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標 明治四十三年庚戌 十月二十九日右標事段 錢文四十三兩을 甲辰十二月十五日의 金學仙處 出給是加而並本利ᄒᆞ야 合七十兩으로 受捧ᄒᆞ고 如是給松表事日後若有異說 則以此表로憑告ᄒᆞᆯ事 標主 金京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借用証一金參拾四員八拾戔也右金을 正히 借用인바 限本年陰八月末日內로 備報이되 若債權人의 事情에 依ᄒᆞ야 期限內라도右借用金 返償을 請求ᄒᆞᆯ 時ᄂᆞᆫ 卽地返償ᄒᆞ고 若過限ᄒᆞᆯ 境遇에ᄂᆞᆫ 賠償金拾員을 元金에 添附ᄒᆞ야 備報ᄒᆞ기로 如是成証홈大正八年 陰六月九日借用人 下西面 雲岩里 金洛叙 [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省式言 雨地音信 渺若天涯 翹首日望 不禁嘊悵濢 玆專价 疑問又承 惠疏 擎讀以還 滿心欣喜罔甚云喩 謹審夜來闈上大碩人 氣力循序 廩寜侍藥餘懷棣候支旺 榟房次第穩侍 諸節俱吉 區區仰慰 顒祝之至 婦阿屢經瘧疾 無日善狀云 遠外之慮 不淺之矣 此症氣血虛弱所致 以補元之劑 試之如何 忝弟 偏爲毒多欠寧 焦悶難狀而惟以餘氣之無誓爲暉 家兒 向日還家 一宿下釜矣 今年亢早於古罕有浩煩之家 何以濟接 惠饋受考多感 而答儀無物 空肩愧汗愧汗 敢望恕宥耶家弟節後一進廬下爲計 然脩程遠路 未可以確重其能爾也 餘不備謹謝上狀壬辰 八月 十二日 査弟盧泰鉉 再拜 疏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四年乙丑正月二十一日幼學金在年前明文右明文事段 矣祖上傳來畓是在 古邑面蘇谷坪 從字丁今種二斗落只負數 壹㐊每壹夜味 上邊吳奴命礼連伏 下过韓奴五丹連伏庫乙 以移買次 価折錢文參拾貳兩 依數捧上爲遣 舊文記閪失故以新文記一丈 右人前永永放賣 日後若有爻象之弊 以此文記 憑處事畓主 金術玉[着名]證筆幼學金洛英 喪不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五年丙寅六月十二日臨溪李順哲前明文右明文事段 吾矣德遇山墳墓 旣已緬礼 而年前買得位畓柳古介良字員 五十三分畓壹卜壹束廤 東李順哲畓 北小渠 西南致官畓 南金斗松田四標 畓參斗貳夜味落只廤乙 折価錢文參拾肆兩 依數捧用後 永爲放賣爲去乎 日後以此憑考事畓主自筆金圭植喪不着(배면)上臨溪墓畓在下臨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捌年己巳捌月初六日 前明文右明文事 移居次 伏在五東中里 草家正寢四間果 舍廊三間果 懷字垈田五斗落所耕拾 㐣果 桑木五株果 柿木五株 限界自後園柿木上一把爲限是遣 懷字綿田三斗落所耕 負 束㐣果 幷食畓下屬於十一斗落果 沙溪村前六斗落㐣價折錢文肆拾兩 依數捧上是遣 右族叔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是去等 以此新文一張 憑考事家垈主族侄瑨基證人幼學金斗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土地賣渡証書一. 不動産의 表示一. 土地 所在地名 順天郡 樂安面 木村里一. 地番号 二五五 田二八二 地價 二八,二ㅇ賣渡代金 貳拾七員也前記 不動産은 拙者의 所有인 바 今後 賣渡代金 全部을 領受ᄒᆞ고 確實候事 賣渡事件의 支障이 有한 時ᄂᆞᆫ 保証 則連署捺印后 此証書을 差入候也昭和拾年 旧 三月 拾九日順天郡 樂安面 木村里賣渡人 韓昶錫 [印]保証人 韓星洙 [印]立會人 韓永洙 [印]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約文右明文段 去庚申年分 邑東川里李富春先山 在於長橋邸東 無勢不得已放賣于金基會矣 到此地 厥孫亨泰 爲其先山 還退之意累累來言 則以和好之意 自然尾上分界 永永許給 日後若有異說 則以此約文憑考事光武拾年 丙午 四月 十五日山主 李亨泰 [署押]證人 李賢五 [署押]筆執 鄭緇賢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家垈賣買契約書右ᄂᆞ 左開ᄒᆞᆫ 家垈을 價金貳百六拾員을全部히 領收ᄒᆞ고 永永賣渡侯也一. 家垈所在 淳昌郡 茂林面 紫陽里 壹七ㅇ番地 坪 地價一. 體舍四間 行廊拾間也一. 賣買年月日 大正拾五年 陰 六月 二十五日一. 保証人은 右賣買에 對ᄒᆞ야 契約을 成立ᄒᆞ기 爲ᄒᆞ야 玆에 記名捺印홈淳昌郡 茂林面 紫陽里賣渡人 崔文厚 [印]崔期東仝 仝 仝保証人 孔銀澤 [印]李吉龍 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山地賣買契約書一. 山地表示一. 所在地名 全北 淳昌郡 茂林面 紫陽里 朴谷一. 番号 一八三番也 四標 東崔東圭山 西林南洙山南林南洙山 北上峰一. 地目 林野一. 面積 四町間 五三ㅇㅇㅇ 反等役中一. 賣買價 合四拾五員也一. 賣買年月 大正拾貳年 一月 初貳日一. 賣買은 右賣買代金을 全部히 收領ᄒᆞ고 將來買主께 所有된 事由을 成立ᄒᆞ기 爲ᄒᆞ야 記名捺印홈一. 保証人은 賣買契約에 對ᄒᆞ야 立証ᄒᆞ기 爲ᄒᆞ야玆에 記名捺全北 淳昌郡 茂林面 紫陽里賣渡人 李奉燁 [印]仝 仝 仝 仝買受人 李吉龍仝 仝保証人 崔山雲 [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7년 정교도(鄭敎都) 천방수축계약서(阡防修築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金斗老 鄭敎都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7년 2월 14일에 예천군 소재 논의 천방 수축에 관한 계약을 맺으면서 정교도가 김두세에게 발급한 천방수축계약서 1937년 2월 14일에 예천군 소재 논의 천방 수축에 관해 정교도(鄭敎都)가 김두세(金斗世)에게 작성하여 발급한 계약서이다. 이 천방은 예천군(禮泉郡) 보문(普門) 오행동(五行洞) 44번지의 논 3마지기에 대한 천방으로, 지주(地主)는 비용을 대고 소작인(小作人)이 수축(修築)을 담당하는 것으로 하고 자재와 비용 등에 관한 내용을 명시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을묘년 김형선(金亨先) 전토교환증서(田土交換證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徐炳澤 金亨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을묘년(乙卯年) 10월 8일에 서병택(徐炳澤)과 김형선(金亨先)의 가대(家垈)를 교환하는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全羅道 幼學 邊徽容 等右拜 啓 臣矣段 臣矣身等 敢將丙子虜亂時 倡義諸臣請褒事 相率齊籲於 法駕之前是白齊 夫亡身赴國難者 朝家之所褒賞 古今之所歎惜 或有年久事 往地遠路險 則不得不仰達 請褒 乃是勸獎忠臣 諭德義旅者也 昔在丙子 邦運不幸 北虜倡蹶擧世波盪 大駕在南漢行在所 乃以絲綸十行頒下八路 哀痛恳惻 激起勤王之師 于是時也 湖南一道 首先舊發 而其倡義諸臣 皆是一代忠義之士 或以文蔭朝官 或以讀書儒生 而皆激勵村民 召募義旅 張空擧肙 白刀有乞以馬解於大明 此乃運天地而不悖 俟百世而不惑者也 及其倡義 而出檄文四布人人慕義 一邊收聚軍丁 一邊裝束軍器 期會于礪山 自礪山 進戰于淸州 自淸州 進戰于果川 以死爲矢 此莫非忠憤所激 許國亡身之意也 夫果川之戰到今照人耳目 而其軍丁 都合一萬二千二百名是白遣 此時勤王路阻 故丁丑正月二十日 始通南漢 其時督戰御使臣金慶餘 奏達湖南義旅之勝於果川事 則 仁廟朝傳曰 白示赴敵 自古希罕稱讚不已此可以爲當時訂案是白遣 諸義士軍 是日三更夜襲破胡賊 斬首五六百級 而師未到南漢 一朝遽中城下之盟諸義士 北向痛哭 所聚軍糧 盡致於朝家 破兵南歸 雖未能報 皇朝再造之恩 保南漢已下之城 而其爲秉義 赴難之心 固足以軒天地耀日月 其時檄文 及倡義諸臣名姓 爲在於順天府玉川書院中是白如可 庚申分 又爲搜出是白遣 其他搜討古讀之盟書 出於金元健子孫古祀錦囊中是白遣 都體府踏印文牒 出於李順吉子孫毁屋古藏竹器中 年月日時 與玉川書院古紙 一一相符是白如乎 天不若使諸賢臣倡義事 請路不至經晦 而其義士中 主論非檄倡義之人 乃是南原安景達黃廷稷諸人 而安景達 則文成公安裕之後孫也 其五代祖安貴行 以典籍 爲陽城縣監 聞端届孫位 投卽徑歸屛旅山問 故屢召以官不起 因以沒世 及 正宗大王 特贈大司諫 此其世著忠孝 而安景達 又以陰授主簿 不應命逮 夫丙子亂旧君父蒙塵 臣子當死 況五家世守節義此正以死報國之狀也 乃告家廟 訣妻子 率家僮 儲家財赴難 與同志人李順吉黃廷稷李馠李士穎 會於全州 前進礪山 同赴李興浡陣中 而列邑義士 鱗次繼至 盖黃ㅇㅇ 其父進在壬辰倭亂時 以忠淸兵使 戰亡於晉州者也 李馠卽全羅監司歲龜之曾孫也 李順吉 卽國初元勳 商山君敏道之後也 李士穎 卽領議政俊慶之孫也 皆以忠義自勵 而其中李興浡 則已蒙當時贈職 安ㅇㅇ黃ㅇㅇ李ㅇㅇ李ㅇ李ㅇㅇ五人 尙未蒙褒崇之典 故一邑儒生 不勝抑鬱 玆敢同聲仰籲於…이하 결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12년 박용서(朴龍緖) 고시(告示) 고문서-첩관통보류-고시 朴龍緖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2년 4월 6일에 박용서가 수산리의 각 작인에게 함부로 이작, 탈작하지 말라는 내용으로 내린 고시 1912년 4월 6일에 박용서(朴龍緖)가 수산리(水山里)의 각 작인(作人)에게 내린 고시(告示)이다. 박용서는 서울에서 어제저녁에 내려와 보니 수산리의 작인들이 사전 협의 없이 경쟁적으로 이작(移作)을 도모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이로 인해 실농(失農)하는 폐해가 없도록 하며, 완강히 거부하면 이 고시를 가지고 정소(呈訴)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갑오년 토지교환증서(土地交換證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尹在正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오년(甲午年) 9월 5일에 윤재정(尹在正)이 본인 소유 여천군 화양면(麗川郡 華陽面)에 있는 田과 같은군 같은면에 있는 田을 교환하는 증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阡防修築契約書阡防ノ表示 禮泉郡 普門 五行洞 四十四番地畓參斗落阡防에 對ᄒᆞ야 地主은 修築費用分 貳拾四円을 小作人의게 支拂이되小作人은 阡防修築物은 石土로 使用ᄒᆞ며用石은 阡防距里에 對半分은 大石을仕入ᄒᆞ고 半分은 一尺內外間石을 仕入ᄒᆞ야 完築后 費用金을 請求ᄒᆞ기로小作人은 此契約差入홈昭和 拾貳年 貳月 十四日禮泉郡 普門面 五行洞鄭敎都金斗世 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69년 계약서(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金落西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9년 9월 20일에 계약주(契約主) 김락서(金落西)이 정조(正租) 4石을 받으며 작성한 계약서(契約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87년 노 내옥(內玉)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崔明執 奴 內玉 崔明執[着名]崔巡執[着名]鄭公平[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7년 10월 28일에 최명집이 정 노 내옥에게 창평 소재 논을 방매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 계약문서 1887년 10월 28일에 최명집(崔明執)이 정(鄭) 아무개의 노 내옥(玉內)에게 논을 방매하면서 작성하여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방매한 토지는 최명집이 매득하여 갈아먹던 논으로, 창평(昌平) 북면(北面)에 있다. 자호는 효자(孝字)이고, 규모는 2두락지이며 부수(負數)로는 6부 5속이다. 가격은 전문 40냥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51년 손정현(孫正鉉) 이력서(履歷書) 고문서-증빙류-이력서 孫正鉉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1년 12월에 손정현(孫正鉉)이 학력과 경력을 기록한 문서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