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栢土里面道知谷居 張生員宅奴成頭[左寸]右謹陳情由段▣…▣干薄□ 在於本面助邑洞里 西▣…▣在鞠字七百三十五畓五卜六束內 下邊▣…▣卜六束 正租三斗落及北犯六畓三束 七畓二卜二束 九夜味二斗落 合正租伍斗落廤 與朴生員宅奴順乭 互相呈訴 尺量定界後 玆敢緣由仰訴爲白去乎 參商敎是後 特爲立旨成給 以爲日後憑信之地 行下爲只爲行下 向敎是事使道主 處分丙子十一月 日 所志(題辭)後考次立旨成給事初一日官[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5년 이유근(李有根)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李有根 孫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5년 12월 28일에 이유근이 혼사 문제로 손 생원 댁에 보낸 서신 1895년 12월 28일에 이유근(李有根)이 혼사 문제로 상대방 집안인 손(孫) 생원 댁에 보낸 서신이다. 날짜를 정하고 올려보내면서 살펴봐달라고 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惟暮律靜養起居衛重 仰溯不任區區 親事 特許命柱 自多感幸 玆定穀朝以呈 衣制 俯眎如何 伏惟尊察 謹拜上狀乙未 十二月 二十八日載寧 李有根 再拜(皮封)謹拜上狀孫 生員 執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6년 도일균(都逸均)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都逸均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6년 11월 20일에 도일균이 딸의 혼사 문제로 상대 집안에 연길을 보낸 서신 1896년 11월 20일에 도일균(都逸均)이 딸의 혼사 문제로 상대 집안에 연길(涓吉)을 보낸 서신이다. 도일균은 성주도씨이며, 상대방 집안은 어느 가문인지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을해년 홍일주(洪馹周)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洪馹周 査頓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을해년 11월 18일에 홍일주가 혼사의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 을해년 11월 18일에 홍일주(洪馹周)가 혼사의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이다. 혼사를 진행하면서 지난번 사성(四星)을 받았으니 연길(涓吉)을 보낸다면서 괜찮은지 묻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60년 박소현(朴昭鉉) 토지매도 계약서(土地賣渡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兪炳吉 朴昭鉉 兪炳吉 指章 1顆道穆 1顆(적색,타원형,1.1cm)兪炳達 指章 1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0년 음 3월 10일에 유병길(兪炳吉)이 박소현(朴昭鉉)에게 발급한 토지매도 계약서(土地賣渡契約書) 대상: 월성군 내남면 명계리(月城郡 內南面 椧溪里) 1338番地 畓243坪 가격: 145,800圜 참여자: 입회인(立會人) 유도목(兪道穆), 유병달(兪炳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이시우(李時祐) 소지(所志) 초(草)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이시우가 선산에 투장한 윤여백 부친의 무덤을 파 가게 해 달라고 올리는 소지의 초 이시우(李時祐)가 선산(先山)에 투장(偸葬)한 윤여백(尹汝伯) 부친의 무덤을 파 가게 해 달라고 올리는 소지 초(草)이다. 초고이므로 언제, 어느 고을에 올린 것인지는 쓰여 있지 않다. 이시우의 선산에서 매우 가까운 지점에 윤여백이 그 부친을 투장했으니, 과거에 김경삼(金景三)이 형을 투장했다가 스스로 파 가겠다고 한 것처럼 윤여백이 투장묘를 파 가게 해 달라고 요청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惟 仲春尊體起居萬重 慰溸區區 不任之至 親事 旣有姻婭之誼 且學連楣之議 感荷良深吉兆涓呈 幸無所碍耶 餘萬拜 不備狀禮尊照 上狀癸酉 二月 二十四日任永模 拜(皮封)謹拜 上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中丁國忌相値季丁退行告由 今春(秋)享祀適値 國忌季丁退行敢告【中丁前一日焚香先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國恤中停焚香告由 宗社不幸某月某日大行大王(大王大妃)禮陟中外震驚哀痛普深來朔(今望)焚香公除前禮當姑亭謹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停享祀告由 大行大王(大王大妃)因山未訖今春(秋)享祀禮當不擧謹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列郡通文(13) 右文爲敬告事伏以蘆沙奇先生挺生叔世倡明絶學上以明道器帥率〖卒〗之分下以辨正邪進退之幾蓋廓如也又得肖孫松沙嫡傳而德行之科有東塢先生曺公紹述師道翕然不違鄕人擬諸顔子而安仰之歎發於宵歌子貢後始聞其彷彿矣其嘉言懿行之可法於來世者有遺集播布全邦讀之者可以模範儀則而同門諸賢撰述備矣就中松沙之言尤可證信於今與後也請略擧其言祭文曰父視子視積五十年旣專且久惟公所獨又曰早謝名利以賁于身身賁德尊林下一人序遺集曰公在德行之科爲高足而尤傑然矣狀行曰公推明先生之道使西河之民不疑於夫子蓋此數言固已鄭重矣竊惟高山建祠俎豆式薦先賢陟降之靈後學羹墻之慕今焉有地斯文來復之漸可以前知矣廟享有配已是舊典而東塢先生方在遴選之地其淸修實踐當不在第二科已有松翁確論若有待乎今日鄙等曷敢容喙於其間也但紀綱所係人文有闕不可以在遠無預而無一言之貢惟願僉君子益恢公論亟擧盛禮斯文幸甚世敎幸甚右敬通于高山祠戊辰九月一日全州鄕校發文直員白仁淑 齋長金昌性 掌議張鶴允 姜漢徹 金正浩柳彦鳳 洪淳學 有司姜翔煕 金性泰 鄭寅秀 金容周柳鶴根 李禧鳳 韓台源 權文奎 洪景夏 柳哲秀金容奎 李鶴善 尹昌植 李鳳一 蘇輝觀 朴喜東黃義贊 林秉徹 宋奉柱 高昌鎭 朱鍾鐸 梁珍泰許塘 吳炳連 徐相睦 金炫淳 安元執 申鳳均文貞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列郡通文(14) 右文爲通諭事伏以南服卽鄒魯而文行亦淵藪者何莫非蘆沙奇先生遺韻薰沐而東塢曺先生與其親炙五十年德行著名傳述師道使後學蔚然振衛斯文奇先生後亦一先生非曺公乎澹對舊軒修葺而卽其地建祠者士林寓慕羹墻以俎豆尊師而亦世敎標的也蓋院享有配由來舊章乃此諸賢配腏之議及于東塢先生者之道之德曷非源流之所自乎謹按先生之志行至孝幼而溫被喪而柴毁早歲贄謁袪華取儉先師將病微誦夢謠聞而悲痛曰泰山其頹吾將安仰及易簀心喪三年歸築東岡後生師而宗之以孝弟勸勉焉先生遺集同門諸賢撰述已多而松沙奇先生祭文略曰父視子視積五十年旣專且久惟公所獨又曰早謝名利以賁于身身賁德尊林下一人行狀曰公推明先生之道使西河之民不疑於夫子此數言明快足可爲百世之鑑而使先生配侑於蘆沙先生之祠者松翁大筆亦豈非前定乎高山景仰同師躋配使曺先生之德行久而不泯千萬幸甚右敬告于高山祠僉座下戊辰八月 日南原養士齋發文安秉鎬 李秉垠 崔遇弼 尹秉直 許柄 金敎德前監役李升儀 金亮植 梁鼎謨 黃瑜 韓敬錫盧地鉉 丁瀁洙 安禎燮 張建植 李相烈 【博士】許柱趙炳泰 鄭雲箕 朴海龍 【進士】李秉默 【主事】金哉漢 尹秉七李鶴溶 【進士】蘇斗烈 李敎常 前參奉尹在善 金敬中崔炳祐 金炯植 【博士】朴斗植 沈基萬 吳時泳 【進士】李必燮柳永郁 陳在淵 邊鴻燮 黃鶴顯 【監役】李圭植 【主事】張枰韓圭敞 【進士】李在喜 蘇文錫 張宇銓 房衡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位土畓號坪數 錦山郡錦城面上佳里二五八 垈 四六四坪 三六 田 四二一坪一五四 田 一○三二 四四 垈 三七二一五九 田 一七二 四九 垈 四八六六 田 五七六 三四 田 五一八一三八 田 三九○ 二九七 畓 二○二三九五 畓 七六七 一六七 同 五六八二五六 田 七八三 三九一 同 四五○錦山郡錦城面花村里三四二 田 二○○三坪錦山郡濟原面大山里二三三 畓 四二八坪二三七 同 一五一錦山郡富利面平村里三五六 垈 二三五坪錦山郡南一面馬壯里三○八九 畓 一九三坪三○八八 同 五六三四○四 同 三一四計畓四千四百三十七坪田五千一百十三坪垈千一百十二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卷之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權慄 權慄字彦愼號晩翠領議政轍之子也門闌燀爀不自挾貴勢年四十猶不試或勸以蔭仕笑不應四十有六始以明經中文科補丞政院正字陞典籍郞署出爲鏡城判官踰年棄官歸 萬曆辛卯義州牧使缺朝廷知其有器局薦授之壬辰四月日本關伯平秀吉擧大兵號六十萬以輝元淸正行長等爲將渡海來連陷釜山東萊等城中外大震 上曰令聞權慄有可用之材今在何處可授兩南巨鎭卽拜光州牧使公謝 恩輒行承旨問曰何行之遽公曰國事急此正臣子效死之秋何敢徘徊晷刻效俗兒悲啼耶時昇平日久猝聞兵至朝臣視兩南爲死地公辭氣慷慨昻然就道見者無不歎服公單騎馳至州未及莅事大駕西巡徵兵入衛全羅巡察使李洸防禦使郭嶸發兵四萬洸自領二萬以羅州牧使李慶祿爲中衛將助防將白光彦爲先鋒以十月二十日兩軍分路而進洸自龍安渡江由林川溫陽等路嶸自全州由礪山公州等路俱會于稷山時慶尙巡察使金晬忠淸巡察使尹國馨皆來會兵皆數萬軍容甚盛遂進陣水原洸令嶸進擊龍仁敵公曰敵己據險勢難仰攻今主公掃境內入援 國家存亡在此一擧務在持重以圖萬全不可與小敵爭鋒當直渡漢江以塞臨津則西路自固粮道亦通得其形便畜銳伺釁以待 朝廷之命可也洸不聽嶸使光彦往觀前路還曰道狹樹密不可輕進洸有慍色嶸遂進兵洸令李之詩來助戰五月五日之詩光彦各領精兵一千意甚輕敵公戒之曰愼勿輕進俟中衛軍至乃戰光彦見敵小促兵逆戰敵揮釰大呼乘高而下我師披靡敵乘勝亂斫之詩光彦皆死戰士莫有鬪志朝日敵從山谷張旗而出諸軍大潰公遂還光州歎曰 宗社灰燼 鑾輿播越人臣豈可坐待國亡遂聚境內子弟五百人傳檄傍郡又得千餘名進陣於慶尙界南原之民自焚廬舍劫掠官倉公移陣本府撫定人心李洸聞公起兵權稱都節制仍督率諸軍以遏奔衝公進駐梨峙時嶺南諸敵勢甚猖獗直擣全羅分兵來向公聞敵勢張甚阻嶺爲固嚴兵以待七月與敵遇於嶺上縱兵急擊同福倅黃進年十九勇冠諸軍中丸而退仆一軍沮喪稍稍鞱戈抱頭而走晡時敵乘我困入砦內公乃挺劍大呼親冒鋒刃責戰益力人皆死戰無不一當百者於是呼聲震地矢石如兩敵不能抵敵遂棄甲曳尸而走軍資器械委棄狼藉血流被道自是敵不能再窺湖南爲國根本東西飛輓以供軍儲未嘗乏絶者公之力秋移拜羅州牧尋拜本道巡察使公迎 敎書于陣中稽首西向而哭軍校將士無不揮淚公令防禦使代守梨峙親到全州發道內兵萬餘以是年九月西向勤 王時敵酋行長已拔平壤入據其城長政據黃海道隆景在開城府平秀嘉督率諸酋領大兵屯京城放兵四刧西路己絶勤王諸將皆入江華阻江爲固以避其銳公聞 上馭義州召諸將計曰今平壤以南皆敵壘京城爲根本之地不如先復京城連綴行長使不得一意西進則諸敵無能爲也遂進駐水原之禿城 上聞公住禿城解釰馳 賜曰諸將不從令者此釰從事秀嘉憚公兵勢甚銳以兵數萬分爲三陣營烏山等處往來挑戰公堅壁固守不與交鋒間出師應敵所向以挫其銳敵剽掠無所得居數日燒營夜遁畿內諸敵次第入城自此聲聞初張西路得通列郡義兵望風蜂起一時應響癸巳二月分麾下精兵四千令全羅兵使宣居怡結營于襟州遙爲聲援公自領精銳二千三百渡自陽川江進陣於高陽之幸州山城欲以扼西路而窺京城也時 天朝大將李如松統領大兵克復平壤威名大振賊酋淸正自咸鏡道回軍京城隆景長政亦奔還行長與義智調信等收散卒咸聚京城敵勢更熾公懸軍深入直迫肘腋敵見兵小意欲一踢殲盡悉衆而出二月十二日黎明侯吏白敵分左右翼持紅白旗向本營而來公令軍中無動登臺而望則去本營五里敵分兵爲三營休兵迭進自卯至酉凡三合皆不利敵令人持束蒭因風縱火焚我城柵城中以水灌之初令僧軍守西北面至是小却敵大呼亂入一軍披靡公自用釰督戰諸將無不冒刃搏戰敵始退仍積尸爲四堆聚蒭焚之臭聞十里我軍收拾餘屍斬一百三十餘級得軍資介甲旗幟刀戈無數時李提督駐兵開城先遣遊擊將軍査大受渡臨津江往來巡哨聞公大捷翌日遣其褊將視昨戰處致禮物爲賀後數日請與相見公整陣以待旗幟鮮明器械精利號令嚴明明將待之加敬相謂曰權家軍與他陣別信外國有眞將也後三月 天朝經略宋應昌移咨本國曰倭奴摧陷朝鮮國王三都諸郡縣悉皆望風奔潰曾無一傑士倡義排大亂守封疆以圖恢復者獨全羅觀察使權公扼守孤縣招集衆庶屢出奇謀時抗大敵此正王國之板蕩忠臣中興名將仍賞紅段綃四端白銀五十兩以爲忠勇之勸兵部尙書石星上本言陪臣權慄獨守孤危以抗强勁 天子嘉之是年三月兵部欽奉 聖旨以爲朝鮮素稱强國今觀全羅道斬獲數多該國人民尙可振作因差鴻臚寺官宣諭本國 天朝大小官聞公名必曰莫是前日幸州奏捷者耶自是幸州之捷聞於中國爲中興第一元功公以其密邇敵藪移陣于坡州山城敵擧衆而西欲報幸州之敗望見壁壘高深斂衆而退如是者三其年四月秀嘉諸酋自知兵勢益衰乞和於提督悉兵迍還公聞之輕兵達夜疾馳入城則敵已渡漢江矣促令先鋒疾馳追躡其後提督與諸將謀曰全羅布政慷慨善戰士卒用命今若悉衆而追敗我和事必矣夜半急遣遊擊將軍戚金馳至露梁津盡收津船使不得渡金遣其心腹抵公邀與計事及渡金詰之曰公不待李爺分付輕欲追擊何耶日覘動靜密爲之防公不得已引兵還本都六月陞拜都元師督諸軍移駐嶺南甲午以病乞解 上特遣內醫看病有一武官憚於赴戰逃匿全州自托於明將公巡到本州發吏捕之明將苦請貸命公不聽竟斬之居無何國相有視師南方者武官之家構訢於國相公竟坐免笑謂人曰爲大將三年斬一逃兵至於解官耶歸拜漢城府判尹備邊司堂上戶曹判書尋拜忠淸道觀察使時敵久不退復拜元帥公上疏乞免 上曰卿忠勞茂著勇略超世名聞天下威慴敵國元帥之任捨卿伊誰 賜內廐馬一匹及拜辭 上召見勞之曰煩卿再出殄滅凶敵奠安國家予日望之 天朝時方遣使日本封秀吉爲日本國王倭酋之屯據我邊者與本國諸將俱各按兵以待公到鎭條上軍務七事深以敵鋒再搶爲憂丙申冬我人回自日本始知不納我使淸正將再渡中外人情洶洶靡定公聞之謂人曰假令淸正再來不過前日之淸正仍陳分兵列柵東西應援之策 上嘉納焉丁酉敵分道西上先鋒至忠淸道 朝廷欲遮截漢江令公疾馳入朝與都體察使柳成龍協力守禦敵到竹山戰敗而走促公南下收拾餘燼協同明兵以圖再擧冬欽差經理御史楊鎬與提督總兵麻貴領兵四萬分爲三道水陸竝進公部署諸將協隨天兵自領輕騎選梟將親隨提督語公曰天兵到蔚山元帥亦令水軍整備戰船多載砲手輝兵於前洋以助聲勢及提督攻蔚山不利經理令公獨領本國兵馬火攻公督諸將突進斬後進者二人以循諸軍無不踊躍喧呼而進本國大將兵使防禦使以下蟻附而上俱入柵內進薄城下提督於帳前望見擊敵稱奇曰元帥能行號令矣公常言於經理公今攻島山右道沿海敵陣星列聞島山之急其勢必合兵來援宜分一枝兵馬以遏則淸正之頭可致於麾下及天兵圍島山十二日城小而堅敵亦盛爲之備百道攻之終不能拔已而敵兵大至天兵爲之左次戊戌大軍遂回秋總督軍門大司馬邢玠三大將三路再進提督麻貴趨蔚山之路提督董一元追泗川之路提督劉綎至順天之路大將軍將發皆願得權元帥 上竟以屬之劉綎天兵至順天圍倭橋不能拔劉提督本無戰心公憤恚自募各營敢死士大呼先登請與天兵協力齊進則提督試召諸將議之但依違而已提督攻圍丸日竟無功公閣手仰成受其羈靮不敢有所主張豈非天耶 朝廷差山人惟政入倭營淸正問權元帥起居本國使臣朝上京兵部尙書石星曰爾國群臣若得如權慓者數人吾何憂哉己亥夏在嶺南得痰疾乞歸死田里 上許之是年七月卒壽六十三兵典以後國儲虛耗凡宰相之死者皆免致賻 上遣郞官弔焉特 賜賻祭 贈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策勳效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加贈議政府領議政無子取仲兄子益慶爲嗣女壻鰲城府院君李恒福撰墓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告示 各作人 水山里右告示事ᄂᆞᆫ 本人이 自京昨暮下來 則右里作人이 以移作事로 紛競이 莫甚云云호니 言念及此에 不覺駭歎이라 大抵 田畓之移作이 宜有其時이거널 方今耕鍤之畓을 稱以新畓主移作票호고 無難奪作云云호니 雖自己買得畓을 自己가 欲爲奪作이라도 時已晩矣 則理所不當커던 況且此庄土 與凡事을 姑未引繼 則引繼之前에 移作奪作이 理所不當이요 姑未地主變更之申請 則雖某之中間措縱이 尤所痛歎이기 玆에 告示호니 各里各作人은 一齊히 依舊耕作호야無或失時失農之弊케호믈 敬要홈再所謂臨農奪作之新作人이 一向頑拒 而行悖이거던 持此告示호고 往訴于法所호야 公正歸決케 홈明治四十五年 四月 六日 朴龍緖 [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謹審 日來尊體萬穆 仰慰且貢賀 親事 幸伏受星帖 謹呈日錄 無碍拘之端耶餘不備 伏惟尊照 謹候上乙亥 十一月 十八日洪馹周 拜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3년 강동면(江東面) 다산리(多山里) 상임(上任) 첩정(牒呈)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上任 李 慶州郡守 上任[署押] 墨印(6.0×3.9)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3년 6월 24일에 강동면 다산리 상임 이 아무개가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 1903년 6월 24일에 경주군 강동면(江東面) 다산리(多山里) 상임(上任) 이(李) 아무개가 경주군수(慶州郡守)에게 올린 첩정이다. 여러 민폐와 공납(公納) 정봉(停捧) 문제 등에 직면하여 각 동(洞)에서 주민을 이산(離散)하지 않게 하고, 억울하게 횡침 당하지 않게 하며 문제 발생 시 그 전말을 조사하라는 전령(傳令)을 받고 잘 시행하겠다고 보고한 것이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