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채색물목기(采色物目記)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채색에 필요한 물품과 그 분량을 나열한 물목 채색에 필요한 물품과 그 분량을 나열한 물목이다. 물목의 용도, 작성자, 작성시기 등은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承 華翰尊體震艮萬重 何等仰慰之至 長子親事 旣承涓吉 章製依 敎錄呈耳 餘謹宣 伏惟尊照 謹拜上狀丙午 十一月 二十日康津 安以坤 再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계축년 차정규(車整奎) 혼서(婚書) 1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車整奎 査頓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계축년 2월 14일에 차정규가 조카와 혼인할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 계축년 2월 14일에 차정규(車整奎)가 조카와 혼인할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이다. 사주단자를 보내니 연길을 회신해 달라고 청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惟 仲春尊體動止萬相 溯仰且祝 第侄兒云事 旣至剛先 非天而然耶星單依 敎錄呈涓吉回示如何 不備伏惟尊照 謹拜上狀癸丑 二月 十四日延安 車整奎 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3년 서면(西面) 동전리(東田里) 상임(上任) 첩정(牒呈)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上任 李 慶州郡守 上任[署押] 墨印(5.2×3.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3년 6월 26일에 경주군 서면 동전리 상임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 1903년 6월 26일에 경주군 서면(西面) 동전리(東田里) 상임(上任)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이다. 결호전(結戶錢)을 8월 보름 이후로 기한을 정해 그때까지 정봉(停捧)하고, 구황에 대해서도 서로 구제하는 뜻을 민인(民人)들에게 잘 알리라는 전령(傳令)을 접수하였으니 잘 알아 시행하겠다는 내용이다. 끝부분에 이 첩정을 7월 초1일에 접수했다는 내용이 제사(題辭)로 쓰여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惟 仲春尊體動止萬重 仰慰區區就從孫女親事 已承柱單私家之幸 涓吉仰呈 衣制錄 示如何 伏惟尊察 上狀戊寅 二月 二十六日廣陵 李遂淵 再拜피봉(皮封)謹拜上狀孫 生員 下執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81년 임도순(林道淳)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林道淳 朴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1년 1월 21일에 임도순이 보낸 혼서 1881년 1월 21일에 임도순(林道淳)이 보낸 혼서이다. 화촉을 밝히는 의례에 얼굴을 뵙고 말씀을 들었으니 경사스럽다고 하며, 잘 돌아갔다는 서신을 또 받고 감사를 표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泰重 頓首 再拜言先府君喪事 實出於夢想之外 復夫何言 年齡雖云隆邵氣力想是康旺 窃期享用遐壽 豈意遽聞 幽音耶 不勝驚怛 伏惟至沍哀體能無毁損於過度否 伏乞强加疏食 俯從禮制 無至傷孝如何 且拘於時制 喪葬凡百 不得如禮 是所共憐 奉慮萬千 泰重絆身無暇 未克匍匐 一書替慰 猶後於人 尤切悚仄 不備 謹疏上壬戌 十一月 十三日 丁泰重 疏上許 喪制 大孝 哀前(皮封)疏上許 喪制 大孝 哀前丁泰重 頓首 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東風早和 日吉如桃夭之時 花燭之禮 利遂承顔 接辭於 尊儀 慶幸莫大 而無撓還巢 又承 華翰警誨殊荷愛念 餘只翼源源 不備 伏惟謹拜謝狀尊照辛巳 正月 二十一日 査弟 林道淳 拜(皮封)新垈 午向 謹拜謝狀朴 生員 下執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11년 선장석(宣章錫)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宣章錫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1년 11월 29일에 선장석이 보낸 서간 1911년 11월 29일에 외생(外甥) 선장석(宣章錫)이 보낸 서간이다. 별 탈 없이 집에 돌아와 어른을 모시고 잘 지내고 있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秉憲頓首再拜言 不意凶變先夫人奄違色養 承訃驚怛 不能已已 伏惟孝心能至思慕號絶 何可堪居 日月流邁 遽經襄奉 哀痛奈何 罔極奈何 不審自罹荼毒氣力何如 伏乞强加疏食 俯從禮制 秉憲事勢多拘 末由奔慰 其於憂戀 無任下誠 謹奉疏 伏惟鑑察 不備謹疏丙戌 四月 十三日 趙秉憲 疏上吉 碩士 碩士 至孝 哀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임술년 정태중(丁泰重) 위장(慰狀) 고문서-서간통고류-위장 丁泰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임술년 11월 13일에 정태중이 부친상을 당한 이를 위로하기 위해 보낸 위장 임술년 11월 13일에 정태중(丁泰重)이 부친상을 당한 이를 위로하기 위해 보낸 위장이다. 상대의 선부군(先府君) 사망 소식을 듣고 그 슬픔을 위로하면서 억지로라도 소식(疏食)을 더하여 예제(禮制)를 따르시기를 권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西面東田里上任爲牒報事 卽到付 傳令內 諸般民弊 槩已領略 結戶布錢 八月望後停捧 救荒一節 至情族戚間 互相出義之意 一一知委於大小民處爲臥乎事是良厼 合行牒呈 伏請照驗施行 須至牒呈者右 牒 呈郡 官癸卯 六月 二十六日 上任 李[署押]到付七月 初一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기해년 이수범(李壽範)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李壽範 咸安郡守 官[押] □…□ 4顆(4.0×4.2)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해년 3월에 함안군 산익면 모동에 사는 이수범이 함안군수에게 제출한 청원서 기해년 3월에 함안군 산익면(山翼面) 모동(茅洞)에 거주하는 이수범(李壽範)이 함안군수에게 청원하기 위해 올린 소지(所志)이다. 본동(本洞)의 존위(尊位)로서 결세전을 대부분 거둬 들였으나, 他里(타리)에서 온 작자(作者)에게는 거둬들이지 못한 것이 있으므로 명단을 후록하며 독촉하여 거둬들일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山翼面 茅洞 居 李壽範右謹言 伏以 民本洞尊位擧行 而一洞結稅錢 擧皆收刷是乎乃 其中他里作者 自外私力 難以收捧 故他里各人 後錄仰訴爲去乎參商敎是後 特爲處分 時急稅錢 勢將身在開移錄 督捧之地 行下爲只爲行下向敎事城主 處分己亥 三月 日後 新塘奴 占乭 錢 十五兩 九十一卜安仁雲谷□文 錢 十六兩 二卜奴 有心 錢 五兩 二十八卜奴 汗云 錢 二兩 二十八卜奴 允孫 錢 十二兩 五卜壽得 錢 一兩 二卜 --┐且萬 錢 十五兩 | 山翼 該書員甲元 錢 十五兩 --┘【題音】王稅甚慮 詳査移錄 星火捉來督捧向事卄四日稅色都吏行官 [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경자년 조성엽(趙性燁)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趙性燁 咸安郡守 官[押]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자년 7월에 장을 맞고 수감 중인 조성엽이 함안군수에게 제출한 소지 경자년 7월에 장(杖)을 맞고 수감 중인 조성엽(趙性燁)이 함안군수에게 올린 소지이다. 그는 잡기(雜技)를 범한 죄가 있지만 이미 정한(定限)이 되었고, 징세(懲稅)는 피할 수 없으나 징죄(懲罪)는 개과천선할 수 있으니 병든 자신을 위해 선처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杖房囚 趙性燁右謹陳所志事段 矣身 罪犯雜技 已至定限 懲稅無敢發明是白乎矣 懲罪改過 足可遷善是白乎旀 又添病祟 方在苦劇 故緣由仰訴爲白去乎參商敎是後 特爲處分 俾蒙歸化之地爲只爲行下向敎是事使道主 處分庚子 七月 日行官 [押]【題音】病雖難彌姑俟向事十五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행정·사법문서

1899년 함안군수(咸安郡守) 보고서(報告書) 2 고문서-첩관통보류-보고서 咸安郡守 咸安郡守之章(2.5×2.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9년 6월 1일에 함안군수가 작성한 보고서 1899년 6월 1일에 함안군수가 이정록(李正祿)의 구세(舊稅) 문제의 해결을 위해 작성한 보고서이다. 누구에게 제출하기 위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군민(郡民) 이정록이 바치지 않은 구세전(舊稅錢)을 해결할 방도가 없어 그의 생질 안도관(安道寬)을 조사하려 했으나 거부하자, 법에 따라 처리할 방도를 강구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3년 서면(西面) 돌화리(湥夻里) 상임(上任) 첩정(牒呈)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上任 河 慶州郡守 上任[署押] 墨印(5.2×3.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3년 6월 26일에 경주군 서면 돌화리 상임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 1903년 6월 26일에 경주군 서면(西面) 돌화리(湥夻里) 상임(上任)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이다. 결호전(結戶錢)을 8월 보름 이후로 기한을 정해 그때까지 정봉(停捧)하고, 구황은 각 동(洞)에서 조금 넉넉한 이들이 서로 출연(出捐)하라는 뜻을 민인(民人)들에게 알리라는 전령(傳令)을 접수하였으니 잘 알아 시행하겠다는 내용이다. 끝부분에 이 첩정을 7월 초1일에 접수했다는 내용이 제사(題辭)로 쓰여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西面湥夻里上任爲牒報事 卽到付 傳令內 諸般民弊槩已領略 而結戶錢 八月望後停捧 救荒一節 自各其洞稍饒之民 互相出義之意 一一知委於大小民處爲臥乎事是良厼 合行牒呈 伏請照驗施行 須至牒呈者右 牒 呈郡 官癸卯 六月 二十六日 上任 河[署押]到付七月 初一日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