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玉振堂記 安氏東方著姓順興氏卽其一也以文成公晦軒爲鼻祖惟永平之安海山荒僻門戶寥冷席上瑾瑜誰肯問白珩而誦其連城之價哉鄧林枯枝滄海浮芥良可嘆也然而尊聖重祖之義非衣羅紈厭芻豢所可及哉以門議遂相居之南經始祠宇厥土燥剛厥位面西殿堂門廡黝堊丹漆擧以依法舍菜有日師生有舍庖廩有次因其曾有齋舍以孔夫子後二千四百七十五年夏五月湖南士林送鄭壽洪安哲魯自晉陽道統祠摹孔朱安三聖賢眞像浮南海下陸于木港晉陽士人梁文煥安定植從焉十五日中火于羅州榮浦等地列郡章甫會者數百光善亦在陪從之後旋發向永平之集成祠道路觀者如堵依俙若昔日矍相圃氣像也抵祠日旣曛矣遂權奉于玉振堂告曰百世景慕謹奉遺像廟貌未就權奉是告後石吳駿善顔其祠曰集成命光善顔其堂與門堂曰玉振神門曰三元外門曰道東蓋取大成玉振也軌躅可尋吾道東之義也嗚呼鳥獸不可與同群以今日而有此盛擧不但爲安氏顯晦有時抑將爲吾道重熙之兆眹歟玆敢書顚末如右云爾孔子二千四百七十五年甲子仲夏長澤高光善謹記玉兮次於金者也樂之爲道非金則無以始條理也非玉則無以終條理者八音之中金石爲重故也而始終條理者集群聲之小成而一大成者也嗚呼我孔夫子以天縱之姿集羣聖之小成而大成者則此孟子之十分形容聖人處而子貢所謂聞其樂而知其德者也厥後文公朱夫子集群賢之小成而大成者也至於東方安文成公晦軒先生集群儒之小成而亦一大成者也前後之大成其揆一而道之時中莫不具始終條理則雖在千載之後以儒爲名者皆服習其禮樂之敎孰不鼓舞而崇奉也哉噫此卽湖南士林與先生本孫景慕不已而建三聖賢集成祠于故永平之南鳳凰山下而堂曰玉振以影幀奉春秋釋菜習禮講學之所也多士之鞠躬趨蹌依若有聖賢當日之儀形而不以邪說搖惑焉豈非遺風餘韻之愈久不泯者而亦豈非安氏之血誠湖士之羹慕之力哉先生嘗自謂欲學孔子自朱子始此先生平日希賢希聖精力中語也惟吾後學欲學孔朱且以晦軒爲始不墜先生之心法則非但儒子凡人紀網之興振始終不替如金聲玉振云孔子二千四百八十四年癸酉孟春坡平尹璟赫謹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儒案序 集群聖而大成孔子也集群賢而大成晦庵朱子也生乎千百載之下集群儒而大成在麗朝有若文成公晦軒安先生此集成祠之所由建而吾儒之所崇奉者然也蓋惟文成公之裔孫家于永南者有某某是歲春始建是祠于舊居之里工役未訖而有曰哲魯收其宗議與鄕人士鄭壽洪往晉州道統祠先摹孔朱安三位眞像而來以夏五月旣望丁巳權奉于舊有齋舍告由將事其辭曰百世景慕謹奉遺像廟貌未就權奉是告于時縫掖之儒遠近來集左右趨蹌怳乎如親炙聖賢之門雖童孺臺隷亦莫不觀感而悅服亦豈安氏一門之光幸也將見子夜一雷聲萬戶千門次第復開矣禮旣畢諸儒署名于一帖題其首曰儒案凡厥冠儒服儒孰無欲入此堂而籍其名於此案者乎炳壽嘗見麗史其略曰忠烈王甲辰晦軒先生建議置國學贍學錢購祭器樂器六經諸子史以還有一武人不肯先生曰臣忠於君子孝於父非夫子之敎耶若曰我武人何苦乃爾是不知孔子也其人慙卽出錢又曰先生以興學養賢爲己任常讀晦庵先生集因以晦軒自號云今日之儒案亦推本先生之遺敎然求觀聖人者苟以圖像而已則未可謂善觀聖人也溫良恭儉讓五者善形容聖人處也鄕黨一篇畵出聖人且遠遊題眞二詩晦庵先生爲學之終始也必也讀其書誦其詩想像而心得之然後乃可謂眞儒矣案其徒然哉噫吾道寢衰今見滿世間偎儡改頭換而充塞仁義者紛然雜出不但如香燈供佛簫管祀神之時其勿以滿庭春草復有晦軒先生之歎悼則吾儒之幸也亦吾儒之所當勉戒也因書此爲之序孔子二千四百七十五年甲子仲夏陽城李炳壽謹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기해년 존위(尊位) 등 품보(稟報)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尊位 等 咸安郡守 官[押], 尊位 盧[着名], 頭民 李[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해년 3월 13일에 안도면 유암의 존위 및 두민이 함안군수에게 올린 품보 기해년 3월 13일에 함안군 안도면(安道面) 유암(流巖)의 존위(尊位) 및 두민(頭民)이 함안군수에게 올린 품보(稟報)이다. 유암의 노(奴) 만발(萬發) 명하(名下)의 구세전(舊稅錢) 3냥 5전 7푼이 당동(堂洞)의 노 명발(命發)이 낼 항목으로 이록(移錄)되어 있어 호명(戶名)과 어긋나니 이를 바로잡은 후 수납해야 한다고 보고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安道面流巖尊位頭民爲稟報事 本洞奴萬發名下舊稅錢三兩五戔七分 移居堂洞奴命發所當條 而戶名相左之致 至今未歸屬是乎尼 右錢三兩五戔七分 堂洞奴命發處 移錄督捧之地爲臥乎事右 稟 報行 郡 官己亥 三月 十三日 尊位 盧 [署押]頭民 李 [署押]行官[押]【題音】詳査移錄 督捧向事十三日都吏稅色兩主戶 姑以率待向事十四日 背題主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十七年辛卯九月二十日 前明文右明文事 勢不得已 大雅面篤谷前坪疑字畓 六斗落 三夜味 所耕二十負廤 価折錢文幷禾穀陸拾伍兩 依數捧上是遣 右前以新旧文二丈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 則以此文記憑考事畓主 全德之[着名]證人 金允澤[着名]筆執 田雨溢[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함안군(咸安郡) 안인면(安仁面) 원전답(元田畓) 치부(置簿)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함안군 안인면(咸安郡 安仁面) 원전답(元田畓)의 결수를 작성한 치부(置簿) 함안군 안인면 상리(咸安郡 安仁面 上里) 등 13곳의 원전답(元田畓) 176結 65卜 8束을 기록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十七年辛卯八月 日 前明文右明文事段 同生弟臆▣獄事所費錢 辦報無路 故不得已 長兄衿得畓 伏在栗夜味五斗落幷禾穀価折錢文壹百八十兩 依數捧上是遣右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 則以新文記 告官卞呈事畓主次弟幼學蘇輝英[着名]洞任 幼學張時玉[着名]洞任 幼學李尙珣[着名]洞任 幼學李正會[着名]筆執 幼學蘇準述[着名]風憲 金赫臣[着名]南原玉山里栗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十七年辛卯九月二十日 前明文右明文事 自己買得 數年耕食是多可 勢不已 伏在大雅面內篤坪 疑字畓 五夜味 四斗落 所耕十負一束果 疑字畓 六夜味 八斗落 所耕二十三負果疑字畓 一夜味 二斗落 所耕八負二束果 ■(疑)弁字畓 三夜味四斗落 所耕十五負二束㐣 折価錢文八百兩 依數捧上是遣 右人前 新文一丈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言端 則以此文記憑考事此亦中 旧文幷付他文 故不得出給事畓主幼 全德之[着名]證人幼 金允澤[着名]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景慕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錦城吳駿善 繼孔紫陽作後先一揆存東國晦軒出千年道復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長興高光善 摹聖畵賢一體同褥儀再擧道吾東將來洙泗誾如侍遠及嶺湖振士風廟貌修新曾後素榴花洞僻晩生紅應知此會曠今古堂上絃歌盡鞠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陽城李炳壽 聖人一太極道與天俱存雖然未親灸想像仰彌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順興安東燮 道統淵源脈相傳不墜存慕先因慕聖一體儼然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居昌愼用晟 派分洙泗活山儼武夷存春草無人句吾東道所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豐山洪俊憙 聖賢傳授法千載孰能存安子東邦出接夫道統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密陽朴秉勳 泗洙流不盡一脈至今存二子能私淑斯文天下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竹山安基彥 水月千秋照傳心道所存孔朱安集聖一祠仰彌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順興安炳煥 前聖後賢道極天罔墜存繼往開來學縟儀一體尊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