由來帥直者爲壯況公忠義人所服旗旐央央陣堂堂軍聲遠捄摧兇强竚見一擧掃攙搶引軍先嘗錦山敵敵壘屹屹如崇岡醜類攘攘若攢芒我公下馬據胡床左右列侍文武義士排顏行鼓一鼓助以硨磲喇叺並大角小角我師白袍素鎧烏號黃間賊虜班衣劗髻短劍捷砲交相鏖尙桓桓鷹揚鶻擊批熊拉豹百里之內猛獸股栗遠遁飛鳥歛翼絶鳴號終朝苦戰戰愈苦士力已罷氣尙奮揮戈指日日不退擧鞭策馬馬亦僨天不助順將誰援皇天皇天奈何不助順竟使武侯營中大星隕哀哀此戰場古今何處無戰塲豈有父子一日同死國前後兩卞壺鳥鳶不敢下狐狸不敢近風雨慘憺澗谷鳴咽朝霧冥冥夕日沉沉兮荒原曠野日夜惟聞鬼神哭復矢擡櫬日成行英魂毅魄應不戀還家直上九霄愬眞宰掃滅此敵無遺孼想像當年壯氣欝未洩化作十月長虹貫氷雪巴蜀回鑾慶再造功臣閣上丹靑濕新構華堂敎歌舞左對縣君右嬌子獨無當日睢陽城張公許公名與字何以慰我湖南父老心何以勸我忠義士乃詢辨章營祠宇申命祠官降芬苾霽峯峯前厥位陽楹庭覺殖籩豆潔鄕人聳觀闐里閭盛事猶令婦孺泣奚止焜燿一代起人欽固知垂諸不朽傳之無窮百世聞風興起同是心無等之山無時平極樂之水不改淸我願孝子賢孫世世勿替永厥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五先生事實記略 霽峯高先生諱敬命字而順長澤人嘉靖【皇明世宗皇帝紀元】十二年【我中宗二十八年】癸巳十一月三十日戊辰生于光州柳等谷鴨村自髫年儼若成人見者知爲遠器壬子中司馬兩試戊午擢文科壯元庚申賜暇湖堂癸亥以弘文館校理出補蔚山郡守未赴罷還鄕里家食者十九年萬曆【皇明神宗皇帝紀元】九年【我宣祖十四年】辛巳起廢時國家奏辯璿系之誣使臣黃岡金公繼輝請以先生爲書狀官壬午天使翰林編修黃洪憲給事中王敬民來頒詔遠接使栗谷李先生珥以先生有華國才薦爲從事官庚寅陞通政階拜東萊府使辛卯春錄光國原從功夏遞任至京時言者論松江鄭公澈指先生爲鄭公所薦者匹馬還鄕【先時先生掌試時鄭公見還】翌年壬辰倭亂作先生與子集峯鶴峯二公擧義傳檄道內應募者日集推先生爲盟主【時淸溪梁公大樸月坡柳公彭老相興謀曰事貴審勢今日之擧必倚名公大人可以鎭衆共推先生爲盟主梁公行收義兵且助饋餉】朝家授先生工曹參議兼招討使賜書勞之先生嘗與趙文烈公憲約竝力勤王聞錦山之賊謀犯完山先生以爲完山是湖南根本之地又況眞殿所在聖朝豐沛之鄕欲回兵救之見珍山兵勢單弱賊鋒鴟張乃移兵入珍山部分將士尾擊錦賊格殺過當及軍敗先生與次子鶴峰峯公及帳下學諭柳公儒士安公同日立慬實壬辰七月初十日也【時年六十】事聞宣廟震悼命贈禮曹判書兼帶大提學後加贈議政府左贊成謚忠烈乙未命棹楔門閭牛溪成先生渾嘗於入侍時極言先生忠烈實基兩湖保全之功漢陰李相公德馨於宣武冊勳時辭勳府繪像上剳讓勳於先生先生入於正勳而終見拔蓋本道巡察李洸以前日先生檄書昭數厥罪啣之誣以乘暗行師又爲媢疾者所擠也先生體魄潛瘞錦山山中賊兵阻絶不能卽收經四十餘日始就歛神色如生見者咸異初葬于和順縣黑土坪之原葬之翌日風雪大作長虹起於墓左橫跨塋域竟數十里光彩異常逾日不滅人以爲忠憤所感後身以卜地不祥改葬于長城縣梧桐里辛丑因門生監察朴之孝幼學金逈等上疏特命建專祠于光州賜額褒忠遺官致祭以隼峯公鶴峯公柳公安公配食又享先生於錦山從容祠錦山星谷書院淳昌華山書院錦山有殉節碑英廟朝因大臣獻議特命不祧隼峯高先生諱從厚字道沖霽峯先生長子也嘉靖三十三年【我明宗九年】甲寅正月十九日癸未生于鴨村自在髫齕端重異凡兒氣度安穩人稱篤實君子隆慶【皇明穆宗皇帝紀元】四年【我宣廟三年】庚午進士萬曆五年【我宣廟十年】丁丑文科由殿中御史遷禮曹佐郞戊子拜臨陂縣令以儒雅爲治與時議不相得爲臺官所劾罷辛卯選知製敎又爲時輩所彈去先生恬然無幾微見於色侍霽峯光生家居有優游卒歲之志壬辰倭寇渡海霽峯先生與公及公弟鶴峯公{氵+西}血紏義赴國難討錦山賊霽峯先生與鶴峯公及帳下安柳諸公同日殉節時先生方禦外陣父子兄弟相失從奴鳳伊貴仁策公馬疾驅詭言霽峯先生出去已遠遂急馳幾三十里始知霽峯先生鶴峯安柳諸公之歿於陣上先生墜馬殞絶欲徒手赴敵死左右抱止之賊去先生入戰場得霽峯先生鶴峯公遺體葬訖決意復讐欲更起義旅大夫人泣止之曰汝父汝弟一時俱歿汝若又死我以未亡餘喘將誰與爲命乎先生於是欲從義士則恐傷大夫人之旨欲從大夫人命則恐失枕戈之義遂閉戶深處晝不見日夜不燃燈米飮罕入口氣息將絶大夫人泣謂曰吾所以止汝赴義者本冀汝生今汝病將死等死寧從汝志也先生卽起進饘粥往請元帥得領本道寺奴之衆遂傳檄遠近收兵聚粮自號以復讐義兵將出師日再拜泣辭大夫人旣出門復駐馬下坐握季弟手曰今日永訣慈顏乃忘授爾日課之學仍從容授之曰人而不學無以爲人爾其勉之無負吾意見聞者莫不歎息流涕配李夫人避兵安東本家聞先生將起義討賊冒死奔赴僅達黃溪農舍先生已治兵于本州之折楊樓下矣夫人使侍婢請與相訣先生曰我已在軍中不可去夫人乃使侍婢送二子往訣長七歲季五歲先生各抱置?上撫其背曰吾以汝爲已死今尙生耶解衣使二子傳于夫人以爲訣左右泣不能視先生轉鬪至嶺南義士稍集軍容漸振與倡義使金公千鎰同入晉州及城陷與金公及崔兵使慶會登矗石樓投南江而死【登樓時崔公有疇曰矗石樓中三壯士一杯笑指長江水長江之水流滔滔波不竭兮魂不死見和順邑誌】實癸巳六月二十九日也【時年四十】事聞贈承政院都承旨後加贈吏曹參判乙未命旌閭辛丑配享本祠肅廟戊辰湖南儒生白光湖等上疏請先生及鶴峯先生竝贈謚朝廷許之加贈先生吏曹判書兼帶大提學謚孝烈又享先生於晉州彰烈祠有旌忠壇碑鶴峯高先生諱因厚字善䢖霽峯先生次子也嘉靖四十年【我明宗十六年】辛酉五月二十日甲戌生于鴨村生而警慧絶倫三歲能識字始學不煩師承與群兒嬉戱設爲士相見禮揖讓問旋儼然中度長老見而異之萬曆七年【我宣祖十二年】己卯中司馬越十年己丑擢文科朝議以先生文學宜置翰苑湖堂交相薦之時霽峯先生爲當路所忌因以竝擠先生黜補成均館學諭世共惜之壬辰倭寇大至霽峯先生首建義旗爲大將先生與伯兄集峯先生實從焉轉戰至錦山霽峯先生與公及安柳二公同日殉節【時年三十二】宣廟聞甚悼之贈禮曹參議乙未命旌閭辛丑配享本祠仁廟朝以子傅川從勳贈議政府領議政肅廟丁卯湖南多士伏闕上章備陳隼峯先生及先生事行請竝賜諡上許之贈先生謚毅烈又享先生於錦山從容祠月坡柳先生諱彭老字享叔文化人嘉靖三十三年【我明宗九年】甲寅某月某日生于玉果縣東舊第在襁褓喪先妣事父盡其孝待庶母如所生爲人純謹樂易喜怒不形於色萬曆七年【我宣廟二十年】己卯進士戊子登明經第越三年壬辰例授成均館學諭是夏倭寇大至陷嶺南諸郡踰鳥嶺抵京師大駕西巡先生慨然流涕指天爲誓正月與同志會潭陽府推霽峯先生爲盟主處其帳下整旅北上討錦山賊及至兵敗被圍將士相失先生賴馬健先跳問其僕曰大將出乎僕曰未也先生旋馬將入僕擁馬不前先生拔劒欲斬僕僕退走先生促馬驅入霽峯先生顧謂曰吾今不免爾可馳出先生曰吾志有素不榮幸活凶刃及先生公以身捍蔽同死【時年三十九】事聞宣廟震悼命贈司諫院司諫竝命旌閭辛丑配享本祠仁廟癸亥加贈承政院左承旨又享先生於錦山從容祠玉果詠歸祠淸溪安先生諱瑛字元瑞順興人嘉靖四十四年【我明宗二十九】乙丑五月十六日生四歲而孤稍長以早失所怙爲至痛事母夫人至孝事伯父如所生壬辰歲母夫人覲親在京倭寇卒至京中士女皆避亂於江都先生蒼黃西上賊勢充斥道路阻絶先生遂赴霽峯先生義兵帳下誓心殉國錦山之敗與霽峯先生相失先生謂月坡柳先生曰吾輩平日所學何事今不知大將所在而獨自偷生何面目立於天地間乎遂與馳入賊陣尋得霽峯先生先生馬逸躓于棘上公下馬授先生而徒步從之先生勸公出避曰我不幸戰敗惟有一死君可速去公曰當與大將同死何忍捨去遂與同死陣上【時年二十八】事聞宣廟震悼贈掌樂院僉正旌表門閭辛丑配享本祠仁廟十一年癸酉加贈承政院左承旨又享先生於錦山從容祠南原旌忠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題名錄序 鳴呼先大夫殉國之十年宣廟議大臣特命創專祠于光州之境厥基溪山明麗林木葱秀實先大夫生時所自號霽峯之南麓也越一年癸卯秋功乃告訖淵衷有惻卽賜額曰褒忠祠別遣禮官降香致祭聖恩至大也第公私行之過是境而入瞻祠宇者曁鄕人之最宣力於經營之役者宜若識其姓字而每恨題名錄尙欠今年冬使從子傅川以次追書而剩其紙以竢夫後來之君子親洒翰墨云光海辛亥十月二十八日男用厚講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題名錄 賜祭官戶曹正郞趙曄【景輝】光州牧使呂祐吉【尙夫○號稚溪官監司】提督官趙彭年綾城縣令具瀋景陽察訪宋爾昌【福汝○號淸坐窩後爲郡守】幼學李壽龍【文明】幼學金逈【叔明○光山人號鳴巖】前監察朴之孝【子敬】幼學金蘊德【彦明】前別提柳思敬【德新○後登文科佐郞】生員高敬履【而惕】幼學李汝龍【聖允】幼學李廷壁【忠伯】巡閱御史尹暄【次野】全羅道觀察使張晩【好古】前兵曹正郞曺弘立【克遠○昌寧人科牧使】前兵曹佐郞鄭宗溟【士朝】茂長縣監林{忄+業}【子愼○改名㥠號石村官監司】全羅都事崔弘載【德興○後爲持平】幼學洪宇慶【箕瑞】前縣令林懽【子中號習靜】成均博士李涵一【一吾○後爲司成】進士梁千運【道亨○後爲主簿】前刑曹正郞金存敬【字吾○後爲府尹】進士白指南【善明號松湖】光州牧使成安義景陽察訪李泰男【仲吉】進士金璇【而獻○號市西後爲察訪】延昌朴慶新【仲吉○後爲牧使】進士吳希道【得源○後爲翰林】幕下前直長崔尙謙【汝益】及第鄭弘溟【子容○號畸翁後爲大提學】門下前典籍洪千璟唐城洪命元【號海峯】前察訪林堜【東野○號夢坡後爲判書】錦城林墰【載叔○號淸癭後爲判書】錦城林{土+韋}【平仲○後爲持平】暗行御史吏曹佐郞張維【持國○號谿谷後爲國舅】嘉林趙希逸【怡叔○號竹陰本州牧使】暗行御史弘文館校理朴炡【大覲○號霞石潘南人官吏曹參判諡忠肅後爲錦洲君】賜祭官禮曹正郞申達道【亨甫】淳昌郡守安復善【景休】昌平縣令金嶷【汝望】光山縣監李惟達【兼善】全羅道觀察使尹履之【仲素號秋峯】體府從事官吏曹正郞金槃【士逸○後爲參判】全羅道觀察使宋象仁【聖求】竹山安邦俊【士彦○號隱峯參議諡文康】進士金成輅【士行光山人】西河盧亨弼【志行○後爲師傅】淸風金佑明【以定○後爲國舅】光州牧使閔應恊光州牧使申翊全【汝萬】京試官李晢【白而】熈川朴守文【士彬○本州牧使】光州牧使貞海郭聖龜【文徵】豊川盧亨夏【長卿○後爲持平】前府使崔後憲【士述】花陵監時憲前持平郭齋華【仲望】光州牧使金素【知白】南川徐鳳翎【仲擧○後爲寢郞】生員金浯【仲源○光山人】光州牧使桂陽李光載【季章】光州牧使完山李厚【子重】全羅道觀察使閔維重【持叔○後爲國舅】全羅都事權斗樞【汝綢】靈巖郡守李世翊【叔弼】參禮察訪洪鍾聞【秋卿】全羅道觀察使洪處厚【德載】光州牧使坡平尹抃【樂道】光州牧使首陽吳斗寅【元徵○後爲判書】濟州巡撫使李選【擇之○後爲參判】豐城趙相愚【子直○號東岡後爲右議政諡孝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3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姜允執 姜允執 1顆(적색, 원형, 0.6cm)宣性佐信 1顆(적색, 원형, 1.2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384_001 1913년 4월 3일에 강윤집이 누군가에게 2마지기와 1마지기 두 곳의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 1913년 4월 3일에 강윤집(姜允執)이 누군가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이다. 전체 명문의 내용은 조선시대 명문의 틀을 유지하면서 근대 매매계약서의 용어와 형식이 혼용되어 있는 문서이다. 매물은 고창군(高敞郡) 대아면(大雅面) 성동전평(星洞前坪)에 있는 견자(堅字) 자호의 논과 같은 면 서당후평(書堂後坪)에 있는 견자 자호의 논 두 곳이다. 성동은 봉덕리(鳳德里)로, 서당리는 상갑리(上甲里)로 편입된 곳이다. 성동전평에 있는 논의 지번은 2호답이고 한 배미[夜味]이며 면적은 2마지기[斗落只] 6부(負)이고, 서당후평에 있는 논의 지번은 26호답이고 역시 한 배미이며 면적은 1마지기 3부(負)이다. 면적표기는 파종량 기준과 수확량기준을 병기하였다. 거래가는 150원[円]이다. 신문기와 구문기 2장을 매수인에게 넘겨주면서 영구히 방매하였다. 답주(畓主)라는 용어 대신 매도인(賣渡人)이라 쓰고 이름 앞에 주소를 쓰는 것은 근대 계약서의 양식이다. 강윤집의 주소지는 대아면 서당리이고 증인으로 참여한 선성좌(宣性佐)는 오동면(五東面) 안동리(安洞里)이다. 오동면 안동리는 오산면(五山面) 도산리(道山里)로 편입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09년 김필옥(金弼玉)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文東屹 金弼玉 文永職<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396_001 1809년(순조9) 12월 30일에 유학 문영직이 김필옥에게 3말 5되지기의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 1809년(순조9) 12월 30일에 유학(幼學) 문영직(文永職)이 김필옥(金弼玉)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이다. 문영직은 상속을 통해 소유하게 되었다고 소유 경위를 밝혔고 방매 사유는 적지 않았다. 매물의 소재지는 보성군 율어면(栗於面) 하도(下道) 가척촌(可尺村) 앞의 군성평(軍城坪)이고 자호는 환자(桓字)이며,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3말[斗] 5되지기[升落只]이고 수확량 기준으로는 13복(卜) 5속(束)이다. 부수 다음의 84는 지번으로 추정된다. 거래가는 전문(錢文) 65냥이다. 본문기(本文記)에는 다른 전답이 함께 기재되어 있어 매수인에게 넘겨주지 못한다고 되어있다. 문영직이 상속을 통해 얻은 전답이므로 위의 본문기는 분재문서로 추정할 수 있다. 문영직은 다른 증인이나 필집을 두지 않고 자필로 문서를 작성하여 거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51년 이수일(李守一)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白彦 李守一 李白彦<着名>金正悌<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1년(철종2) 4월 2일에 이일언이 이수일에게 2마지기의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 1851년(철종2) 4월 2일에 이일언(李日彦)이 이수일(李守一)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이다. 이일언이 이 논을 소유하게 된 경위는 자신이 매득(買得)하였던 것이고 이를 수년 동안 경작해 오다가 결역(結役)이 많은데 이를 마련할 길이 없어 부득이 팔게 되었다고 방매 사유를 적었다. 매물의 소재지는 농막촌(農幕村) 뒤쪽의 예기평(禮淇坪)이고 자호는 인자(人字)이며,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2마지기[斗落只]이고 부수(負數)로는 6복(卜) 9속(束)이며 구획상으로는 2배미[夜味]이다. 거래가는 전문(錢文) 8냥이고, 신문기(新文記)와 함께 구문기(舊文記) 1장도 함께 매수인에게 넘겨주었다. 김정제(金正悌)가 증인 겸 필집으로 이 거래에 참여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착명하였다. 이일언이 방매하게 된 이유가 된 결역은 조선 후기에 토지에 부과되었던 부가세의 일종으로, 정식 세금인 전세(田稅), 대동미(大同米), 삼수미(三手米), 결전(結錢) 이외에 지방의 여러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징수하던 세금이다. 원래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하여 대동미라는 명목으로 토지에서 결(結)당 12말[斗]을 거두어 일체의 요역(徭役)을 면제하였는데, 지방에서의 불시의 경비를 마련해야 한다는 명목으로 지방관이 여러 비용을 부과하였다. 이때 토지 결수(結數)를 기준으로 징수하였으므로 결역(結役)이라고 불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儒籍 宣祖三十五年【大明萬曆三十年】壬寅春二月日創建【整安】有司李壽龍【進士】金逈【監司】柳思敬【佐郞】吳景毅朴之孝【顯監】高敬履【進士】崔恒吉【幼學】朴儼仁祖二十六年戊子九月初五日整案院長梁曼容【號據梧翰林】掌議柳希昌李鼎和盧亨吉鄭之檜孝宗八年丁酉九月八日整案院長崔後憲【號就閑齋官漢城左尹】執綱李宗絃高寅李相周李瀍肅宗二年甲寅二月日整案院長宋時烈【號尤庵諡文正公】掌議朴承祚柳夢翊洪禹福崔世起肅宗十七年辛未八月十二日整案院長李觀徵【號芹谷諡貞僖公】掌議金致鳴李萬珪李萬璇裵大有肅宗二十五年己卯八月二十六日整案院長金昌恊【號農巖諡文簡公】掌議朴光宗宋汝龍柳之重金載慶英宗二十五年己巳二月十九日整案院長閔鎭遠【號丹巖諡文忠公】掌議尹致商朴光夏柳之龍崔大徵英宗四十六年庚子十二月十二日整案院長朴光一【號遜齋官諮議】掌議李湜朴萬挺色掌奇永勳崔沃【進士】純祖元年辛酉三月二日整案院長鄭元容【號經山官領相諡文忠公】掌議奇復永朴聖休尹範龜朴源浩哲宗五年甲寅二月十七日整案院長李裕元【號橘山文左相】掌議崔相一奇復鉉羅燾圭朴性愚高宗五年戊辰二月十五日整案院長李裕元掌議崔喬淳朴濟邦色掌鄭志日柳是漢建祠三百五十一年辛卯八月八日續修掌議鄭琮源尹永淇崔洙華朴應圭別有司高漢錫羅平集高光麟高在碩校正任彦宰高光瓚正書崔炯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廟宇修葺告由 廟宇頹圮滲漏床席不勝惶悚將加修葺謹以酒果用伸虔告謹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褒忠祠各項節目【朝家 特典】 褒忠祠及影堂客項節目與救獘完文右完文事本院卽忠烈公霽峯高先生孝烈公隼峯毅烈公鶴峯三父子於壬辰之亂倡義殉國其精忠大節炳明東土幕下柳月坡安淸溪兩先生亦同時殉節配焉則五賢妥靈之所而 朝家褒奬賜額之典金樻鐵券 聖敎昭載給復給戶院生保奴之額與他有異而夫何挽近以來院村有煙役之侵生保有軍丁之犯所屬或有曠額而莫知所以禁勵則烏在其 聖朝崇賢祠之道乎此不過任掌輩私自存拔未遑充數之獘風敎之不古法綱之解弛誠可慨也且晴沙高先生以忠臣之胤孝子之弟世襲忠孝文章德業遺烈百世旣有追享之典則院戶生保奴亦有已例其在慕仰恪遵之地敢可慢忽也哉幸因公議之仰籲於 巡營本營及影堂所鳳隨闕塡代各項煙役與身役無或侵漁之意諸條臚列于後完文成給依此永久遵行事甲寅十二月 日五先生享位祭物儀式稻米貳斗貳升五合 鹿醢五升正合梁米貳斗貳升五合 魚醢五升五合黍米貳斗貳升五合 栗黃五升五合稷米貳斗貳升五合 乾棗五升五合酒米壹斗正升 菁葅五升五合曲子壹片半 芹葅五升五合鹿脯拾五片 大豕腥壹口魚鱐拾五尾 幣布貳拾五尺大黃燭五雙 眞玄壹丁祝文壯紙參張 香壹兩黃筆壹柄 白紙貳張【燭心】際院復參結 院米陸斗陸升陸合 執事儒生三十員院生四十名 保直三十名 院戶二十五戶典糓二名 院直一名 庫直二名兼別庫都使喚一名 色丁一名 院奴二十五名奉香禮吏一名原(晴沙高先生影堂位祭物儀式)稻米肆升五合 酒米參升黍米肆升五合 曲子壹片鹿脯參片 黃燭壹雙鹿醢壹升五合 祝文壯紙壹張栗黃壹升壹合 黃筆壹柄菁葅壹升壹合 香壹兩豕腥壹口 白紙壹張【燭心】幣布五尺際儒生十五名 院生十五名 保直十五名院戶十五戶 齋直一名原光州牧使洪【印】 兼使【印】光州牧使書目光州所在 褒忠祠各項條件成節目上 使反貼 下送事行下緣由狀哲宗五年甲寅十二月七日牧使洪【印】題此是申明舊規而節目反貼下送以爲永遵之地事甲寅十二月二十一日兼使【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祭物記 稻米五升 魚醢一尾梁米一升 魚鱐十尾黍米五升 銀杏一升稷米一升 栗黃五升豕牲一口 芹葅一束鹿脯二十五斤 菁葅五東鹿醢五升 幣布二十五尺祭酒五升 黃筆一柄木香五封 眞玄一丁祝文紙一張 黃燭五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國恤中停焚香告由 宗社不幸某月某日大行大王(大王大妃)禮陟中外震驚哀痛普深來朔(今望)焚香公除前禮當姑停謹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停享祀告由 大行大王(大王大妃)因山未訖今春(秋)享祀禮當不擧謹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院任望帖書式【幷送呈書翰】 望姓名本院何職某年某月某日茅山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英廟朝雙忠祠致祭文 粤歲赤豕島夷猖獗掠我邊郡其勢莫遏惟彼鹿島鎭小兵寡將軍鏖戰賊遂大挫況艘二十不亡一卒纔喜烏竄又驚豕突衆寡不敵斂壁以伺夫何賊臣始㥘終忌脅之使戰遺爲賊餌百兵三朝援絶力竭損竹之洋殉節之日罵賊杲卿不屈南入授閫後時梟帥洩恨血詩招魂愁蛟泣蜃泰山鴻毛風聲永樹愍恤旌贈以勸來後逮至龍蛇爰有繼武勇絶倫輩文知大義選畀南鎭前人舊莅繕兵勵士誓心報主雕題稔惡傾國入寇萊釜先潰羽檄旁午聞變卽赴雪涕催船部雖扞後戰輒居前進死爲榮退生爲辱士感忘身師憂輕敵三十餘戰自夏徂秋沒雲臺邊日黑氛浮賊勢方盛衆請且俟忠膽倏張快颿飄駛轉鬪深入赤丸洞中長鯨偃波寃虹結穹諸鎭失臂群酋加額報聞行朝聖祖震衋嗟呼二卿地同忠竝哀贈之典後先俱炳矧玆遺祠雙榻共饗一浦髣像千秋愴恨遣官薦苾庸表予誠桂旗螭驂庶歆斯觥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