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卷之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都元帥權公梨峙大提碑 嗚呼歴選往古文武全才兢贊中興大業赫赫然爲萬邦之憲者如周之方召唐之郭氏是己若我 穆陵之世都元帥忠莊權公庶幾其人而豐功巍烈昭著耳目雖輿儓婦孺至于今稱誦無窮焉曷不休哉公先自梨峙之捷後奏幸州之績而幸州則勒碑頌功獨於梨峙闕然公之後孫昌燮衋然興歎將謀建立遣其子在箕不佞記之謹按公諱慄字彦愼安東人領議政轍之子也公身頎八尺容貌魁出世篤忠良經術是崇晩登朝籍人皆以黼黻弘猷期之萬曆壬辰邊方騷擾乘我不戒長驅入來擧國劻勷 上曰權慄才可試之拜光州牧使方朝臣視兩南爲死地公獨慷慨受 命單騎甫及州京城己不守 車駕西巡公痛笑曰此非臣子坐待國亡日也遂傳檄傍郡得兵千五百進至全州時敵踰嶺院以窺全湖重峰趙先生約討據錦山之敵公以兵未鍊精移書改期而趙先生己抵錦境敗績殉義公聞之謂姪升慶曰敵必乘勝由梨峙向犯湖南矣爾領一枝軍踰熊峙伏於永貞谷斷其歸路又以同福縣監黃進爲先鋒曰梨峙固敵我必爭之地若不先據難可圖也使趣進而公亦與叅謀諸公繼之遇敵於嶺上奮身直前曰今日之戰有進無退有死無生鏖戰良久黃公中丸而退一軍爲氣沮公挺釰大呼先冒白刃戰士賈勇無不一當百走阪之勢建甁之形崩騰若風雨奔北如羊豕驅之於三十里長谷而數萬之衆擧皆殲盡敵將隆景收拾散卒走永貞谷又爲伏兵所厮殺於是公全勝而點考士卒死者十一人欲索尸夜出軍門檢得將還之際彼衆猝圍公用釰自衛銃丸莫入劒光閃閃便成一大火塊銀缸漸離地盤旋於空中敵大駭曰此神也各自逃竄公設壇祭戰亡將卒使鄭公忠信奏捷于 行在所上大悅以公爲羅州牧使諸將授職有差尋陞全羅監司九月勤王至水原禿城出奇兵以挫敵鋒翌年二月移軍於幸州山城大戰又捷以資恢復之績 天子聞而嘉之差鴻臚寺官宣諭東征將士以謂權家軍與他陣自別儘眞將也經略宋應昌移諮本國另行奬賞曰權慄板蕩忠臣中興名將彼衆亦問其起居此可見公之威名慴伏華夷也 宣廟奬諭前後備至至曰忠勞茂著勇略超世又曰非卿國家何以得至今日噫公之勳庸雖一國之人家尸而戶祝不爲過矣況此梨峙者旌纛之所臨喑啞之所被其凜然之氣如秋霜白日久而不滅則豈使公效忠之地忍廢於荒蕪之中徒爲行路之所指點也哉山高水淸豐碑載屹斯可以勸忠義於千百世之下其將有來讀而墮淚者矣開國四千三百十八年丙戌嘉義大夫司憲府大司憲兼成均館祭酒侍講院贊善 經筵官書筵官德殷宋秉璿撰嘉善大夫前任吏曹參判兼同知 經筵春秋館事光山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大韓光武五年辛丑十一月二十五日 右人前明文右明文事 屢世耕食是多可 移買次 伏在五東沙溪群開坪上字畓 十二斗落果 所耕二十四負果 草場二片 價折錢文壹千貳百兩 依數捧上是遣 以新文一丈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爻象之端 則以此文憑考事畓主幼學柳東善[着名]證參幼學安淵洙[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武伍年辛丑十一月二十七日 前明文右明文事 茂莿稧畓 累年收稅是多可 伏在五東面蜂山里村玆筒而湺坪 七斗落 三夜味 所耕 負 束廤 価折錢文參佰參拾兩 依數捧用是遣 右人前以新文一張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之端 則以此文記憑考事此亦中 旧文記幷付他文 故不得出給事畓主 柳相烈柳重凞證筆 金錫根[着名]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大韓光武六年壬寅正月十日 前明文右明文事段 以要用所致 故自己買得畓 釜項員 嘗字八十九畓 四負九束 卜數合四負九束 二斗落廤 価折錢文佰四十五兩乙 依數捧上是遣 新旧文記永永放賣許給是矣 日後子孫中 如有雜談是去等 以此文記告官卞正事畓主林奴君福[着名]證人林奴乭伊[着名]筆執申奴卜元[着名]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上里面 內巴洞 居 李壽文右謹言 伏以 民之無土徵卜事 已爲洞燭於前日寃訴中是乎所 題敎內 今番甲反査庫之場 全奴芿叱金所有田丁寧 二負九束 移錄向事 稅色 都吏 新稅的只 卽爲依錄是白乎乃 昨年舊稅□二兩六戔五卜 依例減給之意 玆以仰訴爲去乎參商敎是後 此土之卜稅 無至寃徵之地 千萬望良行下向敎事己亥 四月 日【題音】卽刻移錄督捧向事稅色十三日行官 [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행정·사법문서

報告書 第 号本郡民李正祿所納舊稅 至爲三百二十餘兩之多 而渠旣身死 勢且赤立 措劃無處 捉囚其同生弟李興祿 査問其拮据方畧 則亦是赤立 所告內 矣身兄所納稅逋 係是莫急 勢將及今 充刷이살오듸 以若東西丏乞 又無强近之族 而甥侄安道寬 本是饒居 徵納無慮 移捧充刷之外 其無可辦之道 特爲洞燭處分 俾便公私여ᄒᆞ두 上納侍日 是急公錢 有難遺失 收刷不容小緩 爲先査問次 同安道寬 卽爲推捉 則始也 拒逆不待 終焉 公庭質問之場 語甚肆頑 期欲圖免 殆無顧忌이다은 三寸之間 本非疎遠 此民之外 更無問處 而視同秦瘠 小無顧助之義 來待之飭 爲其刷逋 而看作弁髦 乃有肆頑之擧 不念渠母同生之重 而一樣圖免 於法於義 豈容若是 似此悖民 不可尋常置之 故緣由報告ᄒᆞ오니 査照ᄒᆞ시와 同安道寬 捉致 府庭이살고 李正祿所逋錢移徵 俾刷莫重公納케 ᄒᆞ시믈要홈光武 三年 六月 一日咸安郡守 李 [印]視察使 閣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경자년 조선익(趙善益)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趙善益 咸安郡守 官[押]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자년 3월에 장을 맞고 수감된 조선익이 함안군수에게 제출한 소지 경자년 3월에 세전 징수 문제로 수감된 조선익(趙善益)이 함안군수에게 올린 소지(所志)이다. 조선익이 작년에 존동(尊洞)을 맡았을 때 거둬들이지 못한 호결전(戶結錢)을 올해 두존(頭尊)이 며칠 안으로 수납(收納)하겠다는 뜻으로 각 작인에게 전장(傳掌)했다고 한다. 하지만 해당 존동이 끝내 이에 항거하여 공납(公納)이 지체되는 지경에 이르렀고, 가난한 백성이 붙잡혀 수감되는 지경에 이르렀으니 문제를 해결해 달라고 촉구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杖房囚 趙善益右謹言 伏以 民昨年尊洞擧行矣 未收戶結錢 今年頭尊傳掌 不日收納之意 各作人處 錢數一一傳掌 則該尊洞 終是項拒 致此公納愆滯之道 至於貧民捉囚之境 故不勝寃徵 緣由 仰 訴于 明政之下參商敎是後 上項各人處 發牌督捧之地 望良城主 處分 庚子 三月 日行官 [押]後 奴 順牙 十兩九戔 奴 海丁 三兩六卜奴 毛丁 十兩五戔 下小桀得 三兩奴 巨非 十五兩奴 叔每 三兩六分奴 順金 一兩五分【題音】査稟向事卄五日 該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傳令竝谷大峙頭尊竝谷劉召史呈訴據 先山偸塚之鎭海李康齊捉待事良中 墓直全乃辰 以今十三日 捉待之意 納限公庭 而尙不來待 又致此爲之呼訴者 或限後然同全乃辰 今去主人處 星火押上事庚子 七月 十四日行官 [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행정·사법문서

1899년 함안군수(咸安郡守) 보고서(報告書) 1 고문서-첩관통보류-보고서 咸安郡守 視察使 □…□(2.5×2.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9년 6월 1일에 함안군수가 시찰사에게 제출한 보고서 1899년 6월 1일에 함안군수가 시찰사(視察使)에게 세금 수취와 관련하여 올린 보고서이다. 군민(郡民) 이정록(李正祿)이 납부해야 할 구세(舊稅) 320여 냥을 납부하지 않은 채 사망했으므로 그의 동생 이흥록(李興祿), 생질 안도관(安道寬)을 조사하여 받아낼 방법을 찾으려고 하였다. 그들이 거부하고 있으므로 붙잡아 와서 세금을 납부하도록 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3년 강동면(江東面) 모서리(毛西里) 상임(上任) 첩정(牒呈)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上任 辛 慶州郡守 上任[署押] 墨印(5.0×3.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3년 6월 26일에 강동면 모서리 상임 신 아무개가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 1903년 6월 26일에 경주군 강동면(江東面) 모서리(毛西里) 상임(上任) 신(辛) 아무개가 경주군수(慶州郡守)에게 올린 첩정이다. 여러 민폐와 공납(公納) 정봉(停捧) 문제 등에 직면하여 각 동(洞)에서 주민을 이산(離散)하지 않게 하고, 억울하게 횡침 당하지 않게 하며 문제 발생 시 그 전말을 조사하라는 전령(傳令)을 받고 잘 시행하겠다고 보고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江東面毛西里上任爲牒報事 卽到付 傳令內諸件民弊 公錢至八月停退 各其洞稍饒之民 假貸貧者 無使離散 或有寃懲强討之事 另査顚末 一一來訴 敎是故 知委民人處是遣 先卽文報爲臥乎事是良旀 合行牒呈 伏請照驗施行 須至牒呈者右 牒 呈郡 官癸卯 六月 二十六日 上任 辛[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3년 천북면(川北面) 용강리(龍江里) 상임(上任) 첩정(牒呈)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上任 尹 慶州郡守 上任[署押] 墨印(4.9×3.9)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3년 6월 27일에 경주군 천북면 용강리 상임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 1903년 6월 27일에 경주군 천북면(川北面) 용강리(龍江里) 상임(上任)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이다. 결호전(結戶錢)을 8월 보름 이후로 기한을 정해 그때까지 정봉(停捧)하고, 억울한 사라이 있으면 정소(呈訴)하라는 전령(傳令)을 접수하였으니 잘 알아 시행하겠다는 내용이다. 끝부분에 이 첩정을 7월 초1일에 접수했다는 내용이 제사(題辭)로 쓰여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川北面龍江里上任爲牒報事 卽到付 官傳令內 虛標勒懲 僞券盜賣 劃計技債 俾校猾吏 以私幻公結戶錢 八月望後停捧 救荒出義 或有寃懲者 卽爲來訴之意 一一知委於大小民處爲臥乎事是良厼 合行牒呈 伏請照驗施行 須至牒呈者右 牒 呈郡 官癸卯 六月 二十七日 上任 尹[署押]到付七月 初一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경자년 김석용(金石用)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金石用 咸安郡守 官[押]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자년 3월에 장을 맞고 수감된 김석용이 사또에게 제출한 소지 경자년 3월에 장(杖)을 맞고 수감된 김석용(金石用)이 사도주(使道主)에게 제출한 청원서이다. 징세(徵稅) 38냥을 처부(妻父) 한리(韓吏) 등과 분담하여 납부하게 되었으나, 부유한 한씨들은 12냥을 맡고 빈한한 자신이 나머지를 분담하게 되었으니 공정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을 요청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杖房囚 金石用右謹陳情由段 大抵 有無相資 非但族戚而止 隣里亦有相助 而矣身小挾室居生 賣傭保命 一面共知而千萬意外 稱云妻父韓君■公賤 排錄於三十八兩是遣 韓吏擧皆饒足 而不過十二兩式分當者抑何心傷是喩 矣身小有舒力之端 何敢容喙於族戚■■明■■■問■有可當之勢 雖死杖下 無敢發明乙仍于 緣由仰訴爲白去乎參商敎是后 特軫如傷之澤 右戚徵錢 還錄於韓吏 使扉室乞人 復見天日之地爲只爲行下向敎是事使道主 處分庚子 三月 日行官 [押]【題音】翁婿間之不可謀避 吏民間之想不拘布今焉此訴 勢所固然 三十八兩中折半 責納狀民是遣 折半加論諸韓 宜當事初七日公兄都捧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武六年壬寅二月日 前明文右明文事 自己買得 累年耕食是加可 生活無路 不得已 伏在東一上瑞岩村後苧谷坪 來字田二片 二斗落 負數五束四負廤 價折錢文倂以 結価參拾捌兩 依數捧上爲遣 右人前以新旧文二丈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攜貳 持此文記告官卞正印田主寡宅林門宋氏[手掌]證筆幼學朴世凞[着名]證人幼學崔煥一[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大韓光武六年壬寅八月二十一日 右宅前明文右明文事段 數年畊食是多可 勢不得已伏在川南面驛海下坪 始字畓 八斗落 所畊負 束㐣 折価錢文五百兩 依數捧上是遣以新旧文二丈 右宅前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爻象 則以此文記憑考事畓主屠金學烈[着名]證筆 劉洛善[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土地賣買証書土地所在 遠南面梅花里九0九号 田貳斗落一百三十七坪也此代金捌拾貳円也但土地価格을 正正히 領收이고 日後相違가 無토록 成証候也大正九陰正月二十七日賣渡人尹炳極[印]買受人尹行秀證 尹炳玉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