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4년 이심복(李深福) 등 토지매도증(土地賣渡證)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李源福李源模李鎭道 李東君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4년 음력 1월 14일에 이원복 등이 이동군에게 논을 매도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도 증서 1934년 음력 1월 14일에 이원복(李源福), 이원모(李源模), 이진도(李鎭道) 3인이 이동군(李東君)에게 토지를 매도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도증이다. 매도한 토지의 지목은 논이며, 면적은 734평이다. 소재지는 영일군(迎日郡) 두광면(枓光面) 수순동(手旬洞)이며, 금액은 75원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土地賣渡証所在地 迎日郡 枓光面 手旬洞一. 地番 九八七九八八一. 地目 畓一. 地積 七百參拾四坪一. 地價 八十員五拾貳戔一. 現時價 金七拾五員也右土地買賣에 對ᄒᆞ야 兩方同意契約 實야若 日後 故障이 有할시는 如何한 責任이라도 負홈昭和九年 旧正月 十四日賣渡人 李源福李源模李鎭道買受人李東君 殿此約中 陳地並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계해년 풍천임씨 종중(豊川任氏宗中) 매매증서(賣買證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계해년(癸亥年) 1월에 풍천임씨 종중(豊川任氏宗中)에서 김락서(金洛敍)에게 선산(先山)과 묘전(墓田)을 매매한 증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동부면(東部面) 등 산도(山圖) 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동부면(東部面) 노혜(老惠) 갑좌(甲坐) 산도(山圖) 등 9개 면(面)에 있는 산소 그림이 그려진 산도(山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담천(痰喘) 화제(和劑) 고문서-치부기록류-병록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의사를 직업으로 하고 있는 김순만이 기록한 해수 및 천식의 한방약처방 영암군(靈巖郡) 금정면(金井面) 용흥리(龍興里)에 사는 김순만(金舜万)이 기록한 해수증(咳嗽症) 및 담천(痰喘) 증세를 다스리기 위한 의약처방이다. 천식이 급할 때에 사용할 수 있는 각종 한약처방을 한데 적어 놓았다. 김순만은 문서에 업의(業醫)로 적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83년 노 경희(敬熙) 고목(告目) 고문서-첩관통보류-고목 奴 敬熙 朴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3년 1월 23일에 수노 경희가 박 생원에게 올린 고목 1883년 1월 23일에 수노(首奴) 경희(敬熙)가 박(朴) 생원에게 올린 고목(告目)이다. 석전제 집사로 천거되었다는 천기(薦記)를 바치니 유건(儒巾)을 가지고 당일에 행차해 달라는 내용이다. 박 생원 댁에 보낸다는 내용이 봉투를 대신하여 배면에 쓰여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惶恐伏地 謹問安爲乎旀 釋奠春例祭執事薦記 捧上是乎尼儒巾持是遣 右日行次之意 緣由詮次告課癸未 正月 二十三日 首奴 敬熙 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29년 박종호(朴宗鎬)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二宜亭會中 朴宗鎬 二宜亭會中印 2顆(흑색,직방형,6.5×4.5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9년 8월 3일에 二宜亭 유회소에서 박종호에게 발급한 망기 1929년 8월 3일에 이의정(二宜亭) 유회소에서 박종호(朴宗鎬)에게 발급한 망기(望記)이다. 박종호를 미수기언(眉叟記言) 중간도청(重刊都廳)으로 정했다는 내용이다. 이의정은 미수 허목(許穆, 1595~1682)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누정으로, 이곳에서 미수기언 중간에도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鵆鳴高岡 德音綿綿 荐承連楣之盛 諾感荷交摯 第親事至於涓敘 幸無所碍 兩家之慶秪希尊體磨時百福源源 不備尊照戊午 二月 七日 生文載昌 拜謝[皮封] 謹拜謝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6년 조엽(曺燁)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曺燁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6년 11월 12일에 조엽이 혼사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 1926년 11월 12일에 조엽(曺燁)이 혼례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이다. 연길(涓吉)을 심부름꾼을 보내 알려드리면서 이 날짜에 괜찮은지를 묻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謹啓風誼已熟耳 一片靈廗 不必面後相照 伏惟陽復不遠崇體衛護萬重 實勞瞻詠柯則之議 匪斧之緣 蒙此不鄙得承崇議能不勉從前 謹遵例涓吉伻告示 審右日倘無所砥至耶 恭竣俯回 餘恐炫 不備 謹狀行經崇照丙寅 十一月 十二日曺燁 拜(皮封)謹拜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8년 이수연(李遂淵)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李遂淵 孫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8년 2월 26일에 이수연이 혼례 상대 집안인 손 생원 댁에 보낸 혼서 1938년 2월 26일에 이수연(李遂淵)이 혼례 상대 집안인 손(孫) 생원 댁에 보낸 혼서이다. 이수연이 종손녀(從孫女) 혼사에 대해 사주단자를 받고 연길(涓吉)을 올리면서 의제(衣制)를 보내달라는 내용으로 쓴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60년 이지혁(李芝赫)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五峯祠儒會所 李之赫 五峯祠印 1顆(적색,직방형,5×4.2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0년 2월 말일에 오봉사 유회소에게 이지혁을 제관으로 정하면서 발급한 망기 1960년 2월 말일에 오봉사(五峯祠) 유회소(儒會所)에게 이지혁(李芝赫)에게 발급한 망기이다. 다음달 19일 오봉사의 향사(享祀)에 제관으로 정한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望李芝赫來月 十九日 本祠享祀祭官薦定庚子 二月 晦日五峯祠 儒會所十八日 夜享(皮封)圈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94년 이병성(李炳聖)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南平三綱閭刱建所 李炳聖 南平三綱閭刱建所(적색,정방형,2.8×2.8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94년 8월 21일에 남평 삼강려 창건소에서 이병성을 찬성원으로 선정하면서 작성해 준 망기 1994년 8월 21일에 남평(南平) 삼강려(三綱閭) 창건소(刱建所)에서 이병성(李炳聖)을 찬성원(贊成員)으로 선정하면서 작성해 준 망기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奉書感慰感慰 星往日來 理固然 惟海諒 而所謂納儀隨俗汗呈 玆敢請期 倘蒙不鄙之惠否 謹不備謝禮辛未 正月 二十六日生 金丙玉 再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9년 이득춘(李得春) 토지매도증서(土地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영수증 李得春 李得春信 1顆(적색,원형,1cm)安昌洪 1顆(적색,원형,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9년 음력 11월 29일에 이득춘이 담양군 소재 밭을 매도하면서 작성한 매도증서 1929년 음력 11월 29일에 이득춘(李得春)이 담양군(潭陽郡) 소재 밭을 매도하면서 작성한 매도증서이다. 매수자는 누구인지 알 수 없다. 매도한 토지는 담양군 고서면(古西面) 고읍리(古邑里) 소재 밭 450평이다. 증서의 2행에 매도대금을 60원이라고 썼으나, 뒷 부분에는 가액(價額) 3,150전(錢)이라 쓰여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土地賣渡証書此賣渡代金 六拾員也拙者所有ノ末尾記載ノ不動産貴殿ニ賣渡シ 前記ノ代金正ニ領受仕リ候 然ル上ハ 該不動産ニ付 故障等生シ候節ハ 拙者ニ於テ 一切ノ責任シ 貴殿ニ迷惑相掛ケ申問敷爲後日賣渡證書价テ 如件一. 潭陽郡 古西面 古邑里 一八四田 四五ㅇ坪價額은 三一五ㅇ錢也昭和四年 陰十一月 二十九日潭陽郡 古西面 古邑里賣渡人 李得春[印]仝郡 仝面 仝里立會人 安昌洪[印]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