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江東面多山里上任爲牒報事 卽到付傳令內 諸般民弊也 公錢停捧也 自其洞稍饒之民假貸貧乏者 無至離散是遣 或有寃懲强討之事另査顚末 一一來訴 敎是故 卽卽知委於民人處爲厼 先卽馳報爲臥是乎厼 合行牒呈 伏請照驗施行 須至牒呈者右 牒 呈郡 官癸卯 六月 二十四日 上任 李[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3년 천북면(川北面) 오야리(吾也里) 상임(上任) 첩정(牒呈)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上任 李 慶州郡守 上任[署押] 墨印(5.0×3.9)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3년 6월 27일에 경주군 천북면 오야리 상임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 1903년 6월 27일에 경주군 천북면(川北面) 오야리(吾也里) 상임(上任)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이다. 결호전(結戶錢)을 8월 보름 이후로 기한을 정해 그때까지 정봉(停捧)하고, 구황에 대해서도 서로 구제하는 뜻을 민인(民人)들에게 잘 알리라는 전령(傳令)을 접수하였으니 잘 알아 시행하겠다는 내용이다. 끝부분에 이 첩정을 7월 초1일에 접수했다는 내용이 제사(題辭)로 쓰여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川北面吾也里上任爲牒報事 卽到付 官傳令內開 今玆再莅 雖未周察 而虛標勒懲 僞券盜賣 劃計技債 俾校猾吏 以私幻公結戶錢 急於火色然民情至此 八月望後停捧爲旀 自各其洞稍饒之民 或有寃徵者 卽爲來訴 令飭來到 故大小民人處 一一知委 緣由牒報爲臥乎事是良厼合行牒呈 伏請照驗施行 須至牒呈者右 牒 呈郡 官癸卯 六月 二十七日 上任 李[署押]到付七月 初一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경자년 고주인(雇主人)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雇主人 咸安郡守 官[押]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자년 6월에 대곡면 고주인 이소개가 사또에게 올린 소지 경자년 6월에 대곡면(大谷面) 고주인(雇主人) 이소개(李小介)가 사도주(使道主)에게 제출한 소지(所志)이다. 본래 병이 있었는데, 여름이 되니 더욱 고통이 심해 고주인 직임을 거행할 수 없으므로 다른 사람으로 교체해 달라고 요청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갑신년 채절호(蔡切浩) 수표(手標) 고문서-증빙류-수표 蔡切浩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신년 4월 7일에 채절호가 부친의 산소를 이치열의 선산으로부터 매우 가까운 지점에 썼으므로 11월 말일까지 이장하겠다는 뜻으로 작성한 수표 갑신년 4월 7일에 채절호(蔡切浩)가 부친의 산소를 이치열(李致烈)의 선산에서 가까운 지점에 쓴 것을 인정하고 11월 말일까지 이장(移葬)하겠다고 다짐하며 작성한 수표이다. 채절호는 임실(任實) 하북(下北) 두곡(斗谷) 뒷기슭에 있는 이치열의 선산 용상(龍上)으로부터 100여보 지점에 부친을 장사지냈으나 임시로 장사지낸 것에 불과하므로 이장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甲申 四月 初七日右票事 先考山 葬於任實下北斗谷後麓李致烈先山龍上百餘步之地 而地實不稱其時將欲敗歸 而兩次敗歸 實爲愧人 不用來灰 暫爲權厝矣山主致烈 圖形對質樣 呈訴來到 故言其事故待來十月晦內 移葬之意 成票事票主 蔡切浩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54년 산림매도증서(山林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金昌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4년 11월 27일에 매도인(賣渡人) 김창식(金昌植)이 매도대금(賣渡代金) 一萬四阡圜을 받고 산림(山林)을 매도한 증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12년 나주임씨보소(羅州林氏譜所) 임원록(任員錄)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羅州林氏譜所 羅州林氏譜所 1顆(적색,정방형,3.5×3.5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2년 11월 7일에 나주임씨보소(羅州林氏譜所)에서 작성한 임원록(任員錄) 나주임씨족보를 편찬하기 위해 모인 임원들의 명단으로, 문장(門長) 임지수(林志洙)를 포함하여 총 29명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89년 이동렬(李東烈)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李東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9년 11월 7일에 이동렬이 보낸 서신 1889년 11월 7일에 이동렬(李東烈)이 누군가에게 보낸 서신이다. 먼저 상대방이 보내준 편지를 받고 편안하다는 것을 알았다는 것과, 혼사는 가르쳐주신 대로 잘 진행되었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大谷面 雇主人 李小介右謹陳所志事段 矣身 素痛身病 當此夏節 更爲苦痛 擧行末由 故緣由仰訴爲白去乎參商敎是後 特爲改差 俾便公私之地爲白只爲行下向敎是事使道主 處分庚子 六月 日行官 [押]【題音】詳査入稟後 改差向事卄五日 面頭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경자년 김두주(金斗柱)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金斗柱 咸安郡守 官[押]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자년 4월에 김두주가 함안군수에게 올린 소지 경자년 4월에 김두주(金斗柱)가 함안군수에게 제출한 소지(所志)이다. 함안 안인면(安仁面) 운곡동(雲谷洞)의 초배(樵輩) 수백 명의 위협에 못 이겨 두존(頭尊)이 초장(草場)을 만들어 예초(刈草)를 허락했으나, 이에 만족하지 못하고 김두주 부자를 구타한 박가(朴哥) 놈 등을 치죄해 달라고 요청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경자년 두민(頭民) 품보(稟報)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頭民 咸安郡守 官[押], 頭民 河[着名], 韓[着名], 尊位 洪[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자년 5월 24일에 마륜면 내동의 두민 및 존위가 함안군수에게 올린 품보 경자년 5월 24일에 함안군(咸安郡) 마륜면(馬輪面) 내동(內洞) 두민(頭民)과 존위(尊位)가 함안군수에게 올린 품보(稟報)이다. 관아를 비운 이후 이웃 고을 장라(將羅)와 본읍 관예(官隸)에게 빼앗긴 돈이 있는지 조사하여 보고하라는 명에 따라 제출한 것이다. 내동의 경우 한학업(韓學業)이라는 사람이 대산면(大山面) 백사정(白沙亭)에 사는 김가(金哥)와 다툰 일 때문에 진해장라(鎭海將羅)에게 25냥을 견탈(見奪)했음을 보고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馬輪面內洞頭民尊位爲稟報事 卽到付傳 旨內 自空 衙以後 隣郡將羅與本邑官隸之誅求討賂與見奪錢 詳細報來是乎 故本洞則一番一探 則韓學業爲名人 以大山面白沙亭居名不知金哥相詰事 鎭海將羅處見奪錢二十五兩也 而其餘本他邑間 元無一分見奪 故緣由據實 仰稟爲臥乎事右 稟 報行 郡 守庚子 五月 二十四日 頭民 河 [署押]韓 [署押]尊位 洪 [署押]行官[押]【題音】名不知金哥此何民習 依法嚴治次卽刻捉來向事卄四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치부(置簿)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조인한(趙寅漢) 등의 경비를 작성한 치부(置簿) 조인한(趙寅漢) 23兩 4戔 9分 등의 치부 등을 기록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경자년 군관좌목(軍官座目) 고문서-치부기록류-군적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자년 3월에 군관청에서 순교 등 군관 명단을 기록한 좌목 경자년 3월에 군관청에서 순교(巡校)등 군관(軍官) 명단을 기록한 좌목(座目)이다. 행수군관(行首軍官) 업무(業武) 김기련(金基鍊) 등 7명의 군관 명단이 표기되어 있다. 좌목의 뒷부분이 잘려나간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