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기해년 전대문(全大文)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全大文 咸安郡守 官[押] □…□ 3顆(4.0×4.2)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해년 4월에 상리 장명의 전대문이 함안군수에게 제출한 소지 기해년 4월에 상리(上里) 장명(長命)의 전대문(全大文)이 결세전(結稅錢) 징수와 관련하여 함안군수에게 올린 청원서이다. 전대문이 마땅히 내야 할 결세전을 모두 납부했는데도 다시 세전(稅錢)이 징수되었으니 사실을 조사하여 바로잡아 달라고 요청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上里 長命 全大文右謹陳所志事段 夫稅結錢 莫急之公納也 而民之所當稅錢 旣爲歲前畢納 而今於稅錢出牌 有何事端是喩 莫知事實 故緣由仰訴爲去乎參商敎是后 特軫事狀 上項舊稅出牌 錢二兩六戔五分 本自結卜相關也 該色的只 査實歸正 俾無寃懲之地爲只爲行下向敎是事城主 處分己亥 四月 日行官 [押]【題音】急納公錢可爲出牌 是誰之奸 詳査移錄向事奴石乭收錄條中一兩三戔二分 罷還錄於石乭處是在果零數段 卽刻俾納 無至抵?向事卄八日 背題都捧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경자년 조성화(趙性和)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趙性和 咸安郡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자년 7월에 장을 맞고 수감 중인 조성화가 함안군수에게 제출하기 위해 작성한 소지 경자년 7월에 장(杖)을 맞고 수감된 조성화(趙性和)가 함안군수에게 올리려고 작성한 소지(所志)이다. 하지만 관인이 없고, 제사(題辭)나 성주(城主)의 압(押)이 없는 것으로 보아 실제 제출된 것 같지는 않다. 내용은 동두민(洞頭民)이 감당할 결두전(結頭錢) 300냥 중 170냥은 거둬 들였으나 130냥은 걷지 못했는데, 해결 방도가 없으니 매결(每結)마다 결두(結頭) 2냥씩으로 하여 받자고 청하는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杖房囚 趙性和右謹言 罪在罔死 發明無路爲遣 黑心一顯萬無一白是乎羅 雖賊民之訴狀是羅 另加垂察焉 民之所浦 洞頭民擔當條三百兩 □□無懸報故無一分錢 頭民臆徵 而一一歸劃是白오되 一百七十兩 僅僅辨納是白遣 餘條一百三十兩段 一洞皆會 以結頭條 新尊洞擔當是白加尼 萬萬不意 二等沈文玉 但特世居多族 民之餘逋 獨擔於以柳興渭之心衝激 殘民前日洞會已決之事 至此起鬧 先何心 後何心也 前日等狀內 以無名錢分排云是乎羅 此是結頭錢也 而結頭段 每結二兩式 付捧以用稅納收捧時 各費於乙 此錢何云無名錢乎 每結二兩式付捧 一邑皆然 故緣由仰訴爲去乎參商敎是后 特下嚴題 每結結頭二兩式 依他洞付捧之意 千萬伏祝行下向敎事城主 處分庚子 七月 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행정·사법문서

此呈雨澤報告 指令覽可悉之 而報告 亦爲貼呈考覽後 出給該課 如何如何大凡風雨 無論四時 或加或減或多或小 盖其風雲造化 人所難測 本邑 則只因目覩 而報告者也 承此 指令之嚴截悚懍 示之該課 則稅賦課云矣 此必兪主事來時來請也責於當責 則在下惶悚 而責以不當 則有誰甘受乎 此輩之府郡間生梗 豈暇若是乎 此等之人 能補裳軒政令乎 甚用慨悟 此呈 指令 還授以爲憑考向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경자년 이방(吏房) 치부(置簿)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吏房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자년 7월 4일에 이방(吏房)이 작성한 치부(置簿) 작성일자만 표기된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大韓光武九年乙巳八月 日 前明文右明文事 由來畓 累年收貰是多可要用所致 不得已 伏在五東面峰山後沙也坪 卑字畓 十六夜味 九斗落庫果所耕貳拾柒負貳束㐣 価折錢文壹佰捌拾兩 依數捧用是遣 右人前以新文一丈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之端 則以此文記憑告事此亦中 旧文記中間火災中遺失 故不得出給事畓主宗人自笔柳重熙[着名]證人幼學金海運[着名]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九年庚午十二月十一日 門長幼學金在年前明文右明文事段 矣流來畓 伏在於道陽面柳田里虎洞坪 廣字 今種肆斗落只 一㐊每 十二夜味 負數十六負八束㐣 以喪債報償之致 價折錢文壹百八兩 依數捧上爲遣 右前新文一丈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之弊是去等 以此憑考事畓主自筆幼學張壽煥 喪不着訂幼學從弟永求[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玖年庚午十一月二十五日高生員宅奴奉文前明文右明文事段 傳來衿得田與柴場累年耕護是多可 私債許多故不得已 伏在桂村農幕村前 官字田 太種一斗五升落 卜數壹卜■五束棠木十五珠〖株〗果 村後柴場一片梧桐木二珠〖株〗 柴草十五卜刈處廤 價折錢文三十二兩 依數捧用是遣 右人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攜貳之端 則以此文記憑考事 亦在田柴場主閒良尹慶謨[着名]證筆閒良金大泰[着名]此亦中 田與柴自爲耕刈是遣 勿論豐凶 以禾穀三十五斗元定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九年庚午二月初三日 前明文右明文事 自己買得 累年收貰是多可 要用所致 否得已伏在水谷七巖村前 形字畓一夜味 二斗落 所畊 負 束㐣価折錢文貳拾捌兩 依數捧上爲遣 右人前新文一張永永放賣爲去乎 日或有爻象 則以此文記憑告事畓主自筆幼安光洙[着名]證人閒金三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十一年壬申十二月十九日 前明文右明文事段 自己買得 累年耕食是多加〖可〗 要用所致 伏在白也面柯田坪 主字畓 一斗落只 負數五卜五束㐣 価折錢文陸拾兩 依數捧上爲遣 舊文遺失故 只以新文一張 永永放賣爲去乎日後如有爻象 則以此文記憑考事畓主幼學尹在臣[着名]證筆幼學鄭在珪[着名](배면)白也面柯田坪主字畓一斗落五卜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武十年丙午六月十五日 右人前明文右明文事段 要用所致 不得已 伏在五東峰山後坪沙也 尊字畓 八斗落 所耕 卜 束㐣 折価錢文壹百參拾兩 依數捧上是遣 右人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之端則以此文記一丈 考〖告〗官卞庭事畓主吳然述[着名]證人柳景老[着名]證筆柳季明[着名]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大韓光武拾年丙午八月九日 前明文右明文事段 五代祖母山 在於任實里仁面獨山村下堂山谷掛嶝 而數佰年守護禁養是多可 移葬於他處 破壙全局 價折錢文壹佰伍拾兩 依數交易捧上是遣 右前以新文一丈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異說於諸子孫中 以此文記憑考事山地主幼學李基榮[着名]證人幼學安宗榮[着名]筆執幼學鄭淳兌[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大韓光武十年丙午九月 日 前明文右明文事 先世買得 累年耕食是多可要用所致 不得已 伏在五東面蜂山村前堂上坪 八字畓 二夜味 二斗落庫 所耕 負 束庫乙 価折錢文壹佰參拾兩 依數捧上是遣右前以新文一丈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 則以此文記憑告事畓主幼學柳重熙[着名]證人幼學金海運喪不着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武十一年丁未二月初九日 前明文右明文爲後考事 是■移去此〖次〗 伏在於細方員卜數則■(坤)勸字採田 一夜貳斗落只折價錢文六什兩 是數捧用以考 右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誰談以去等 是此文記憑考事田主金奴月先[着名]證人金奴得每[着名]筆李奴丁花[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26년 이중두(李中斗)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輔台 李中斗 李輔台印 3顆(적색,원형,1cm)咸興地方法院蔚珍出張所印 2課(적색,정방형,2.2×2.2cm)司法代書人孫鎭瑩印 1顆(적색,정방형,1.3×1.3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278_001 1926년 3월 10일에 이중두가 이보태로부터 토지를 매입하고 대구지방법원 울진출장소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작성 제출한 매도증서 1926년 3월 10일에 이중두(李中斗)가 이보태(李輔台)로부터 밭을 매입하고 난 뒤 대구지방법원(大邱地方法院) 울진출장소(蔚珍出張所)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작성 제출한 문서이다. 일본어로 인출된 용지에 대서인(代書人)이 해당 사항을 기입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매매 부동산의 소재지는 울진군(蔚珍郡) 원남면(遠南面) 매화리(梅花里) 882번지이고 지목은 전(田)이며, 면적은 252평이다. 우선 문서 우측 상단에는 일본정부 발행 수입인지 5전과 1전짜리 두 장이 붙어있고, 이보태의 도장이 날인되어 있다. 문서 좌측 상단에 있는 장방형 등기제(登記濟) 인은 수부(受附)를 적은 것으로, 수부는 접수의 의미이다. 즉 등기 신청을 접수한 날짜는 대정(大正) 15년 5월 21일이고, 접수번호는 제1295호라는 것이다. 그 아래에는 정방형의 대구지방법원울진출장소인(大邱地方法院蔚珍出張所印)이 찍혀 있다. 그리고 하단의 등기제인은 함흥지방법원 울진출장소에서 윤행수가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치고 날인된 것이고, 아래에는 함흥지방법원울진출장소인(咸興地方法院蔚珍出張所印)이 날인되어 있다. 이 등기제인에 적힌 수부 수부날짜는 소화(昭和) 7년, 즉 1932년 10월 12일이고 수부번호는 4615번이다. 등기의 원인은 1932년 10월 1일의 매매로 인한 것이며, 목적은 소유권이전이라고 기입되어 있다. 그리고 권리자의 성명은 윤행수(尹行秀)이고 주소지는 매화리이다. 관련문서에 윤행수는 이중두로부터 이 토지를 1932년 10월 1일에 매입하고 울진출장소에서 등기 신청을 했는데, 이 매도증서도 함께 첨부되어 등기제인을 날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 이 문서에는 토지등기부에 등록된 등기번호를 기입한 장방형 도장이 우측에 상하 두 개가 있다. 위의 도장에는 등기번호가 제398호이고, 구(區)는 갑구(甲區)이며 순위번호는 2번이다. 갑구는 토지등기부의 양식상 물권의 종류를 구로 나누어 배치한 것인데, 갑구는 소유권, 을구는 소유권 이외의 권리에 관한 사항을 등록하도록 하였다. 이 등기는 매매로 인한 소유권 이전등기이므로 갑구가 되는 것이다. 아래의 도장에는 을구(乙區)이고 순위 번호는 1번이다. 문서의 좌측 하단에는 이 매도증서를 작성한 사법대서인(司法代書人) 손진영(孫鎭瑩)의 이름과 도장이 날인되어 있고, 그 위에는 서기요금(書記料金) 16전이 쓰여 있다. 사법대서인은 1895년 재판소구성법이 제정 공포되면서 생긴 새로운 직업으로, 변호를 담당하는 경우 대언인(代言人), 서류를 담당하면 대서인이라고 하였다. 주로 토지의 소유권이나 전당권 등을 증명하는 서류를 대신 작성해주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賣渡證書一.不動産ノ表示蔚珍郡遠南面梅花里八八貳番地田貳百五拾貳坪價格金壹百拾圓也右不動産ハ 拙者所有ノ處 今般 貴殿ニ 賣渡シ 前記代金 正ニ受領候也 依テ 後日 該不動産ニ 對シ 他ヨリ 異議無之ハ 勿論ノ義ニ候得共 萬一如斯場合有之候節ハ 拙者ニ於テ 引受ケ 毫モ 御迷惑相掛申間敷爲 後日本證書差入候也大正拾五年參月拾日蔚珍郡遠南面梅花里七六五番地賣主李輔台[印]蔚珍郡遠南面梅花里壹0六八番地ノ貳買主李中斗殿書記料金拾六殿 司法代書人孫鎭瑩[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32년 윤행수(尹行秀)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劉文鍾 尹行秀 劉文鍾信 2顆(적색, 원형,1.2cm)咸興地方法院蔚珍出張所 1課(적색,정방형,2.2×2.2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2년 12월 2일에 윤행수가 유문종으로부터 토지를 매입하고 함흥지방법원 울진출장소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작성 제출한 매도증서 1932년 12월 2일에 윤행수(尹行秀)가 유문종(劉文鍾)으로부터 논을 매입하고 난 뒤 함흥지방법원(咸興地方法院) 울진출장소(蔚珍出張所)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작성 제출한 문서이다. 일본어로 인출된 용지에 대서인(代書人)이 해당 사항을 기입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매매 부동산은 두 곳으로, 한 곳은 울진군(蔚珍郡) 원남면(遠南面) 매화리(梅花里) 466번지이고, 지목은 답(畓)이며, 면적은 588평, 매매가는 200원이고, 또 한곳은 같은 소재지의 466번지이고 지목은 답, 면적은 13평이며 매매가는 5원이다. 두 곳을 합한 매매대금은 205원이다. 문서 상단에는 일본정부의 수입인지 10전짜리가 붙어있고 그 위에 유문종의 도장이 날인되어 있다. 좌측에 적색 인주로 날인된 등기제(登記濟)인은 수부(受附)를 적은 것으로, 수부는 접수의 의미이다. 즉 등기 신청을 접수한 날짜는 소화(昭和) 8년 3월 16일이고, 접수번호는 제1782호라는 것이다. 그 아래에는 함흥지방법원울진출장소인(咸興地方法院蔚珍出張所印)이 찍혀있다. 문서 상단 우측에 있는 작은 장방형 도장 두 개는 이 논이 두 곳이기 때문에 토지 각각의 등기부 등록을 마치고 등기부의 등기번호를 기재한 것이다. 하나는 제669호이고 구(區)는 갑구(甲區)이며, 순위번호는 2번이고, 또 하나는 제670호이고 갑구, 순위번호 2번이다. 갑구는 토지등기부의 양식상 물권의 종류를 구로 나누어 배치한 것인데, 갑구는 소유권, 을구는 소유권 이외의 권리에 관한 사항을 등록하도록 하였다. 이 등기는 매매로 인한 소유권 이전등기이므로 갑구가 되는 것이다. 문서의 마지막 좌측 하단에 보라색 인주로 문구를 찍고 해당 사항을 기입한 부분이 있는데, 여기에는 제381호, 총매수 1매, 서기요금 14전, 사법대서인(司法代書人) 손진영(孫鎭瑩)이라고 되어 있다. 사법대서인은 1895년 재판소구성법이 제정 공포되면서 생긴 새로운 직업으로, 변호를 담당하는 경우 대언인(代言人), 서류를 담당하면 대서인이라고 하였다. 주로 토지의 소유권이나 전당권 등을 증명하는 서류를 대신 작성해주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大韓光武八年甲辰八月十六日 前明文右明文事 自己買得 累年收貰是多可 債錢許多之致 不得已 伏在高敞水谷面七岩村前坪 門問夜味三斗只 連安夜味四斗只 麥畓三斗只 合十斗只 形字所耕 負 束㐣 倂禾穀 價折錢文玖佰捌拾兩 依數捧上是遣 右人前永永放賣爲去乎 日后如有爻象 則以此新舊文 告官卞正事畓主 崔寬裕[着名]證參 李洛九[着名]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