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望李炳聖貴下를 鄕에 依하야 本所 贊成員으로 選定홈甲戌 八月 念一日南平 三綱閭 刱建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22년 노 재봉(再奉)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奴 金孫陽 奴 再奉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22년 10월 7일에 탑동댁 노 김선양이 대택 노 재봉에게 논을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 계약문서 1822년 10월 7일에 탑동댁(榻洞宅) 노 김손양(金孫陽)이 대택(大宅) 노 재봉(再奉)에게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노 김손양은 과채(科債)를 갚기 위해 토지를 방매하려는 상전댁을 대리하여 거래에 나섰다. 방매한 토지는 용추(龍湫) 소재 논으로 자호는 문자(文字)이고, 규모는 3두 5승락이다. 가격은 전문(錢文) 100냥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二年壬午 十月 初七日 大宅 奴 再奉前 明文右明文段 矣宅 以科債報賞無路 龍湫畓文字三斗五刀落地庫乙價折錢文壹百兩 依數捧上 本文記段 他文記幷付 故不得幷上 日後如有雜談 持此文 憑考事畓主 榻洞宅 奴 金孫陽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52년 한병준(韓炳埈)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韓炳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2년 11월 9일에 한병준이 혼사를 치를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 1952년 11월 9일에 한병준(韓炳埈)이 혼사를 치를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이다. 연길(涓吉)을 올렸으니 장제(章製)를 보내달라고 요청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惟 至沍尊體動止候萬重 仰溸區區之至 第親事旣至受四之境 豈非緣耶 涓吉 依敎仰呈 章製下示如何不備 伏惟尊照 謹拜上謝狀壬辰 十一月 初九日淸州 韓炳竣 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혼사를 치를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 혼사를 치를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이다. 길일(吉日)을 골랐는데 상대편에 별 장애 없이 괜찮으신지 묻는 내용이다. 언제 누가 누구에게 보낸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不審 寒喧侍餘氣體候 一向萬康伏溯區區 不任下忱 外甥無頉還庭 省候支寧 伏幸何達 餘伏翼侍棣候 循序康寧 不備伏惟下察 上候書辛亥 十一月 二十九日 外甥 宣章錫 上書(皮封)四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0년 류승은(柳承殷)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柳承殷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0년 11월 27일에 류승은이 혼사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 1930년 11월 27일에 류승은(柳承殷)이 혼사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이다. 연길(涓吉)을 받고 의제(衣制)를 기록하여 올린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ᄉᆡᆼ예ᄇᆡᆨ경앙할 ᄎᆞ의 가아 도라오셔 화홤 밧ᄌᆞ와ᄌᆡᄉᆞᆷ 살피오니 한티 뫼와 말ᄉᆞᆷ함과 다람업도쇼이다 근심 일긔 극한하온ᄃᆡ시층ᄒᆞ 체후 일향 부지하옵시다 하오니듯기 복향이로쇼이다 이곳 ᄉᆞ돈은 시하의 무고하옵고 가아 무사이 화환한니 다향이온 듕 이졔 길예ᄂᆞᆫ 무료의 셩하옵고우리 어여ᄲᅮᆫ 머나리난 근션〃〃하와 ᄯᅳᆺ과갓ᄉᆞ오니 우리 집 경ᄉᆞ 이 밧긔 ᄯᅩ 잇ᄉᆞ올잇가 우항 헤례하옵신 연의난 너무 괴려하오니 도로헤 미안하도쇼이다ᄎᆞ간 쇼위 예물은 보올 거시 업ᄉᆞ오나셔량하압심 ᄎᆞᆫ만 발아나이다살올 말ᄉᆞᆷ 무궁하오나 이만 근치나이다기유 납월 오일 ᄉᆞ돈 유 ᄉᆞ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인년 전석호(全錫滸)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全錫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인년 12월 15일에 전석호가 혼사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 병인년 12월 15일에 전석호(全錫滸)가 딸의 혼인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이다. 이미 사주단자를 받았으므로 연길(涓吉)을 올린다면서 장사(章辭)를 회시해 달라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西面泉浦上任爲牒報事 卽到付 傳令內 虛標勒懲 僞券盜賣 劃技債 猾校吏 私幻公結戶錢 以八月望後停捧救荒出義 來訴之意 一一知委於大小民處爲臥乎事是良厼 合行牒呈 伏請照驗施行 須至牒呈者右 牒 呈郡 官癸卯 六月 二十七日 上任 李[署押]到付七月 初一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承華翰 感荷良深 伏惟 季冬尊體震艮萬福 第女阿親事 旣承星單涓吉仰呈 章辭回示如何 謹宣 伏惟尊察 謹拜上狀丙寅 十二月 十五日全州 全錫滸 再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903년 김아동(金雅洞)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金雅洞 慶州郡守 1顆(4.2×4.4)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3년 12월에 견곡면 상조리에 거주하는 김아동이 경주군수에게 제출한 청원서 1903년 12월에 견곡면(見谷面) 상조리(上助里)에 거주하는 김아동(金雅洞)이 결전(結錢) 및 기타 조세의 징납 문제로 경주군수(慶州郡守)에게 제출한 소지이다. 납부할 결전도 마련할 길이 없는데 또 망첩가(望帖價)를 징수하니, 곤궁한 백성에게 이렇게 다시 횡침하는 일이 없도록 엄한 처분을 내려달라고 요청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見谷面 上助里 居 金雅洞右謹言 俗語雪上加霜 又曰軟地着末 果非虛語也 何者 民勢本赤貧中人 値荐斂 當納結錢 辦出無路 而料外 又以望帖價疊侵 豈非雪上之霜 軟地之末乎 玆敢緣由 仰訴參商敎是後 特憐窮蔀民情 更無橫侵之意 嚴明題下爲只爲行下向敎是事□□ 處分癸卯 十二月 日【題音】依訴勿施向事十五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3년 서면(西面) 천포리(泉浦里) 상임(上任) 첩정(牒呈)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上任 李 慶州郡守 上任[署押] 墨印(5.4×3.9)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3년 6월 27일에 경주군 서면 천포리 상임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 1903년 6월 27일에 경주군 서면(西面) 천포리(泉浦里) 상임(上任)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이다. 결호전(結戶錢)을 8월 보름 이후로 기한을 정해 그때까지 정봉(停捧)하고, 구황에 대해서도 서로 구제하는 뜻을 민인(民人)들에게 잘 알리라는 전령(傳令)을 접수하였으니 잘 알아 시행하겠다는 내용이다. 끝부분에 이 첩정을 7월 초1일에 접수했다는 내용이 제사(題辭)로 쓰여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承耑札 伏惟 至沍尊體動止萬重 仰慰區區 親事 旣承涓吉 衣制依敎錄呈耳 謹謝狀伏惟尊察 謹再拜 謝上狀庚午 十一月 二十七日完山 柳承殷 再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신용성(愼容晟) 얼계연원록(蘖溪淵源錄) 수단(收單)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愼容晟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용성(愼容晟)이 작성한 얼계연원록(蘖溪淵源錄) 수단(收單)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 문인록인 얼계연원록(蘖溪淵源錄)에 수록할 신종봉(愼宗鳳), 신종린(愼宗麟), 신준성(愼濬晟)의 행적을 기록한 수단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화제(和劑) 1 고문서-치부기록류-화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화제(和劑) 산후통(産後痛)을 겪고 있는 이에게 필요한 복환법(服丸法)과 피해야 할 음식을 기록한 기식(忌食) 목록을 적은 기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3년 서면(西面) 아화리(阿火里) 상임(上任) 첩정(牒呈)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上任 黃 慶州郡守 上任[署押] 墨印(5.2×3.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3년 6월 26일에 경주군 서면 아화리 상임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 1903년 6월 26일에 경주군 서면(西面) 아화리(阿火里) 상임(上任)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이다. 결호전(結戶錢)을 8월 보름 이후로 기한을 정해 그때까지 정봉(停捧)하고, 구황에 대해서도 서로 구제하는 뜻을 민인(民人)들에게 잘 알리라는 전령(傳令)을 접수하였으니 잘 알아 시행하겠다는 내용이다. 끝부분에 이 첩정을 7월 초1일에 접수했다는 내용이 제사(題辭)로 쓰여 있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