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安東權炳順 道喪千載後三像始今存享儀同一體鳳嶽與天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順興安邦珍 後天先天學其中一理存鳳洞新祠起南人所知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十八年壬辰元月二十一日前明文右明文事段 以移買次 放賣爲去乎 素率方員 筆字 卄五田 二束 卄六田 二負三束 卅一田 三負七束 卜數合六負二束 三斗落只廤 価折錢文二十六兩乙 依數捧上爲古右人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誰談是去等 以此文記告官卞正事田主鄭雲洛[着名]證筆嚴大永[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奴千斤處無他 以移買事 結城加山面下加里伏在 表字畓二斗落廤乙 捧準價納宅後 並本文記 依數以給事癸巳十一月 日上典李[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80년 비 소순덕(小順德) 배지(牌旨) 고문서-명문문기류-배지 尹 婢 小順德 上典 尹<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0년 12월 20일에 상전 윤씨가 비 소순덕에게 원매인을 찾아 자신의 밭을 방매하도록 지시하면서 발급한 배지 1880년 12월 20일에 상전(上典) 윤씨(尹氏)가 자신의 비(婢) 소순덕(小順德)에게 발급한 배지이다. 윤씨는 이매(移買)하고자 포천(抱川) 청량면(淸涼面) 마전동(麻田洞)에 있는 자호가 조자(弔字)이고 면적이 경작시간 기준으로 일일반경(一日半耕)이고 수확량 기준으로 3부(負) 7속(束)이며 사표(四標)가 분명한 밭을 팔고자 하였다. 그래서 이 배자에 방매사유와 매물에 대한 정보를 기재한 뒤에 소순덕에게 원매인(願買人) 즉 사기를 원하는 사람을 찾아서 매매가를 받아서 나에게 바친 뒤에 이 배자의 내용에 따라 문서를 작성하고 본문기(本文記) 2장과 배자 1장까지 매수인에게 넘겨주도록 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대부분 배지는 자신의 노비 가운데 글을 알아서 상전을 대신하여 이런 일을 할 수 있는 호노(戶奴)에게 발급하는 것이 상례인데, 이 경우는 계집종이 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눈에 띄는 점이다. 앞의 '일일반경'은 토지의 면적을 기재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경작시간을 기준으로 한 표시 방법이다. 주로 논보다는 밭에 사용하는 단위이고, 밭을 간다는 뜻의 경(耕) 자를 사용하여 어느 정도의 시간을 들여 밭갈이를 할 수 있는 면적인가를 표시한다. 이런 용어로는 '반일갈이[半日耕]', '하루갈이[一日耕]' 식으로 쓰는데, 위의 일일반경은 하루갈이와 반일갈이를 더한 시간을 의미한다. 이외에도 조전경(朝前耕)은 첫닭이 울기 전에 밭으로 나가 아침식사를 하기 전까지 밭갈이를 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이란 뜻이고, 일식경(一息耕)은 잠시 쉬는 동안 정도의 시간에 갈 수 있는 면적이란 뜻인데, 하루 일할 때 휴식은 4번으로 하고 그 한 번의 면적이 일식경이므로 4식경이 일일경이 된다. 이 모든 갈이[耕]은 소 1마리를 기준으로 하는 우경(牛耕)이 통례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婢小順德處付無他 有移買處 抱川淸涼面麻田洞伏在 弔字田一日半耕 三負七束 四標分明廤乙 汝矣願買人處 捧準価納宅後 此牌子導良 本文記二丈牌子一丈並以 永永成文以給 宜當事庚辰十二月二十日上典尹[着名]弔字田一日半耕三卜七束內 作畓三斗落壹卜伍束廤乙 奴次卜 癸卯十一月 放賣於朴奴汝出處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奴山哲處無他 宅畓存字二斗七升落 在橋洞前坪 而方欲移買 汝矣身廣問願買人 捧準價納宅是遣此牌子遂成新文以給 永永放賣宜當事上典鄭[着名]丙申三月 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十六年丙申三月卄六日 前明文右明文事 宅畓存字二斗七升落在於橋洞前坪 而移買次 価折錢文捌兩 依數捧上是遣 上典宅牌子 遂以爲永永放賣於右人前 成新文以給 旧文則他畓文幷付 故不得出給 日後如有委折以此文憑考事畓主鄭生員宅奴文山哲[着名]證保惡上[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奴次卜處無他 有要用處 故抱川淸涼面麻田里伏在 弔字田一日耕及割只一息耕 合二作二負四束 四標分明廤 汝矣願買人處 捧準価納宅後 此牌子導良 本文記二張牌子三張並以 永永成文以給宜當事甲辰四月十九日上典尹[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金海金鍾烈 吾道東來久在人不墜存惟我三賢聖古今尊莫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星州李鍾權 至聖天攸從文公道得存繼開安子作祀事仰瞻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金海金在忠 魯宋孔朱後東國晦軒存集成祠宇作多士禮攸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星州李鍾一 孔朱傳道統安子我東存精舍多故事後生解衛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常享祝文 維歲次干支九月干支朔十六日干支 後學姓名 敢昭告于西山柳先生墨胎之節東峯之跡合爲一人百世矜式玆値定期敬薦醴牲以逸堂柳公弄圃柳公高巖柳公耕隱柳公配尙 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享祀日 每年陰九月十六日【元定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祭物單子 稻米【五升】○粱米【五升】○淸酒【五升】○豕牲【五頭】○幣布【十五尺】○鹿脯【百條○無則代以牛脯】○鹿醢【五斤○無則代以魚醢】○菱仁【五升】○栗黃【五升】○菁菹【五束】○韭菹【五束】○黃燭【五雙】○檀香【五封】○祝文紙【一張】○靑筆【一柄】○眞玄【一丁】○洗巾布【一尺】○香車【一臺○祭物封進用木製如轎子】○卓子【一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祭器 簠【五○木製】○簋【五○木製】○爵【十五○鍮製】○坫【十五○鍮製】○牲俎【五】○竹籩【十五】○木豆【十五】○幣篚【五】○燭臺【五雙○鍮製】○香盒【五○鍮製】○香爐【五○鍮製】○香案【五】○祝版【一】○尊【五○鍮製】○勺【十五】○燈籠【一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神道碑銘【序幷】 穆陵壬辰倭寇猖獗乘輿播越宗社危如一髮弄圃柳公以濟世之材從戚姻健齋金先生聞性命業弓馬以文武全才稱弱冠登武科拜宣傳官爲時之用時明將宋大贇以游擊將提兵東援性驕悍人難接應使公特拜接伴使公以左右周旋少無失策游擊於公禮遇甚重追擊屯倭累捷而後歸京游擊言于 上曰累戰累捷皆以柳接伴之智勇可任大將 上納其言除竹山縣監及丁酉再亂與兄同倡義旅草檄布告前日同義金億秋林懽等四十餘人召募響應所向無敵賊平錄宣武原從勳賜鐵券陞秩嘉善同樞公讓功諸賢乞骸歸鄕晝而治圃夜而弄月逍遙自適世稱弄圃先生諱希達字仲顯文化人始祖諱車達統合三韓拜大丞歷文簡文正貞愼章敬入本朝諱曼殊開國功臣左議政三傳諱自湄號西山文科監察 端廟遜位自靖于首陽山咸曰東方伯夷享淸節祠諱軒號西坡司果諱繼先平壤判官諱琬司直卽公之曾祖以上也祖諱順長蔭司憲府監察考諱節贈工曹叅議始居羅州妣淑夫人陽城李氏光弼之女有三男長希榮習讀次卽公季希培郡守皆以人物傑豪稱湖南三柳公生於 宣祖辛未卒於 仁祖辛未葬于距家五里九龍洞念佛山丙坐之原元配固城李氏別坐安中女無育繼配咸平李氏主簿夢麟女俱贈貞夫人五男四女曰時澗時泌時淸時源時漫皆隱德不仕女適晋州鄭來昌羅州鄭麟瑞陽城李櫓瑞山柳載瑞餘不盡錄嗚呼公以叅議公之仲子世襲文蔭出身靺?公素志天旣爲弭亂而命世何敢辭武職事君之道文武一也況才兼文武置身戎馬扶存社稷讓功身退不亦偉哉然而爲外勳所掩世莫知公聞道於健齋其節義之高由於學問於公雖無損其如後學所矜式何後孫洪烈袖其實記而請文於無文不得辭遂之銘曰龍蛇之亂天地翻覆忠臣義士應時而作孰任其責弄圃先生氣湧山河志切掃淸明將來援人難接抑薦公接伴見卽心服追擊屯倭殲彼讐仇豐功偉烈誰與爲儔志同金趙名齊李權及其凱還讓功諸賢還出弄月豈無所以如可得也思公復起遺墟隣近維梓與桑碑于玆陟降洋洋我銘斯刻用詔千億瞻彼念佛過者必式隆煕庚戌後丁亥二月 日 前成均館博士完山李光秀謹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康熙三十九年庚辰十二月二十五日 宗孫李翊台處 完議成文右成文爲後考事 自數年以來 墓下全無守直奴 且於四節日 各家祭需輸來之際 事甚苟艱乙仍于 不得▣完議 以奉祀條 奴先明代行爲乎矣 但籬底奴子與外方奴子有異 先明一口代 外方遺漏奴 咸平奴蘭卜所生奴五奉 康津奴金男貳口 相換代給爲去乎 以此爲後考之地向事叔父前府使李[着名][押]承旨公幼學李[着名]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