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賣渡證書不動産ノ表示左記不動産表示ノ通リ此代金四拾五圓也右不動産ハ 拙者所有ノ處 前記代金ヲ 以テ 貴殿ニ 賣渡代金 正ニ受領候事 確實也 然ル上ハ 將來決シテ 御迷惑相掛申間敷爲 後日 賣渡證書仍テ 如件大正拾四年貳月九日蔚珍郡遠南面金梅里參五八番地賣渡人 南昌鎬[印]蔚珍郡遠南面梅花里六七參番地買主 尹行秀殿不動産ノ表示蔚珍郡近南面九山里四八五番地田壹百四拾貳坪以上代書人佐口木巖[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5년 윤행수(尹行秀) 매도증서(賣渡證書) 2 고문서-증빙류-영수증 尹相堯 尹行秀 尹相堯信 5課(적색,원형,0.8cm)大邱地方法院蔚珍出張所印 1課(적색,정방형,2.2×2.2cm)巖 1顆(적색,원형,1.5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266_001 1925년 4월 2일에 윤행수가 윤상요로부터 토지를 매입하고 대구지방법원 울진출장소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작성 제출한 매도증서 1925년 4월 2일에 윤행수(尹行秀)가 윤상요(尹相堯)로부터 논을 매입하고 난 뒤 대구지방법원(大邱地方法院) 울진출장소(蔚珍出張所)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작성 제출된 문서이다. 일본어로 인출된 용지에 대서인(代書人)이 해당 사항을 기입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매매 부동산의 소재지는 울진군(蔚珍郡) 원남면(遠南面) 금매리(金梅里) 661번지이고, 지목은 답(畓), 면적은 338평(坪)이며, 매매대금은 160원이다. 문서의 위쪽에는 일본정부에서 발행한 수입인지가 5전, 2전, 1전짜리 세 개가 붙어있고 윤상요의 도장이 날인되어 있다. 붉은색 인주의 장방형 도장 두 개 가운데 상단의 도장은 토지등기부에 등록된 등기번호를 기입한 것인데 번호는 제103호이고, 구(區)는 갑구(甲區)이며 순위번호는 2번이 기입되어 있다. 갑구는 토지등기부의 양식상 물권의 종류를 구로 나누어 배치한 것인데, 갑구는 소유권, 을구는 지상권과 영소작권, 병구는 지역권, 정구는 선취특권ㆍ질권ㆍ저당권, 무구는 임차권 등으로 정했다가 이후 개정된 토지등기부에는 갑구는 소유권, 을구는 소유권 이외의 권리에 관한 사항을 등록하도록 하였다. 이 등기는 매매로 인한 소유권 이전등기이므로 갑구가 되는 것이다. 하단의 장방형 등기제(登記濟) 인은 수부(受附)를 적은 것으로, 수부는 접수의 의미이다. 즉 등기를 접수한 날짜는 대정(大正) 14년 4월 27일이고, 접수번호는 제1,047호라는 것이다. 아래 정방형 도장에는 '대구지방법원울진출장소인(大邱地方法院蔚珍出張所印)'이 찍혀 있다. 그리고 마지막 좌측 하단에는 이 매도증서를 작성한 사법대서인(司法代書人) 좌구목암(佐口木巖)의 이름과 도장이 날인되어 있다. 사법대서인은 1895년 재판소구성법이 제정 공포되면서 생긴 새로운 직업으로, 변호를 담당하는 경우 대언인(代言人), 서류를 담당하면 대서인이라고 하였다. 주로 토지의 소유권이나 전당권 등을 증명하는 서류를 대신 작성해주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8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張龍錫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8년 3월 16일에 장용호가 동면에 있는 논 7승락을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 계약문서 1898년 3월 16일에 장용호(張龍鎬)가 동면에 있는 논 7승락(升落)을 방매하면서 작성하여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이 토지는 장용호가 매득하여 경작해 오던 것으로, 규모는 7승락이고 부수(負數)로는 2부(負) 7속(束)이다. 가격은 전문(錢文) 33냥이다. 매득한 사람의 이름은 쓰여있지 않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武二年 戊戌 三月 十六日 前明文右明文事 自己買得是多可 要用所致 不得已 伏在東面下西村右天峙坪 往字畓二夜味七升落 負數二負七束廤 價折錢文參拾三兩 依數捧上是遣 幷新舊文二張 右前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爻象 則持此文記 憑考事畓主 幼學 張龍鎬 [署押]證筆 幼學 張漢起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0년 김경옥쌍적지건(金慶玉雙籍之件)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0년 4월 7일에 어느 면에서 음암면장 앞으로 김경옥의 쌍적 문제로 민적초본을 첨부하면서 발송한 공문서 1920년 4월 7일에 어느 면에서 음암면장 앞으로 발송한 공문서이다. 김경옥의 쌍적 문제로 신고를 접수하고 이를 규명하기 위해 민적초본을 별첨한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大正九年 四月 七日 收受 | 施行 四月 八日面長 [印] 主任 [印]金慶玉雙籍ノ件大正九年 四月 八日音岩面長 宛金慶玉ノ雙籍申告 別紙ノ通リ有之候ニ付テ人仝人ニ係ル民籍抄本相添リ送付候条入籍ノ手續ナリシ候上御回答相成度及通報候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8년 장내원(張來遠)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張來遠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8년 2월 초1일에 장내원이 혼사와 관련하여 상대방 측에 보낸 서신 1898년 2월 초1일에 장내원(張來遠)이 혼사와 관련하여 상대방 측에 보낸 서신이다. 종질녀 혼사가 이미 사주단자를 받았으니 연길을 올리면서, 장제(章製)를 회시해 달라는 내용이다. 사주단자를 받고 신부 측에서 혼례 날짜를 택일하여 보내면, 신랑 측의 옷 품 등을 적어 보내는데 장제를 적어 회신하는 절차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惟 仲春尊體動止萬安 仰溸區區 從侄女親事旣承柱單 私家之幸 涓吉仰呈 章製錄示之如何 餘伏惟尊察 謹再拜 上狀戊戌 二月 初吉玉山 張來遠 再拜(皮封)謹再拜候上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咸豐六年丙辰九月二十八日 幼學許點錄前明文右明文事段 矣曾祖山在於宝城道村面下道會寧末子坐午向矣 惟我門中宗孫伊來勢道 艱乏難守 故與船所居許占〖點〗錄同墓次 価折錢文壹百貳拾兩依數捧上是遣 右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子孫諸族中 如有他說 則以此告官事山主幼學 李禮用[着名]證人幼學 全光祿[着名] 趙乃彦[着名]幼學 金齊奉[着名] 朴作別[着名]朴君鎭[着名]金士彦[着名]李月瑞[着名]鄭日在[着名]筆執幼學 李德柱[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咸豐九秊己未十一月二十八日 尹氏宗中明文右明文事段 傳曰士無田則不祭 况居鄕寒儒家 苟無位土 則四時茶禮累代忌辰 何以奉享乎 是以惟我同高祖三家 同力鳩財 抱川淸凉面麻田里伏在 位字第二十七田五負四束 三十一田三負三束 四十九田三負二束 一日半畊 四標段 東洪三嘉宅奴素得畓 南防築西李得明田 北洪生員宅奴口孫田廤乙 価折錢文壹百伍兩 永永買得 以爲高祖曾祖二代祭位条爲去乎日後子孫 或有和賣之慮 故爲文記二張 一藏於宗孫喆鎭家 一藏於門長遠鎭家 於千萬年 勿替引之 千萬幸甚宗孫喆鎭[着名]門長遠鎭[着名]筆執一溥[着名](배면)麻谷山所位土文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肆年乙丑十一月二十一日 明文右明文事 作稧買得 累年捧禾是如可 分稧次 伏在福下邊回龍村前坪 王字鳴字畓 二斗落五夜味負數肆負束㐣 価折錢文參拾參兩 依數捧上爲遣 本文記並以右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相左之端 則以此文憑考事畓主稧首幼學崔千秀[着名]訂筆 幼學朴箕煥[着名](배면)回龍洞稧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七秊戊辰十二月初十日 幼學具致圭前明文右明文事段 衿得 草生洞柴場一片 累年短鎌是多可訟債許多故 伏在懷面草生洞柴場一片 価折錢文九兩 依數捧上是故 日後若有他說 則持此文記 告官憑告〖考〗事舊文記一章虛失 故新文記一場〖丈〗永永放賣草場主幼學高弘鎭[着名]證筆幼學金漢水[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十八年甲戌十二月初十日幼學高宗煥前明文右明文事段 當此大殺之年 生活無路 而爲居圖存不得已 先山餘麓 一南磨斤洞 問字柴場 叔父塚■後長谷爲限 上至他人塚爲限 捧価十一兩 右人前永永放賣爲乎矣 本文記段 都文記載錄故 不得出給日後某人中 如有雜談是去等 以此文記告官卞正事柴場主幼學朴瑞權[着名]證筆幼學李基俊[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十四年己巳十二月三十日幼學金弼玉處明文右明文事段 移買次 衿得是遣 栗於下道軍城坪伏在 桓字畓三斗五升落只負數八十四 十三卜五束㐣価折錢文六十五兩 依數捧上爲遣 永永放賣爲去乎 本文記段 他田畓幷付 不得出給 日後子孫中 如有雜談是去等 此文記告官卞呈事畓主自筆幼學文永職[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拾)伍年庚午正月初七日私契有司全時福前明文右文爲放賣事段 自己是在 栗於面下道可尺村前軍城坪伏在 桓字畓三斗五升落只 負數八十四 三卜五束㐣 要用所致以 折價錢文陸拾伍兩爲遣 本文記及所志幷只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雜談是去等 以此文記告 官卞呈事畓主自筆幼學金弼玉[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十六年辛未正月晦日 金尙一前明文右明文事段 要用所致 西江內二毛古里六冊伏在 壹字畓二斗落只果 同畓一斗落只果 同字田四斗落只果 東犯同田三斗落只廤四作 拾捌負壹束廤乙 右人前価折錢文貳拾伍兩 依數交易捧上是遣本文記伍張果 新文記一張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幸有雜談是去等 持此文告官卞正事自筆田畓主金振云[着名]證人同姓五寸奉甲[着名](배면)▣앙밧문서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十六年辛未閏三月二十五日 前明文右明文事段 衿得刈草耕食是如可稅米還上 出處無路故 郡地北一子景洞伏在 朔字柴場■負數七卜五束內四卜五束川脫㐣 価折錢文一兩五戔以依數捧上爲遣 右人前永永放賣爲乎矣 本文段 中間閪失故不得出給爲去乎 日後若有雜談是去等 持此文卞呈事柴場主尹氏[右手掌]訂筆朴履三[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경자년 두존(頭尊) 품보(稟報)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頭尊 咸安郡守 官[押], 安[着名], 李[着名], 趙[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자년 7월 11일에 우곡면 도항동 두존이 함안군수에게 제출한 품보 경자년 7월 11일에 함안군(咸安郡) 우곡면(牛谷面) 도항동(道項洞) 두존(頭尊)이 함안군수에게 올린 품보(稟報)이다. 도항동에 거주하는 안정만(安鼎萬)과 백성문(白性文)이 서로의 논이 접경하고 있어 주수(注水) 문제로 오랜 분쟁이 있었는데 그 사연을 상세히 보고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牛谷面道項洞頭尊爲査報事 卽見本洞居安鼎萬山外抹山居常漢白性文處見辱事 同安民等訴 題敎內 相鬪委折査報向事 該頭尊的只敎是乎所 同安鼎萬畓庫 與白性文畓庫 同接連境 而間有□□ 每年耕作之時 同白性文 漲水則堅防其溝 注入于鼎萬之畓 日旱則每番沮戲 不無其習 而向者相鬪 同安鼎萬 往而注水 則同白性文 望見來到 毆打扶曳 任意爲之 顚倒泥坂 口舌小傷 至於流血之境 而同鼎萬 自訴 公庭 僅到其家 烹狗要治 今則小安 大凡注水之貪心專利 常賤之詬辱毆打 自有法典所係乙仍于 緣由仰稟爲臥乎事右 稟 報行 郡 官庚子 七月 十一日 頭尊 安 [署押]李 [署押]趙 [署押]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