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55년 부안임씨대동보소(扶安壬氏大同譜所) 문건(文件) 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壬氏大同花樹會 扶安壬氏大同譜所 1顆(2.9×2.9)1顆(3.6×3.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5년 12월 25일에 부안임씨 대동보소(扶安壬氏 大同譜所)에서 연활자로 간행한 기호서사 봉안문(歧湖書社奉安文), 특지찬조 방명록(特志贊助芳名錄)과 대동보소 희소식(大同譜所喜消息), 종판 식일 기념 행사(終版式日記念行事)로 구성된 문(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61년 장치식(張致植) 소지(所志) 초(草)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張致植 等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1년에 장치식 등 4명의 장씨가 모여서 장정필의 후예인 자신들에게 군보를 물침하라는 수교에 따라 각종 역을 침탈하지 말아 달라고 요청하는 원정 1861년에 장치식(張致植) 등 4인이 성주(城主)에게 올린 원정(原情)이다. 이들은 남시면(南始面) 교암리(交岩里)에 거주하고 있는데, 장태사(張太師) 종팔(貞弼)의 후예로서 자손들에게 군보(軍保)를 물리지 말하는 수교가 있음에도 각종 역을 침탈하려는 사례가 있으므로 수교에 따라 역에서 빼 달라고 요청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南始面 交岩里 居 罪民 張致植 等 原情恐鑑 伏以 罪民等 素是張太師圃蔭先生 諱貞弼之後裔 而領相諱順孫十一世孫也 承旨公諱自好七代孫也 抱泣承旨公 敎旨 而又有張太師之子孫 雖千百世 勿侵軍保事 禮曹謄給受敎是白去乎 簪纓節義 昭然可考 不幸殘劣後孫 轉甚貧寒 僅保性命是白加尼 不意內民等之列名 入於官家事 不知何故 而恭俟處分是乎則 都緣人心之危險忽至 軍丁之侵漁 窮天地亘 萬古而所未雪之積寃 歷今古閱千秋 而難可伸之遺恨 生何面目 死爲冤鬼 第伏念 罪民自幼誦讀 志在立揚 非意役名 忽斷所望 一縷班脈 從何處而索還 如民不肖之孫 無足惜矣 先祖垂後之澤 不其寃乎忝厥至罪 莫此爲甚 雖爲祖功之未及褒揚 豈料子孫之反罹厄禍 忍痛含怨 冒死呼籲於二天 父母之下爲白去乎 伏乞 留神採納焉 人云火炎崑崗 玉石俱焚 古或有之 惜玉石之碝精更惜 殘微之班 爲所舍罪民之實情 人皆聞見 去月母喪 未備葬禮 叩地呼天 孰爲憐之 罪民之長兄致永 委在病席 尤極心痛 如此充丁之說 聞者議之 見者言之 流布世路 塗人耳目 姻婭相逢 慚言自塞 親朋共見 厚顔難檯 此何生存 此何景色 第伏惟保全殘喘 而得至今日 莫非 城主之惠 優游化育 而安堵如古 莫非城主之賜也 伏乞 悲之矜之憐之恤之 勿以罪民之殘劣 必思民家之世德 特爲頉給 俾蒙恩澤則擢拔磨頂 而無足仰酬 轉海移山 而何以圖報生乎 此世難忘隕首之誠矣 死則他時庶效結草之報也 一保班名 千萬顒祝城主前 處分辛酉 年 月 日 張九煥致永致植自錫 原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사돈 언간(諺簡) 6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미상 査弟 査兄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봄철에 사돈에게 쓴 한글 편지 중춘(仲春)에 사돈[사형(査兄)]에게 답장으로 쓴 한글 편지이다. 뜻밖에 사위[서랑(壻郞)]에 와서 구전으로 소식을 듣기도 하고, 사돈의 편지를 읽고서 사돈댁 근황을 알기도 했다. 딸아이 내외도 무고한 소식을 알고 기뻤으며, 친딸처럼 생각해 주시기를 부탁하였다. 사위는 며칠 머물지 않고 떠났는데 대접이 박하여 무안했다며 안타까워하였다. 가족들의 근황을 두루 전한 뒤에 딸아이를 본 지 여러 달 되었으니, 내외 두 사람을 하루빨리 보내주시기를 부탁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앞면귀쳐 셩식은 편후 날포되옵ᄉᆞ오니 무심 샤의오나 운쳔을 향운ᄒᆞ와 향모 간졀ᄒᆞ온 ᄎᆞ 무의 듕셔랑 닷치시니 암작 반겨 내ᄯᅥ 뵈ᄋᆞᆸ고 구젼과 ᄌᆡ슌 만지 졍챨 밧쟈와 황홀 슉신ᄒᆞ오니 우리샤형뎨 언셕동좌의 만단졍회온 듯 무ᄒᆞᆫ반기ᄋᆞᆸ고 그 후 슈슌이 가쟉ᄒᆞ오니 ᄉᆡ로이 향모간졀ᄒᆞ오이다 편후 광ᄉᆡᆨ은 어언간 듕츈인ᄯᆡ 분슌ᄒᆞ오ᄃᆡ 연하와 샤쟝계ᄋᆞᆸ셔 연고긔력이 강왕ᄒᆞ시와 슉슈디공이 내〃 ᄒᆞᆫ가지시며 문여셔 허다 탐ᄉᆞ디렴이신 듕 쳬후 만안ᄒᆞ시와 소딘등졀이 여언 방ᄉᆞᄒᆞᄋᆞᆸ시니잇가 두로 궁겁ᄉᆞ오이다 겻 샤쟝 각 위분긔후 여젼ᄒᆞ시며 당ᄂᆡ 도졀 다리분 ᄒᆞᆸ졀이 일쳬로 안샹이시고 여아도 내외 무고ᄒᆞ오며 부지분슈ᄒᆞᆫ거시 셩덕 굿ᄐᆡᆨ은 맛나 샤랑이 반셕갓ᄒᆞᆫ들 듯기 반갑ᄉᆞ오나 외오 무안 챳디 홍안회ᄉᆡᆨ은 둘 곳 업ᄉᆞ오나 하회 셩덕은 나리시와긔출갓치 ᄉᆡᆼ각ᄒᆞ시기를 바라나이다 셔랑은 오시와 몃칠 류련토 아니시난 걸 초박 ᄃᆡ졉 무ᄉᆡᆨ〃〃 샤돈 보시면놀나실 듯 친신과 각신 연속 업ᄉᆞ시니잇가 두로궁겁ᄉᆞ오이다 이곳 샤뎨도 안밧 편타 못 뫼신 긔력이 엇워젹ᄑᆡᄒᆞ옵시니 ᄒᆞ졍의 초민 용여 샤로 비후 엄ᄒᆞ온듯 송운 두렵ᄉᆞᆸ고 뎨도 안밧 ᄃᆡ병은 업ᄉᆞ나 소〃 괴로ᄋᆞᆸ뒷면기 마지아니고 슉후 각위분 ᄃᆡ쳠 업ᄉᆞ시니ᄒᆞ졍의 복히 만〃이ᄋᆞᆸ고 동셔 각〃 ᄂᆡ외거나려 무고 다ᄒᆡᆼ이ᄋᆞᆸ고 향신과 각신 아득 궁겁고 이밧 각 집 무연고 다ᄒᆡᆼ이오이다 쳡〃 졍ᄉᆞ 샨고회심이오나 어득 분요 단문 이만 긋쟈오며 여ᄋᆞ난보나고 슈샴ᄉᆞᆨ 되도록 ᄒᆞᆫ 번 가보도 못ᄒᆞ엿스니외언 쳠시 무ᄉᆡᆨ 여아 어린 마음의 셥〃ᄒᆞ인건어오며 언마른 경영ᄒᆞ여 밧어룬 가시니 조손분 반기실닷 공슈로 가시니 무안 붓그럽ᄉᆞ오이다 후망은 층〃 안영ᄒᆞ신 회 극망이오며져희 양인 슈이 보나시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54년 채석후(蔡錫厚) 허가산림 매매 계약서(許可山林賣買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蔡錫厚 金擧炫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4년 11월 30일에 매주(賣主) 채석후(蔡錫厚)가 매주(買主) 김거현(金擧炫)에게 산림(山林)을 매매(賣買)하는 계약서(契約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55년 오석후(吳錫厚) 계약서(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吳錫厚 宋在鉉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5년 3월 5일에 매도인(賣渡人) 오석후(吳錫厚)가 매수인(買受人) 송재현(宋在鉉)에게 화순군에 있는 임야(林野)를 매매하는 계약서(契約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惟 霜令尊體動止萬重 就孫女親事令再從叔夏秀甫家 旣承剛先 私家之幸 柱單錄示如何 伏惟尊察 上狀甲寅 十月 初二日驪江 李述祥 再拜(皮封)上狀孫 生員 下執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14년 홍성주(洪性柱)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洪性柱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4년 10월 8일에 홍성주가 혼사의 상대방 집안에 보낸 혼서 1914년 10월 8일에 홍성주(洪性柱)가 혼사의 상대방 집안에 보낸 혼서이다. 경첩(庚帖)을 올리니 길일(吉日)을 뽑아 정해달라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謹未審邇來尊體候連衛萬安 伏溯區區不任之至 生姑依前樣 伏幸何達 就親事 旣至言識 實爲微門之幸也 庚帖書示 吉日經近擇定伏望耳 餘不備伏惟甲寅 十月 初八日 生 洪性柱 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1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鄭幸源 康善興[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1년(고종 8) 2월 9일에 정행원이 백석면 소재 논 8마지기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 계약문서 1871년(고종 8) 2월 9일에 정행원(鄭幸源)이 아무개에게 백석면(白石面) 소재 논 8마지기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정행원이 방매한 토지의 소재지는 백석면 건지산(乾地山) 아래 연지동평(連池洞坪)으로, 지목은 논이다. 자호(字號)는 난자(難字)이며, 규모는 8두락(斗落)이고 부수(負數)로는 23부 7속이다. 값은 전문(錢文) 90냥이다. 정행원은 여러 대에 걸쳐 전래해 온 논을 쌓인 상채(喪債) 때문에 방매한다고 방매사유를 밝히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拾年 辛未 二月 初九日 前 明文右明文事 累代傳來畓 耕食是如可 寂報喪債許多 故不得已 伏在白石面乾地山下連池洞坪 難字畓捌斗落 所耕貳參負柒束㐣 價折錢文玖拾兩 依數捧上是遣 旧文記 他處並付 故不得出給 新文一丈 右人前 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爻象 則以此文記 告 官卞呈事畓主 幼 鄭幸源 喪不着證筆 幼 康善興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承華翰 慰荷良深 仍審 春殷尊體動止連衛萬重 何等仰慰之至 第妹阿親事 至蒙請期 實孚自附之喜 涓吉依 敎仰呈 章製回示如何 餘謹宣 伏惟尊照 謹拜 謝上狀戊戌 二月 上二日光州 盧晩容 拜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축년 조승기(趙承基)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趙承基 査頓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축년 10월 10일에 조승기가 재종숙 집안 혼사를 위해 신랑 측 집안에 보낸 혼서 신축년 10월 10일에 조승기(趙承基)가 재종숙(再從叔) 집안 혼사를 위해 신랑 측 집안에 보낸 혼서이다. 길일을 택일하여 고하니 옷 치수를 적어서 보내달라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惟 孟冬尊體動止萬重 仰溯區區 就再從叔家親事旣蒙 許可 玆以擇吉 仰告 衣制錄眎 伏望 謹狀 伏惟尊察 上狀辛丑 十月 初十日漢陽 趙承基 再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承華翰 感荷良深 謹承審 玆際尊體候萬重 仰慰溸且祝第女阿親事 指導誠勤 旣承星單 玆以涓吉別呈 實天緣也 章製 俯示如何餘不備 伏惟尊照 謹謝上狀庚子 正月 念二日草溪 卞暘燮 再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08년 손진화(孫振華)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孫振華 李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8년 11월 30일에 손진화가 재종숙 집안 혼사의 상대방 집안인 이 생원 댁에 보낸 혼서 1908년 11월 30일에 손진화(孫振華)가 재종숙(再從叔) 집안 혼사의 상대방 집안인 이(李) 생원 댁에 보낸 혼서이다. 재종숙 집안 혼사의 절차 중 연길(涓吉)을 받고 의제(衣製)를 적어 보낸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承寵翰 謹審 至寒尊體動止萬相 仰慰區區 再從叔家親事 旣承涓吉 敢不唯命衣製依 敎錄呈 不備 伏惟尊察 謹拜謝上狀戊申 十一月 三十日密城 孫振華 再拜(皮封)謹拜謝上狀李 生員 執事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