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賣渡證書一. 賣渡代金貳百四拾円也但高敞郡五山面蜂山里 百貳拾番地畓八百四拾參坪(旧參斗落)地價金百拾八円貳錢곳을 右代金으로 永永放賣ᄒᆞ고 登記費는■■賣渡人이 擔當ᄒᆞ기로 ᄒᆞ고 左에 【貳字訂正[印][印]】署名捺印홈大正拾壹年陰壬戌五月拾參日高敞郡五山面蜂山里百七拾番地賣渡人 柳孝熙[印]仝 所 百六拾壹番地保證人 柳忠熙[印]仝郡 仝面 蛛谷里買受人柳永善 殿再 完尺貳石五斗式 的定ᄒᆞ고 小作權을 他人의게 移定 則依本価還退ᄒᆞ기로홈[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賣渡証書右ᄂᆞᆫ 高敞郡雅山面鷄山里六八0番地 畓貳千四百坪 地価金壹百八圓과六八一番地 畓貳百六十坪 地価金拾壹圓七戔과 柴場貳筆 坪을価金四百八拾圓의 決定ᄒᆞ야 永爲賣渡홈再 保存移轉登記費用은 買受人이 全部担當홈大正十二年陰三月二十三日賣渡人 高敞郡雅山面龍溪里金容澈[印]買受人 柳永善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5년 윤행수(尹行秀) 매도증서(賣渡證書) 1 고문서-증빙류-영수증 南昌鎬 尹行秀 南昌鎬信 3顆(적색,원형,1.1cm)大邱地方法院蔚珍出張所印 1課(적색,정방형,2.2×2.2cm)巖 1顆(적색,원형,1.5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265_001 1925년 2월 9일에 윤행수가 남창호로부터 토지를 매입하고 대구지방법원 울진출장소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작성 제출한 매도증서 1925년 2월 9일에 윤행수(尹行秀)가 남창호(南昌鎬)로부터 밭을 매입하고 난 뒤 대구지방법원(大邱地方法院) 울진출장소(蔚珍出張所)에 소유권 이전등기를 신청하기 위해 작성 제출된 문서이다. 일본어로 인출된 용지에 대서인(代書人)이 해당 사항을 기입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매매 부동산의 소재지는 울진군(蔚珍郡) 근남면(近南面) 구산리(九山里) 485번지이고, 지목은 전(田), 면적은 142평(坪)이며, 매매대금은 45원이다. 문서의 위쪽에는 일본정부에서 발행한 수입인지가 2전, 1전짜리 두 개가 붙어있고, 그 위에 남창호의 도장이 날인되어 있다. 붉은색 인주의 장방형 도장 두 개 가운데 상단의 도장은 토지등기부에 등록된 등기번호를 기입한 것인데 번호는 47호이고, 구(區)는 갑구(甲區)이고 순위번호는 2번이다. 여기에서의 갑구는 토지등기부의 양식상 물권의 종류를 구로 나누어 배치한 것인데, 갑구는 소유권, 을구는 지상권과 영소작권, 병구는 지역권, 정구는 선취특권ㆍ질권ㆍ저당권, 무구는 임차권 등으로 정했다가 이후 개정된 토지등기부에는 갑구는 소유권, 을구는 소유권 이외의 권리에 관한 사항을 등록하도록 하였다. 이 등기는 매매로 인한 소유권 이전등기이므로 갑구가 되는 것이다. 그 다음 하단의 장방형 등기제(登記濟) 인은 수부(受附)를 적은 것으로, 수부는 접수의 의미이다. 즉 등기를 접수한 날짜는 대정(大正) 14년 4월 25일이고, 접수번호는 제 1,030호라는 것이다. 그 아래 정방형 도장에는 '대구지방법원 울진출장소인(大邱地方法院蔚珍出張所印)'이 찍혀 있다. 그리고 마지막 좌측 하단에는 이 매도증서를 작성한 사법대서인(司法代書人) 좌구목암(佐口木巖)의 이름과 도장이 날인되어 있다. 사법대서인은 1895년 재판소구성법이 제정 공포되면서 생긴 새로운 직업으로, 변호를 담당하는 경우 대언인(代言人), 서류를 담당하면 대서인이라고 하였다. 주로 토지의 소유권이나 전당권 등을 증명하는 서류를 대신 작성해주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四年乙丑十一月十五日 高時文前明文右明文事段 ▣▣(自己)傳來衿得▣▣耕食是多可 移居次 伏在桂村石亭村前坪 羽字畓六斗落五夜味 負數三十六卜五束㐣 価折錢文二百四十兩 依數捧用是遣 右人前 永永放賣爲去乎 今後若有爻象之端 持此文記憑考事 亦在畓主自筆幼學趙祥亨[着名]證人幼學鄭在元[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伍年丙寅正月二十七日 前明文右明文事段 移買次 不得已 伏在大雅面篤谷坪 疑字畓 肆夜味 陸斗落 所耕二十負庫叱乙 価折錢文肆拾柒兩 右人前 依數捧上是遣 舊文記一丈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是去等 以此文記憑考事畓主宗孫幼學李英泰[着名]證筆幼學金在亮[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七年丙寅十月十一日 前明文右明文事段 傳來田 累年耕食是如可 要用所致 伏在順天黃田下谷內龍林 則字田 太種二斗落 無卜庫 価折錢文七兩 依數捧上爲遣 以新文一丈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是非 則以此文卞呈事自筆田主 幼學趙廷和[着名]訂 幼學趙璜錫[着名](첨지)順天黃田面龍林洞則字位土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武八年甲辰四月十八日 前明文右明文事 自己買得 累年耕食是多可 要用所致 不得已 伏在茂長星洞面秋山村前嶝仙坪 字畓 四斗落 十七夜味 所耕 負 束㐣 價折錢文壹佰貳拾兩 依數捧上是遣右人前以新文一張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 則以此告官卞正事畓主幼學李季玉[着名]證人幼學李聖敏[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武六年甲辰六月十九日 前明文右明文事 要用所致 不得已 伏在五東面於應淸坪 字畓六斗落所耕 負束㐣 價折錢文肆拾兩 依數捧上是遣右人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像之端 則以此新舊文二張憑考事畓主幼學金相憲[着名]證人幼學柳樂基[着名]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五年丙寅十一月十一日 幼學 前明文右明文事 流來畓 累年耕食是如可 要用所致 伏在福下道內竹村前坪 盖字畓 二斗落 一夜味 負數九負八束㐣 價折錢文伍拾伍兩 依數捧上爲遣 本文記並以右門中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相左之端 則以此文記憑考事畓主幼學朴壽鉉[着名]訂筆幼學尹鍾魯[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柒年戊辰三月十三日 幼學金在年前明文右明文事段 矣自己買得畓 伏在於古邑面栗峙坪是如 右處債用錢幷本利參拾貳兩五戈 備報無路 故奉字丁今種一斗三升落只 一㐊每二夜味負數陸負捌束 上过韓奴元才 下过金奴善辰□伏㐣 右債錢報給次 永永成文記放賣爲去乎日後子孫諸族中 若有雜談 則以文記告官卞呈事畓主 申正求[着名]訂筆幼學鄭日柱[着名](배면)此如中若不如意還退奴岩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大韓光武八年甲辰正月二十日 前明文右明文事 惟我茂荊契畓 報債次 不得已伏在五東蜂山村前坪眞井洞 訓字畓十四夜味 十八斗落 所耕五十七負二束庫乙價折錢文柒佰兩爲遣 右人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 則以此文記憑告事此亦中 旧文記中間遺失 故不得出給事畓主幼學柳重凞[着名] 自笔[印]證人幼學金海運[着名]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武八年甲辰四月十五日 宅前明文右明文事 自己買得 累年捧貰是多可 要用所致 不得已 伏在茂長星洞面秋山坪 忠字畓 一斗五升落 所耕五負㐣 價折錢文肆拾捌兩 依數捧用是遣 右前以旧文記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 則以此文憑考事畓主崔議官宅奴云金[着名]證人幼李洛九[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二十一年丙子三月二十九日幼學文東屹前明文右明文爲 要用所致 祖上傳來陳畓是在 栗於面下道可尺村前江过員伏在 桓字起耕 今種三斗落只 負數九卜三束庫果 陳地五斗落只庫乙 價折錢文九兩二戔 依數捧上爲遣 右員前本文記一丈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子孫侄中 如有生謀雜談是去等 此文告官卞正事畓主 申佑必[着名]證同姓姪 萬興[着名]筆 幼學文東奎[着名](배면)嘉慶十四年己巳十二月三十日金弼玉處 桓字三斗五升落只負數十三卜五束㐣 一夜味放賣印(題辭)甲辰十月初四日陳起中 壹斗落段 林德宗處決給後 勿更起事甲辰十月初四日陳起中 壹斗落段林德宗處決給更勿起鬧宜當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貳拾伍年庚辰三月二十二日金萬發處明文右明文事段 矣亦祖先傳來衿得田 要用所致津过點谷 意字兩作幷 皮牟玖斗地只 負數參卜二束 火束田壹斗地只 兩庫乙 價折錢文柒兩依數捧上是遣 右人處永永放賣爲乎矣 本文記段 燒火故 立案中背後爻有爲遣 若有子孫中 雜談是去等 將此文告 官卞正事田主 金光鼎[着名]同生光采[着名]筆幼學白光日[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三十七年壬辰十一月十三日申億福前明文右明文事段 移徙時所用次 自己買得是在 府內南門外伏在 致字田種牟貳拾斗落只貳拾壹負陸束庫良中 價折錢文伍拾伍兩 准數捧上後 還退爲遣 本文記陸張立旨壹張幷以 右人前還給爲去乎 日後子孫族類中 如有雜談是非之弊是去等 將此文記 告官卞正事田主田貴得母朴氏[右手掌]證 金祿福[着名]筆執前別將金重燁[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가사(歌辭) 2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미상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봄철 꽃놀이가 연상되는 내용의 가사(歌辭) 봄철 꽃놀이가 연상되는 내용의 가사(歌辭)이다. '간이 만산홍녹 드른 일 연일 도닷시피'로 시작하는데, 앞부분의 내용이 결락되었다. '춘ᄉᆡᆨ을 자랑노라 ᄉᆡᆨᄉᆡᆨ이 불것는대'와 같이 대체로 세 자 혹은 네 자 단위로 운율을 맞추어 썼다. '천방저 제방저 소코라지고 펑퍼저 넌출거리고 방울저 저 건너 병풍석으로 으르렁 콸콸 흐르는 물' 등의 내용은 「유산가(遊山歌)」로 알려진 가사와 비슷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隆熙四年四月卄二日 許棹前明文右明文事 貴先山 在於鄙山坂道村開興洞立巖嶝 貴山坂在於同面法湫門外牛庄上山坂全局許給 彼此相換 而不可無文憑 故玆成文記 日後若有枝梧之端 以此憑考事山坂主 金毅達[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大韓隆熙四年庚戌 正月初六日 海南郡一道面三公山下所有先山祭后畓 矣美洞王路下四次夜味七升落一夜味 負數八束 中堰坪中堰中二次夜味一斗三升落一夜味 負數四負四束乙㐣七升東邊 金進士畓 南邊 金進士畓西邊 吳宗豆畓 北邊 同人畓一斗三升東邊 宮畓 南邊 金進士畓西邊 金進士畓 北邊 宮畓畓主 幼學 朴章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明治四十四年辛亥陰三月四日 前明文右明文事 傳來買得 累年收稅是多可 勢不得已伏在本郡星洞面蒲洞里中堡坪陰字畓十一斗落肆㽝 所耕四十四負七束廤果 方丑坪善字畓七斗落陸㽝 所耕三十負六束廤果 土造上坪寶字畓三斗落伍㽝 所耕 負 束廤 合畓二十一斗落 價折錢文壹仟參佰伍拾兩 依數捧上是遣以新旧文二張 右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之端 則以此文記憑考事畓主 茂長 靑海面 松山里 成澣修 [印]證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大正元年十二月 日 李承昌前明文右明文事은 自己買得 累年耕食是多可 報債無路 故不得而伏在昌平郡大面社倉里村後坪田子字一斗落二片 卜數二負八束㐣 價折錢文玖円을 右前依數捧上이고 以新文一張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 則以此文記憑考事賣主 社倉里 李鍾湖 [印]買主 李承昌 [印]證主 李驥秀 [印]四標 東 李模善田 南 李憲善山西 李憲善山 北 李驥秀山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