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明治四十四年辛亥八月十四日 前明文右明文事은 自己買得 數年耕食是多可勢不得已 伏在高敞五西面仁洞里村前坪 父字畓貳斗落五夜味 所耕八負四束㐣 價禾穀壹石ᄒᆞ야 價折錢文貳佰貳拾兩 右前依數捧上이고 以新旧二丈 永永放賣爲去乎 日后若有爻象之端 則以此文記憑考事此亦中 豐凶間先尺 壹石式 完定홈畓主 仁洞里 李東喆[印]證人 智村里 李鍾烈[印]里長 渭城里 林錫泰[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賣渡證書一. 不動産ノ表示所在地名 高敞郡 五山面 蜂山里地番号 唱貳四種目 畓面積 八斗落結數 四參四價格 貳貳四此賣渡代金 貳佰貳拾四円也右不動産ヲ 前記金額二テ 貴殿二 賣渡候事確實也依テ 後日該不動産二對シ 他ヨリ異儀無之ハ 勿論ノ義二候得共 萬一如斯場合有之候節ハ 拙者二於テ處辨シ 聊力貴殿二 御迷惑相掛ケ申間敷爲後日 本證書差入候也大正參年 四月 拾壹日全羅北道 高敞郡 雅山面 壺岩里賣渡人 金璟燮 [印]全羅北道 高敞郡 五山面 蚕谷里保証人 徐良喆 [印]買受人 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장택기(葬擇記) 안장(安葬), 하관(下棺) 등 장례 지내는 절차와 시일, 무덤 위치에 관해 기록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喘急有入凡喘急者氣因火鬱而成 稠痰在肺胃故也 喘非風寒傷肺則痰火脹肺風寒則祛散痰火則疏遵 但火急者亦不可純用苦寒宜溫劫之風寒喘【尋常感冒風寒內㭗肺脹逆而爲喘】麻黃散湯【傷風喘急痰壅涕㕰調粘麻黃二戔桂皮一戔二分款冬花訝子皮甘草各一戔杏仁六分細茶一戔水煎服】參蘇溫肺湯【形寒傾冷則傷肺喘煩渴心胷滿短氣人參蘇柔肉桂木香五味子除皮半反桑白皮白朮白茯令各一戔甘草五分水煎干三服】痰喘【凡喘便有聲喘時開其痰路則易安易吉更瓜萎仁只角杏仁蘇柔前胡等引出其痰然後調其虛宵虛宵用沉香滾痰丸見痰虛者調以參芪歸朮】千緡湯【治痰喘数服卽安半夏七枚炮四破■(南)■■〔皀角〕炙甘草炙各一寸南星各一戔于五片水煎服】 千緡遵痰湯【痰喘不能臥一服卽安半夏七枚炮四破南星陳皮赤伏只角各一戔皀角甘草幷炙各一寸干五片水煎服蘇子導痰降氣湯【痰喘正氣蘇子二戔半夏當歸各一戔半南星陳皮各一戔前胡厚朴只實赤伏各七分甘草五分干三召二煎服】竹瀝膏冬苽酒【幷治痰喘幷見雜方】椒目【治痰喘爲末干湯下二戔式】靑木實【갈ᄆᆡᄡᅵ治澹喘作正果常食】杏仁【咳嗽上氣喘促及哮喘取一兩去皮尖童便浸半月一日一換尿取出硏每服召子大薄荷葉密火許入煎服二製永差】(背面)痰厥頭痛 百會四關三里曲池川弓白池牛骨合用角弓反張四關百会炙百壯灵岩郡金井面龍興里金舜万咳嗽症【四物湯加五味子三分式服三日前▣永□旧名玉浦村業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고성군(固城郡) 회화면(會華面) 배둔리(背屯里) 임야도(林野圖) 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연대를 알 수 없는 고성군 회화면 배둔리(固城郡 會華面 背屯里)의 임야도(林野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眉叟先生記言 重刊都廳望幼學 朴宗鎬乙巳 八月 初三日 二宜亭 會中二宜亭 儒會所 封圈乙巳 八月 初三日朴斯文宅 入納 道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58년 이지혁(李芝赫)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南平文廟 李芝赫 南平鄕校 1顆(적색,직방형,5.5×9cm)南平鄕校典校之印 1顆(적색,정방형,2.2×2.2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8년 1월 15일에 남평문묘에서 이지혁을 석전제 제관으로 정하면서 발급한 망기 1958년 1월 15일에 남평문묘(南平文廟)에서 이지혁(李芝赫)을 석전제(釋奠祭) 제관(祭官)으로 정하면서 작성하여 발급한 망기이다. 다음달 2일에 석전제 제관으로 뽑아서 정했으니, 이틀 전에 제숙(齊宿)하라는 내용이다. 남평문묘에서 전교(典校) 정병순(鄭秉恂) 명의로 보낸 문서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望 幼學 李芝赫來月 二日 上丁 行釋奠祭 祭官薦定前期二日 齊宿者戊戌 元月 十五日南平文廟典校 鄭秉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0년 공수근(孔守根)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孔守根 金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0년 1월 28일 공수근이 혼례 상대 집안인 김 생원 댁에 보낸 혼서 1930년 1월 28일 공수근(孔守根)이 혼례 상대 집안인 김(金) 생원 댁에 보낸 혼서이다. 김 생원이 그 여동생을 공수근의 의자(儀子)에게 배필로 허락해 주신 것에 감사를 표하고 납폐(納幣)를 행하겠다는 뜻을 표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恭承嘉命 許以令妹貺室于僕之儀子宋裕實年漸長成 未有伉儷 玆遵先人之禮 謹行納幣之儀 不備 伏惟崇照 下鑑庚午 正月 二十八日 曲阜后人 孔守根 [署押](皮封)上狀金生員 宅 下執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1년 김병옥(金丙玉)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金丙玉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1년 1월 26일에 김병옥이 혼사를 치를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 1931년 1월 26일에 김병옥(金丙玉)이 혼사를 치를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이다. 사주단자를 보내고 납의(納儀)를 한 후 택일을 요청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采色物目記勞綠 三斤長丹 二封朱紅 五封石朱 二斤水道黃 五兩重良綠 一封眞粉 一封造粉 二斤眞玄 三同阿膠 三斤良靑 十兩重三綠 七兩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77년 심영택(沈榮澤)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沈榮澤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7년(고종 14) 10월 3일에 심영택(沈榮澤)이 혼사 상대방 집안에 보낸 혼서 1877년(고종 14) 10월 3일에 심영택이 혼사 상대방 집안에 보낸 혼서이다. 연길(涓吉)을 상대 집안에 보내고 이 날짜에 진행해도 차질이 없을 것인지 의향을 묻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仰惟肇冬尊體萬旺 仰慰區區 無任 第親事 吉日涓呈倘無所碍耶 貴近若有差乎 更擇回示如何餘不備尊照 謹狀上丁丑 十月 三日 靑松后人沈榮澤 再拜(皮封)謹拜上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계축년 차정규(車整奎) 혼서(婚書) 2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車整奎 査頓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계축년 2월 21일에 차정규가 혼사를 치를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 계축년 2월 21일에 차정규(車整奎)가 혼사를 치를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이다. 옷 치수를 적어 보낸다는 내용이다. 조카와 혼례를 치를 신부 집에 보낸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承 華翰 慰荷 伏謹審尊體動止萬相 慰溸之至 親事 非日在邇 ??之慶孰加於是 章製依 敎書呈耳謹備伏惟四在 謹謝上狀癸丑 二月 念一日延安 車整奎 拜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술년 조병헌(趙秉憲) 위장(慰狀) 고문서-서간통고류-위장 趙秉憲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술년 4월 13일에 조병헌이 길 석사의 모친상을 위로하기 위해 보낸 위장 병술년 4월 13일에 조병헌(趙秉憲)이 길 석사(吉碩士)의 모친상을 위로하기 위해 보낸 위장이다. 상대의 선부인(先夫人)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그 슬픔을 위로하면서 억지로라도 소식(疏食)을 더하여 예제(禮制)를 따르시기를 권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3년 서면(西面) 사라리(舍羅里) 상임(上任) 첩정(牒呈)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上任 李 慶州郡守 上任[署押] 墨印(5.2×3.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3년 6월 26일에 경주군 서면 사라리 상임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 1903년 6월 26일에 경주군 서면(西面) 사라리(舍羅里) 상임(上任)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이다. 결호전(結戶錢)을 8월 보름 이후로 기한을 정해 그때까지 정봉(停捧)하고, 구황에 대해서도 서로 구제하는 뜻을 민인(民人)들에게 잘 알리라는 전령(傳令)을 접수하였으니 잘 알아 시행하겠다는 내용이다. 끝부분에 이 첩정을 7월 초1일에 접수했다는 내용이 제사(題辭)로 쓰여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西面舍羅里上任爲牒報事 卽到付 傳令內 諸般民弊槩已領略 結戶布錢 八月望後停捧 救荒一節 自各其洞 稍饒之民 互相出義之意 一一知委爲臥乎事是良厼 合行牒呈 伏請照驗施行 須至牒呈者右 牒 呈郡 官癸卯 六月 二十六日 上任 李[署押]到付七月 初一日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