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39년 술수(術數) 고문서-치부기록류-문복록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9년 2월에 문관산(文冠山)이 작성한 문복록(問卜錄) 박동민(朴東民)의 생년월일, 박송계(朴松溪)의 생년월일을 확인해 작성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고진음자(固眞飮子) 화제(和劑) 고문서-치부기록류-화제 2顆(적색,원형,3.5cm)2顆(적색,직방형,2×1.5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고진음자(固眞飮子)를 만드는 화제(和劑) 고진음자는 강장보양을 위해 숙지황과 인삼등을 이용해서 만든 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星來日往 第蘿依松私門慶幸 孰過於此謹未審 至沍尊體候 膺明大來 拱遨尤摯 第親事 涓穀以呈 幸無碍於左右耶恭俟唯命耳餘謹不備 伏惟尊照 謹拜上狀丁卯 十一月 十五日隋城 白亨一 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기사년 이상모(李尙模)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李尙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665_001 기사년 10월 22일에 이상모가 혼사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 기사년 10월 22일에 이상모(李尙模)가 혼사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이다. 연길(涓吉)을 올리면서 옷 치수를 알려달라고 청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承華翰 感荷良深 謹審孟冬尊體震艮萬福 仰溸區區之至 就孫??事星日交映 私門之慶耳 涓吉依 敎仰呈 章製回 示如何餘謹宣 伏惟尊照 謹拜謝上狀己巳 十月 二十二日陜川 李尙模 拜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3년 강동면(江東面) 경내리(卿乃里) 상임(上任) 첩정(牒呈)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上任 孫 慶州郡守 上任[署押] 墨印(5.4×3.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3년 6월에 강동면 경내의 상임 손 아무개가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 1903년 6월에 경주군 강동면(江東面) 경내(卿乃) 상임(上任) 손(孫) 아무개가 경주군수(慶州郡守)에게 올린 첩정이다. 여러 민폐와 공납(公納) 정봉(停捧) 문제 등에 직면하여 각 동(洞)에서 주민을 이산(離散)하지 않게 하고, 억울하게 횡침 당하지 않게 하며 문제 발생 시 그 전말을 조사하라는 전령(傳令)을 받고 잘 시행하겠다고 보고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十八年壬辰三月晦日 前明文右明文事 禮洞李氏門畓散買次 伏在大雅面內篤前坪 字畓■■五斗落 三夜味 所耕㐣 價折錢文陸拾伍兩果 字畓四斗落 三夜味 所耕十六負㐣 価折錢文肆拾兩 合壹佰伍兩 依數捧上是遣 右前以新文一丈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 則以此文記憑考事此亦中 旧文記並付他文 故不得出給事畓主幼姜斗重[着名]證人幼金相範[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十八年壬辰八月十日 宅明文右明文事 伏以切有緊用處 故伏在五東涒{氵+改}坪 四斗落果 同面沙付坪一斗落 同価錢文二十兩 依數伏受是遣 宅前以新旧文二丈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 則以此憑考事畓主小人金伏錄[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拾柒年壬辰十月初二日 前明文右明文事 以要用所致 傳來畓 伏在南原只沙坊玉山村栗野味坪 悲字員 十二夕十八負五束 四斗五升落㐣 価折錢文壹佰柒什兩依數交易捧上是遣 新旧文記倂 右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像依去等 以此文記告官卞呈事畓主幼學蘇輝宅[着名]放賣幼學蘇輝永[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拾捌壬辰十一月初六日 前明文右明文事段 自己畓 累年耕食是如可 勢不得已 要用所致 伏在西上林里彿堂洞 日字員 貳斗落只 川稅四升□每年計數是遣 価折錢文肆兩 依數交易捧上爲遣 右前新旧文記並以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異談是去等 將此文記憑考事畓主 幼學 姜俊安[着名]證人 幼學 張時洪[着名]筆執 幼學 姜秉文[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貳拾年三月初一日 前明文右明文爲後考事段 自起畓 累年耕食 當此凶歲 生道極難 故分房上員 新字畓 四夜 壹斗落只 卜數貳負 価折錢文參拾伍兩 依數捧上後 右人前永爲放賣爲去乎 日後若有雜談是去等 以此文行考事此亦中 旧文記一丈 前日火災時消火 以此知悉之地也畓主幼學金泰析證人崔松葉筆執金瓊文[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2년 박상두(朴相斗)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증빙류-인증서 朴以馨 朴相斗 朴以馨 1顆(적색,원형,1.2cm)朴相斗 1顆(적색,원형,1.2cm)朴壕箕 1顆(적색,원형,1.2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243_001 1912년 2월 27일에 박이형이 박상두에게 송전을 70냥을 받고 환퇴를 조건으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912년 2월 27일에 박이형(朴以馨)이 박상두(朴相斗)에게 송전(松田)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박이형은 긴요하게 쓸 곳이 있어서 초치(草峙) 유곡(踰谷) 양지원(陽地員)에 있는 산등성이 하나와 두 골짜기를 전문 70냥을 받고 박상두에게 팔았다. 다만 내년 2월에 환퇴(還退)하겠다는 조건을 달았는데 만일 기한을 넘기게 되면 영구히 박상두에게 넘긴다는 내용이다. 환퇴는 토지나 가옥 등을 샀던 것을 다시 되물린다는 것을 말한다. 환퇴문기의 경우 환퇴할 때의 가격을 특정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는 특정하지 않았다. 하지만 관련문서를 통해 1년 뒤인 1913년에 박이형은 이 산지를 환퇴하지 못하고 박상두에게 영구 방매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문서는 매매명문의 양식으로 작성되었는데 '명문' 대신에 '인증서(認證書)'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매도인', '매수인'을 뒷부분에 나란히 적었으며 이장(里長)이 함께 등장하여 도장을 날인한 점 등은 근대의 매매계약서 양식이 혼합된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일제는 1906년 토지가옥증명규칙(土地家屋證明規則) 및 일련의 법령을 공포했고 1907년 토지가옥증명 사무처리순서를 발표하였는데, 이 절차에서 증명신청자가 통수(統首) 또는 동장(洞長)에게 서류를 첨부하여 증명을 신청하면 통수 또는 동장은 접수부에 해당사항을 기입한 뒤 계약서의 내용을 조사하여 인증부(認證簿)에 기입하고 계약서에 인증하여 신청자에게 돌려주는 단계가 있다. 이것이 인증서이고, 이 절차를 지방에서는 이장(里長)이 담당하였기 때문에 이 문서처럼 이장이 매매명문에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 문서의 경우는 매매계약서이면서 이장이 함께 날인함으로써 인증서의 효력도 함께 갖게 된 문서라고 할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江東面卿乃上任爲文報事 卽到付傳令內諸般民弊也 公納停捧也 自各其洞稍饒之民假貸貧乏者 無至離散爲旀 如有寃懲强討者 另査顚末 一一來訴 敎是故 卽卽知委是遣 先卽馳爲臥乎事是良旀 合行牒呈 伏請照驗施行 須至牒呈者右 牒 呈郡 官癸卯 六月 □□□□ 上任 孫[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3년 천북면(川北面) 모아리(毛兒里) 상임(上任) 첩정(牒呈)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上任 李 慶州郡守 上任[署押] 墨印(4.9×4.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3년 6월 27일에 경주군 천북면 모아리 상임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 1903년 6월 27일에 경주군 천북면(川北面) 모아리(毛兒里) 상임(上任)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이다. 결호전(結戶錢)을 8월 보름 이후로 기한을 정해 그때까지 정봉(停捧)하고, 구황에 대해서도 서로 구제하는 뜻을 민인(民人)들에게 잘 알리라는 전령(傳令)을 접수하였으니 잘 알아 시행하겠다는 내용이다. 끝부분에 이 첩정을 7월 초1일에 접수했다는 내용이 제사(題辭)로 쓰여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川北面毛兒里上任爲牒報事 卽到付 官令內開今玆再莅 雖未周察 而虛標勒懲 僞券盜賣 劃計技債 俾校猾吏 以私幻公指 不勝縷結戶錢 急於火色 然民情至此 八月望後停捧爲旀 自各其洞稍饒之民 互相出義是遣 或有寃懲者 卽爲來訴 令飭是乎故 一一知委於大小民處爲臥乎事是良厼合行牒呈 伏請照驗施行 須至牒呈者右 牒 呈郡 官癸卯 六月 二十七日 上任 李[署押]到付七月 初一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기해년 존동(尊洞) 소지(所志) 1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尊洞 咸安郡守 官[押]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해년 3월에 수감중인 아무개가 함안군수에게 제출한 소지 기해년 3월에 본동 존동을 역임한 아무개가 수감 중인 상태로 함안군수에게 올린 청원서이다. 그가 본동(本洞)의 존동(尊洞)을 거행할 때 거둬들이지 못한 구세전(舊稅錢) 때문에 지금 옥에 갇혔는데, 그 세전 중 본리(本里) 각 동(洞)으로 이록(移錄)하여 조속히 거둬들일 수 있도록 할 것을 요청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植 該所 保囚…□ 伏以 民昨年本洞尊洞擧行 而舊稅錢未收之致 拘囚是白乎矣 上項稅錢中 有本里各洞移督…□錢數後錄 仰訴 伏乞…□后 該色的只 移錄於各其洞 不日收刷之地 行下爲只爲…□ 處分己亥 三月 日後 朴谷尊洞 四兩二戔六分藪谷尊洞 四兩二戔六分芝谷尊洞 二兩五戔四分迎運尊洞 二兩二戔二分于末尊洞 二兩二戔二分申同尊洞 二兩二戔二分下林尊洞 二兩二戔二分院北尊洞 二兩二戔二分【題音】王稅甚急 詳査移錄 卽刻發牌 捉來星火 督捧向事卄二日都吏稅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기해년 존위(尊位) 품보(稟報) 3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尊位 咸安郡守 官[押], 尊位 韓[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해년 3월 23일에 마륜면 내동 존위가 함안군수에게 제출한 품보 기해년 5월 24일에 함안군(咸安郡) 마륜면(馬輪面) 내동(內洞) 존위(尊位)가 세전(稅錢) 수취 문제로 함안군수에게 올린 품보(稟報)이다. 그는 미처 거둬들이지 못한 세전 때문에 보수(保囚) 되었는데, 작자(作者)들이 집에 드러누워 끝내 대령하지 않고 버티는 문제가 있으므로 해색(該色)에게 발패(發牌)하여 수취해야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明治四十五年二月二十七日 朴相斗前認證書右認證段 以要用所致로 松田在於草峙踰谷陽地員 一嶝二谷을 価折錢文七十兩 依數捧上ᄒᆞ고 右人前以新文記一丈으로 限明年二月還退之意 並以成文 若有過限 則永爲許給之意 以此認證事賣渡人 朴以馨[印]買受人 朴相斗[印]里長 朴壕箕[印]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