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標右標事段 癸丑年二月年分 長橋里居金學九處 錢三十兩得用內 甲寅年四月錢四兩給 在錢二十六兩 出處無路 故草屋三間 太田五斗落只㐣 折価錢文二十兩 依數捧上後 太田價錢三兩二戔 太田■文記除給 餘錢■■十六兩八戔 右人前永永許給故 日後長橋里金學九處 若有債錢餘數 則以此手標一張 告官卞正事證人證保高萬奉[着名]李正信[着名]執筆 申永圭[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辛亥十一月十八日 前手標右手標事段 右宅錢文一百六兩四戔 尙未備保 故更爲成標 而每朔四分例 限則明年三月晦內是叱 若過此限 則以典當物 永永放賣之意 成手記爲遣 若有他說 則以此手標憑告事標主自筆金再煥[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開國五百五年丙申正月十三日 前明文右明文事 以要用之致 傳來基田一片 桑田一片 柿木一株伏在於虎溪面甲洞村前 基田峙上 卜數調字員二負六束是遣 栗木田一片 柿木一株 伏在冶廳洞小溪上左阪果 右阪平田二株㐣 価折錢文拾柒兩舊文無傳 故以新文一丈 永永放賣于右前爲去乎 日後若有爻端 則以此憑考事田主韓奴才同不着證人韓奴萬卜[着名](배면)苧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十七年辛卯七月十九日前明文右明文事 數年收稅是多可 勢不得 伏在五東面▣城坪 兒字畓八斗落幷禾穀所耕負束㐣 折價錢一百二十兩 依數捧上是遣右人前新旧文記幷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之弊 則以此文記 卞正事畓主幼學郭明奕喪不着證人幼學金水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開國五百四年乙未十一月二十三日李奴葬金明文右明文事段 以要用所致 自己買得畓 伏在多洛員 六十等呂字 卜數十一負三束三斗落㐣 価折錢文伍拾兩 依數捧上是遣 右宅前永爲放賣爲去乎 日後如有雜談是去等 以此文告 官卞呈者畓主崔生員宅 奴一得證笔趙生員宅 奴成元[着名]金生員宅 奴一在[着名]此亦中 舊文段 他田畓幷付 故以新記一丈 許給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己未四月初六日 門中前明文右明文事 自己買得 累年收稅是多可 報債無路故伏在郡南大德面梅山里後坪綿田子字二斗落 結數四負三束二片㐣 價折錢文七拾円 依數捧上是遣 門中前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 則持此憑考事綿田主 李承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開國五百四年乙未十二月十六日 前明文右明文事段 自己畓數年收稅是多可不得已移賣〖買〗次 伏在西上林里 山赤洞月字畓 四斗落五夜味卜數十負四束果 橋越坪盈字畓 四斗落五夜味卜數十三負二束㐣価折錢文二百十兩 依數交易捧上是遣 右前新文記一丈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雜談 則以此文記 憑告事畓主 幼學 李得滿[着名]證人 幼學 張允叔[着名]證人 幼學 姜應三[着名]證筆 幼學 姜乃言[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앞면어득 수란 졍신ᄋᆡ 굿첩ᄉᆞ연 제설ᄒᆞ오며 바든 ᄂᆞ리칩ᄉᆞ와 일ᄒᆡᆼ이 무ᄉᆞ이 득님가ᄒᆞ오니 신홀ᄒᆞᄂᆞᆫ듕 ᄒᆡᆼ예 갓 순성ᄒᆞᄋᆞᆸ고 우리 현서ᄂᆞᆫ 보오니 이곳 평일바라던 소망ᄋᆡ 여하나 ᄒᆞ오니이런 경ᄉᆞ 남의 업ᄂᆞᆫ ᄃᆞᆺᄒᆞ오이다 년ᄒᆞ여 연일 뫼신 듕ᄂᆡ애분게오서ᄂᆞᆫ 괄념 골물듕 긔운 안상들 ᄒᆞ오신잇가 좌우 각ᄃᆡᆨ 합저리글선 졍남들ᄒᆞ오시며 ᄌᆞ시알고저 정념 이 ᄀᆞᆺ소이다 ᄎᆞᆫ곳ᄉᆞᆫ 게요 지ᄂᆡ고 존당양위분게ᄋᆞᆸ서 연노 쳬후게요 안녕ᄒᆞ오신니 현덕〃〃 사랑게오서도 ᄇᆡᆨ만 촉ᄉᆞ 듕 안상ᄒᆞ오신니 만ᄒᆡᆼ〃〃 동서 기거ᄂᆞᆫ 외로온신상 모여 평안 츙장 든〃마ᄂᆞᆫ ᄌᆡ동서 ᄂᆡ외분게오서도 만금 아ᄒᆡ 남ᄆᆡ 다리시고 안상 츙실 든〃ᄒᆞ시니 여러 형제 ᄂᆡ외 천금 귀슬〃 일신 무양 성〃들 ᄒᆞ오며 ᄂᆡ여오형제 츙실 깃특〃〃 ᄂᆡ 손ᄌᆞ놈츙실치 못ᄒᆞ니 아인〃〃ᄒᆞ오이 못ᄂᆡ ᄋᆞ라도 두고 일ᄉᆡᆼ 명문 성족뒷면의 저와 갓탄 쌍을 이루워바라던니 맛참ᄂᆡ 이곳 평ᄉᆡᆼ 바ᄅᆞ던 소망 ᄋᆡ희 못 넘ᄉᆞ오니 이리 신〃 경ᄉᆞ 남의 ᄯᅩ잇ᄉᆞ오리요마ᄂᆞᆫ 이런 말세세상을 당ᄒᆞ여 아모 등속범절 업ᄉᆞ시니 섭〃들 ᄉᆡᆼ각ᄒᆞ실 닷ᄒᆞ오나 난듕이라 그러ᄒᆞ오니 서운들 ᄉᆡᆼ각마라시ᄋᆞᆸ 적ᄉᆞᄂᆞᆷ 첩출고붕이오나 총요 듕 등ᄒᆞ의 형ᄌᆞ 된동만동ᄒᆞ오니 김작 눌너 김작견ᄃᆡᄒᆞ오시고 이후 소망은ᄂᆡ외분 귀솔 거나리시고 ᄐᆡ평 녕화 소식 바라오이다우리 관듕 ᄋᆡ서 훌처 보ᄂᆡ오면 그 어엿ᄲᅮᆫ 옥골미풍이 안듕의 삼 그리울 닷 수히 귀향이나 청ᄒᆞ여 보러ᄒᆞ오니보ᄂᆡ시ᄋᆞᆸ갑오 시월 초이일 사ᄒᆞ 처 상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19년 취적인가신청(就籍認可申請)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9년 8월 22일에 작성된 취적인가신청(就籍認可申請)에 관한 공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3년 장사범(張士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林昌玉 張士範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3년 10월 25일에 임창옥이 장사범에게 화순 서암촌에 있는 밭 2마지기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 계약문서 1893년 10월 25일에 임창옥(林昌玉)이 장사범(張士範)에게 밭 2마지기를 방매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방매한 토지는 화순(和順) 서암촌(瑞岩村) 뒤편 장문치(張門峙) 아래에 있으며 래자(來字) 자호의 밭이다. 규모는 2마지기로 부수(負數)로는 3복 6속이고, 가격은 전문 28냥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十九秊 癸巳 十月 二十五日 幼學 張士範前 明文右明文事 自己買得 累秊耕食是如可 移買次 在於和順東一道上瑞岩村后張門峙下苧田坪 來字田二斗落只仄灰田仄 負數三卜六束廤 價折錢文貳拾捌兩 右前依數捧上是遣 新舊二丈永永放賣爲去乎 日后若有爻象之端 則持此文記 憑考印田主 幼學 林昌玉 [署押]證叅 幼學 張源宗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9년 서대문감옥(西大門監獄) 민적등본(民籍謄本)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9년 6월 27일에 어느 면에서 서대문감옥에 민적등본을 별첨하여 송부하면서 발송한 공문서 1919년 6월 27일에 어느 면에서 서대문감옥에 민적등본을 별첨하여 송부하면서 발송한 공문서이다. 공문서만 남아 있고 별첨한 민적등본은 남아있지 않다. 민적등본의 주인공은 김한보(金漢甫)의 장남 김관룡(金寬龍)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第 四九二號大正八年 六月 二七日面長 [印]西大門監獄件名 民籍謄本送付ノ件金漢甫ノ長男 金寬龍右者ニ對シ 民籍謄本別添通リ 送付候条御了知相成度此每及回答爲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앞면문안 알외ᄋᆞᆸ고 납한일 셜ᄉᆡᆨᄒᆞ온ᄃᆡ 날ᄉᆞ이긔쳬후 엇더하ᄋᆞᆸ신잇가 디리 졋ᄉᆞ와 이만알외ᄋᆞᆸ 이압 ᄂᆡᄂᆡ긔쳬후 안후ᄒᆞᄋᆞᆸ심 쳔만 바라ᄋᆞᆸᄂᆞ이다숀부ᄂᆞᆫ친환으로 편치 못 신묘연 납월 십이일 숀부 ᄉᆞᆯ이뒷면하나밤젼 상ᄉᆞᆯ이 근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앞면문안 알외ᄋᆞᆸ고 납한일기 칩ᄉᆞ온ᄃᆡ긔쳬후 만안ᄒᆞᄋᆞᆸ신잇가 디리 졋ᄉᆞ와이만 알외ᄋᆞᆸ나이다 이압 ᄂᆡᄂᆡ긔쳬후 안영 문안 죵〃 바라ᄋᆞᆸ 숀부ᄂᆞᆫ 친환으로 편치 못 신모연 납월 십일일 숀부 ᄉᆞᆯ이뒷면한마님젼 상ᄉᆞᆯ이 근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봉투 앞면갑오 시월 염이릴 ᄉᆞ제 ᄌᆞᆼᄉᆞᆼ상봉투 뒷면상쟝김 ᄉᆡᆼ원 ᄃᆡᆨ 근봉앞면편후 날포되오니 신ᄉᆞ지쵸에 향심 무궁ᄒᆞ온 즁 ᄂᆞᆨ〃ᄌᆞᆼ도울 ᄎᆞ로 셔량을 보ᄂᆡ고 ᄌᆞ쥬 용여 젹지 아니온 ᄎᆞ 어은간 만복신 일을 당ᄉᆞ와 보ᄂᆡ기을 ᄃᆞᆼᄒᆞ오니 글로도 두어ᄯᅳᆫ가 시우ᄌᆞᆫ고일〃 헛ᄲᅮ기 엇ᄯᅥᆺᄌᆞᆫ 기록ᄒᆞ리요마ᄂᆞᆫ 그ᄅᆡ지풍일 뉘라셔 면ᄒᆞ릿가 에필 죵부 우귀ᄒᆞᆷ은 ᄌᆞ고로 ᄯᅥᆺ〃ᄒᆞᆫ 법이오ᄂᆞ 이제ᄂᆞᆫ 이십ᄉᆞ년 기룬 어미ᄂᆞᆫ ᄌᆞᆯ ᄶᅩᆺ든 구와 갓고 명문 귀가 임문시에 오복을 구ᄉᆞᆫ 갓치 바릴실고 ᄒᆞ고 임문ᄒᆞ여 미거ᄒᆞᆫ 제일신이 층〃 죤젼ᄋᆡ 쳣ᄉᆞ량 ᄐᆡᄉᆞᆫ갓치 ᄂᆞ리시여 금반에 진쥬갓고 화반에 ᄭᅩᆺ숭이로 보시압기 츅슈로소이ᄃᆞ 연이오나 쵸동일기은 심ᄒᆞ온ᄃᆡ 사돈 양쥬분 호ᄃᆡ 탐ᄉᆞ 심여 신즁 식ᄉᆞ 여젼 만강ᄒᆞ압신지 신ᄉᆞ지쵸에 ᄉᆞᆯ들 굼〃 이곳 ᄇᆡᆨ연 죤ᄀᆡᆨ 셔량게ᄋᆞᆸ셔 가신 후 식음이ᄂᆞ 다리시와 화월풍도가 수쳑지아니신지 옥안풍면을 낫비 뵈ᄋᆞᆸ고 훌〃 ᄌᆞᆨ별 후은근우 졍ᄒᆞ신 오간 셩음이 영안에 비럿ᄂᆞᆫ 듯 수이 ᄉᆞᆼ봉을ᄎᆞᆼᄌᆞᆨ에 서고 ᄃᆡᄒᆞᄂᆞ이ᄃᆞ 각곳 겻사돈들 오셧실 ᄃᆞᆺ 금고에 숏드신 우ᄋᆡ시로 여복 탐〃 즐기실가 멀니 뵈ᄋᆞᆸᄂᆞᆫ 듯 각쳐 ᄯᅡᆫ님 면〃 오시와 양당 슬ᄒᆞ셔 여러숙질분 흔〃 ᄂᆞᆨᄉᆞ 길기오미 ᄂᆞᆷ 여ᄉᆞ 아니실 일 역역ᄒᆞ여이ᄃᆞ 그밧 귀문 도졀과 도련나 ᄀᆡᆨ고 공무즁 겨신ᄃᆞ더니 귀ᄒᆡᆼᄒᆞ시ᄂᆞᆫ 지 두로〃〃 원염이로소이ᄃᆞ 친문도 드르시와 ᄉᆞ향지회 젹ᄉᆞ시고 일쵼 ᄐᆡ평ᄒᆞ시며 차졔 사제ᄂᆞᆫ 노친시ᄒᆞ에 아무 별고 업ᄉᆞ오ᄂᆞ 죤고게오셔 오신 이후로 ᄒᆞ로도 영이리히쇼ᄒᆞ시니 졀박ᄉᆞᆸ고 싀슉모게셔 글역 그만ᄒᆞ시ᄂᆞ 동셔분 칠순지연 연〃이 일마실고 이리ᄒᆞᆫ심ᄒᆞᆫ 즁 일〃 ᄂᆡ로 ᄯᅥᄂᆞ시려 ᄒᆞ시니 불효지심이ᄂᆞ 뉴〃ᄌᆞᆼ도ᄎᆞᆨ길 엇지 도ᄎᆞᆨᄒᆞ실고 미리황공 셥〃 일신지유 업ᄂᆞᆫ 골물 즁 시진ᄒᆞ미츈간에 봄실악징으로 고통바든 후쳔방만 약에약효는 어든 듯ᄒᆞᄂᆞ 아직도 완젼 몸이 튼〃치못 시일노 걱졍이로소이ᄃᆞ 어린 것들 오남ᄆᆡ츙실ᄒᆞᄂᆞ 알들이 거두지 못 이리 걸니며 디ᄌᆞᆼ문후ᄂᆞᆫ 요ᄉᆞ이 아득 말이나 ᄌᆞ쥬 용여와 면〃그립ᄉᆞᆸ기 말 연세 ᄒᆡᄌᆞᄒᆞᆫ 친가에ᄂᆞᆫ 숙당 중향각졀이 두로 무쳠 ᄉᆞᄒᆡᆼ이고 ᄃᆡ포ᄯᆡ게도 혼실 무쳠이ᄂᆞ 쳔용이 마니 몸 ᄉᆞ린 지 몹시 고통ᄒᆞ니 보기 걸니ᄋᆞᆸ고 어린 것 ᄉᆞᆷ남ᄆᆡ ᄂᆞᆺ〃 쥬옥 기ᄉᆞᆼ들 막〃 ᄌᆞ미오며 이곳 여아ᄂᆞᆫ ᄂᆞ이ᄉᆞ 이리 ᄂᆞᆫᄌᆞᆫ되요마ᄂᆞᆫ 젹빈쇼쳐 일ᄑᆡ우렴 업ᄉᆞ오니 아모봉숑 두셔 ᄎᆞ리 업고 졍셩 식물 영〃 제페 셩표도 업ᄉᆞ오니 사돈 셥〃ᄒᆞ실 일과 여아 죄로와 ᄒᆞᄂᆞᆫ ᄌᆞᆼ 부모 메고치고 걸니고 사돈ᄃᆡᆨ 고안쳠시에 무관무ᄉᆡᆨᄒᆞ미 멀니 홍안을 면치 못ᄒᆞᄀᆡᆺ슴이ᄃᆞ 능활ᄒᆞ신 조향으로 ᄇᆡᆨ만ᄉᆞ럴 물너 용셔ᄒᆞ시기 쳔만번바람니ᄃᆞ 그역 ᄃᆞ일 시ᄉᆡᆼᄉᆡᆨ이지 양인에 ᄌᆞᆼᄂᆡ 관세ᄂᆞᆫ 업ᄉᆞ오니 부ᄃᆡ〃〃 허ᄃᆞ만ᄉᆞ 미진 허무럴 용셔한니 ᄶᆞ니 ᄶᆞ로 들여쥬심 쳔만 츅수ᄋᆞᆸ고 져에 ᄂᆡ외 ᄎᆞᆼ흥ᄎᆞᆼᄃᆡ 오복을 만니실고임문ᄒᆞᆯ 일 이리 든〃 과홉ᄉᆞᆸ고 ᄂᆞᆨ〃ᄌᆞᆼ도 분여분무ᄉᆞ입 달 축복ᄒᆞᆷ니ᄃᆞ 여아에 ᄂᆞ이ᄉᆞ 이리 ᄃᆞᄒᆞ릿가마는 쳐신범졀과 기시동ᄌᆞᆨ에 아모것도 ᄇᆡ운 ᄇᆡ 업ᄉᆞ오니 부ᄃᆡ〃〃 사돈 널부신 덕ᄐᆡᆨ으로 ᄇᆡᆨ흠을 무휼ᄒᆞᄋᆞᆸ셔 친여갓치 사랑ᄒᆞ시며 가라쳐쥬시며 흔치럴 결초보은ᄒᆞ오리ᄃᆞ 이십ᄉᆞ년 길운 어미ᄂᆞᆫ ᄌᆞᆷ시 쥬인이지 슬고지잇슴잇가 언제ᄂᆞ 가ᄉᆞ 품부 젼곡 간 진〃ᄒᆞ여 우흐로 효셩과아ᄅᆡ로 ᄌᆞ졍을 아라 인졍인ᄉᆞ 표시ᄒᆞᆯ고 눈 ᄯᅳᆫ 쇼경 귀먹은 벙뒷면이리 ᄌᆞᄐᆞᆫ분이올시ᄃᆞ 허다 즁〃쳡〃 쇼회ᄂᆞᆫ 만권도 부죡인 듯ᄒᆞᄂᆞ 보시기 지리할가이만 긋슴니ᄃ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뒷면죵숀부 즉견봉앞면궁거올 ᄎᆞ ᄒᆞ인 부려오며 드르니이ᄅᆞᆺᄐᆞᆺ 츈모의즁시하 금옥ᄀᆞᆺ치 귀ᄒᆞᆫ 일신 편이잇다 ᄒᆞ니 깃분 마암 둘 ᄃᆡ 업다 이곳죵죠모ᄂᆞᆫ ᄂᆡ외 너의 시모 ᄂᆡ외 아직 그만ᄒᆞ다 ᄒᆞ나 져ᄂᆞᆫ 괴롭다 ᄒᆞᆫ 지 이졔 ᄉᆞᆷ일이고 졔 ᄌᆡ죵은 우금팔일이라 슈란즁 아모 셰황 업다 포ᄇᆡᆨ 별로 보ᄂᆡᆫ것 업시 이쳬로 염녀ᄒᆞᆫ니 불안ᄒᆞᆫ즁 괴란ᄒᆞᆫ 마암 둘 ᄃᆡ 업다 져ᄂᆞᆫ알키로 ᄒᆞ여 못 보ᄂᆡ니 사돈젼 엿ᄌᆞ와라 ᄒᆞᆯ 말 무궁 셔리나 심요 슈〃이만 쥬린다여간 보ᄂᆡᆯ 것슨 니웃 불결키로 못 보ᄂᆡᆯ다긔ᄉᆞ 삼월 염구일 시죵죠모 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惟仲冬尊體萬福 溸仰區區 第女阿親事 旣至星來日往 豈非天緣耶 私文慶幸耳 涓吉依敎仰呈耳 餘不備 伏惟尊照 謹拜 上狀丙申 十一月 二十日星州 都逸均 再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7년 이종경(李宗慶)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李宗慶 孫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7년 11월 15일에 이종경이 혼사 문제로 손 생원 댁에 보낸 서신 1897년 11월 15일에 이종경(李宗慶)이 혼인 상대방인 손(孫) 생원 댁에 보낸 서신이다. 봄에 사주단자를 받고 겨울에 연길(涓吉)을 고했으나, 이후 인사(人事)가 복잡하여 여의치 않은 점을 양해해 달라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惟冬寒尊體萬重 親事 春承柱單 冬告涓吉 經劫人事 自不如意 想賜遠諒 恐犯寒戎 伏惟尊察 謹拜 上狀丁酉 十一月 十五日月城 李宗慶 再拜(皮封)謹拜上狀孫 生員 執事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