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기해년 박상엽(朴尙燁)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朴尙燁 咸安郡守 官[押] □…□ 3顆(4.0×4.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해년 3월에 박상엽이 세금 납부 문제로 함안군수에게 제출한 청원서 기해년 3월에 함안군 오곡(烏谷)에 사는 박상엽(朴尙燁)이 세금을 납부하는 문제로 함안군수에게 청원하기 위해 제출한 소지이다. 경직(耕織)으로 생활해 오고 있는데, 양사(洋絲)를 직성(織成)하여 세금을 낼 때 직물을 환전하는 방식이 부당하므로 이 문제를 해결해 달라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新大谷 烏谷 化民 朴尙燁右謹言 伏以 民貧寒所致以 耕織資生是乎所 邑邸人洋絲 每一統二十束貿給 而細木二疋式 酌定織給之時 丁酉稅務書記蔡東龜 洋絲四統貿給是乎乃 每一統十六束也 比他洋絲 則四束欠縮而亦言二疋織給 於理不當 無利有害 故不肯織給 同蔡吏言內 以此織成 則當有酬勞 必無貽害云是去乙 不得已受來織成 則乃七疋而已也 隨所織以給矣 萬不意今者 稱以一疋零條 錢七兩出付 舊稅錢屢度出牌 世豈有如許寃抑乎 玆敢緣由仰訴爲去乎參商敎是后 特下處分 俾無付稅寃侵之地 千萬望良行下向敎事城主 處分己亥 三月 日【題音】詳査移牌 更勿侵漁向事卄日都村色行官 [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경자년 박차경(朴且涇)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朴且涇 咸安郡守 官[押]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자년 6월에 박차경이 함안군수에게 제출한 소지 경자년 6월에 박차경(朴且涇)이 함안군수에게 올린 소지(所志)이다. 박차경의 부친은 밀양 사람인데 함안의 본동(本洞)으로 들어와 살면서 생계 때문에 박차경의 모친이 술을 팔아왔다. 그런데 윤가(尹哥)가 모친과 잠통(濽通)하여 도주하자, 부친이 모친을 찾다가 윤가의 동생에게 구타 당해 사경을 헤매고 있으니 윤가의 동생을 붙잡아 처벌하고 모친을 찾아 모자(母子)가 만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朴且涇右謹陳所志事段 小童之父 素以密陽之人 來接本洞 生涯無路 使母賣酒資生是乎所 本洞居名不知尹哥漢 潛通矣母 今月十四日逃走 故矣父搜探去處 則尹哥同生弟溫璧家 二日隱在是如可 逃走他處云云 故小童之父 詰責溫璧次 訪矣母 則同溫璧 毆打矣父 方在死境 故小童緣由 玆敢泣訴于二天父母之下爲白去乎參商敎是后 上項溫璧 發差捉致嚴■後 小童之母 卽爲推給 以爲母子相面之地爲白只爲行下向敎是事使道主 處分庚子 六月 日行官 [押]【題音】作所志者誰 母雖魂行 以子於母 大關風化 其夫所志 從或可矣 錄名其子 □…不可 從當捉致作訴者 而治之是在果大抵尹哥 何等悖戾毆打諭人 □…査嚴治□…卽刻捉待向事卄二日主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오년 안이곤(安以坤) 혼서(婚書) 1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安以坤 査頓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오년 11월 14일에 안이곤이 혼인 상대의 집안에 보내는 혼서 병오년 11월 14일에 안이곤(安以坤)이 혼인 상대인 신부측에 보내는 혼서이다. 사주단자를 적어 보내니 연길(涓吉)로 회신해 달라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惟 至沍尊體動止萬重 仰溯區區 無任之至 親事旣至問年 私家之幸 柱單錄呈 涓吉回示如何餘謹宣 伏惟尊察 謹拜上狀丙午 至月 十四日康津 安以坤 拜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오년 안이곤(安以坤) 혼서(婚書) 2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安以坤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오년 11월 20일에 안이곤이 맏아들과 혼인할 신부측 집안에 보낸 혼서 병오년 11월 20일에 안이곤(安以坤)이 맏아들과 혼인할 신부측에 보낸 혼서이다. 이미 연길(涓吉)을 받았으니 요청에 따라 장제(章製)로 회신한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3년 서면(西面) 도계리(道溪里) 상임(上任) 첩정(牒呈)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上任 河 慶州郡守 上任[署押] 墨印(5.3×4.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3년 6월 24일에 경주군 서면 도계리의 상임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 1903년 6월 24일에 경주군 서면(西面) 도계리(道溪里) 상임(上任)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이다. 각 공전(公錢)은 백성의 사정을 감안하여 8월 보름 이후로 일제히 와서 바치게 하고, 구황에 대해서도 서로 구제하는 뜻을 민인(民人)들에게 잘 알리라는 전령(傳令)을 접수하였으니 잘 알아 시행하겠다는 내용이다. 끝부분에 이 첩정을 7월 초1일에 접수했다는 내용이 제사(題辭)로 쓰여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西面道溪里上任爲牒報事 卽到付 傳令內 諸般民弊 一一洞燭敎是遣 各公錢 特軫民情 以八月望後 一齊來納敎是故 以此知委於大小民處是白遣 救荒一節 至情族戚與面里隣里 同井之誼 相助之意 亦爲知委是乎所 以緣由馳報事 合行 伏請照驗施行 須至牒呈者右 牒 呈郡 官癸卯 六月 二十四日 上任 河[署押]到付七月 初一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기해년 이수문(李壽文)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李壽文 咸安郡守 官[押] □…□ 3顆(4.5×4.2)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해년 4월에 상리면에 사는 이수문이 징세 문제로 군수에게 제출한 청원서 기해년 4월에 상리면(上里面) 내파동(內巴洞) 이수문(李壽文)이 군수에게 청원하기 위해 제출한 소지(所志)이다. 이수문은 무토(無土) 징세 문제로 이미 정소(呈訴)하여 자신의 토지가 아님을 입증받아 이록(移錄)하라는 뎨김을 받았다. 이에 따라 신세(新稅)는 징수되지 않았으나 작년 구세(舊稅)도 감급(減給)해 달라는 뜻으로 이 소지를 제출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十五年辛未三月十五日 高生員宅前明▣(文)右明文事 當此窮節 生活無路故不得已 一南磨斤洞 先山龍尾上至近之地 高生員親山入葬之時山地價折錢文壹百兩 依數▣(捧)上是遣 右宅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子孫之中爻象之端 則以此文記告 官卞正事此亦中 日後之子孫之中 仍爲入葬之意 如是成文事山地宗孫金相錫[着名]證筆朴萬甲[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隆熙元年 丁未 九月 十二日 明文右明文事 要用所致 伏在五西東面 立碑洞 字畓 七斗落 所耕負 束㐣 價折肆佰兩依數捧上是遣 以新舊二張 右前 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貳携之端 以此文記憑考事此亦中 舊文 捧錢後出給事畓主 幼 李鍾九證人 幼 柳鳳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隆熙二年 戊申 正月 初十日 宅前明文右明文事 要用所致 伏在五東面 沙溪村坪 友字畓 七斗落 所耕二十一負㐣 價折錢文壹百肆十兩 依數捧上是遣 右宅前 以新旧二丈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爻象 則以此文記憑考事畓主 閒良 姜氣還[署押]證人 幼 韓致玉[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大韓隆熙三年 己酉 至月 二十八日 尹孝炳前明文右明文事段 以要用所致 淸州西江內二上砧橋前坪閏字畓 六斗落 卜數十九卜四束㐣 價折錢文伍百柒拾伍兩 依數交易捧上是遣 以舊文記一張果新文記一張 右人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是非之端是去等 持此文憑考事畓主 金秉會[印]證筆 尹聖九[左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明治四十三年 庚戌 十一月 一日 鄭大瑱前明文右明文事段 自己買得松田 累年禁養是多可 至于今年 要用所致 伏在西上面 權布後石亭陰麓인바 分界段 自澗以西을 價折錢文壹百兩 依數交易捧上是遣乎 右前以新文記一丈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二說 則以此文記憑考事松田主 鄭守吉[印]證人 鄭洛元[印]里長 鄭炳淳[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明治四十三年庚戌 十一月初十日 前明文右明文事段 以要用所致 伏在柳加面上柳冶洞坪育字畓二斗落 結卜十二負四束七夜味 南川 西姜致順田 北山 東高致化畓 中柳長朴坪拱字畓壹斗落 結卜壹負五束 壹㽝 東川 南李聖允畓 西程仲模畓 北韓達洙畓 價折錢文壹百三十五兩 依數捧上是遣 右人前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子孫中他言 則以此文記憑考事畓主 金興培[印]證人 崔亨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가사(歌辭)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미상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인생에 대한 내용으로 불교 용어를 많이 사용한 가사(歌辭) 인생에 대한 내용으로 불교 용어를 많이 사용한 가사(歌辭)이다. '일시암정 남은 극낙 세게라도'로 시작하는데, 네 자 단위로 운율을 맞추어 썼다. '나무미타불', '시주임네', '불보살임', '석가열에' 등의 불교 용어를 많이 사용하였는데, 70세 늘그막에 인생을 돌아보며 안타까운 심정을 노래한 것이다. 뒷부분의 '아바임젼 샹사리'와 같이 앞뒤 여백에 편지글 서식을 연습한 흔적이 많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일시암정 남은 극낙세게라도 천지〃〃 분한 후에 나무미타불 세상 천지 만물 중에 삼남 회상 이 ᄯᅥ나서 여보시오 시주임네 사람에서 ᄯᅩ 인오다 이 세상에 스온 사람 이ᄂᆡ 말삼 드러보소 불보살임 은덕으로 뉘 덕으로 나와심나 어마임전 사러ᄒᆞ고 아바임전 ᄲᅡ음ᄒᆞ고 제섬임게 불을 ᄒᆞ고 석가열에 제도ᄒᆞ사 인ᄉᆡᆼ일신 탄ᄉᆡᆼᄒᆞ니 ᄒᆞᆫ두살에 철을 몰나 부모은공 아을손가이삼습을 당ᄒᆞ야ᄂᆞᆫ ᄋᆡ옥ᄒᆞ고 고ᄉᆡᆼ살이 부모은공 갑을소양 졀툥ᄒᆞ고 ᄋᆡ달소냐 부모은공 못 다 갑고 무정세월 양류세월원수ᄇᆡᆨ발 달에더이 인간칠십 고ᄅᆡ희라 업든 망연 절오ᄂᆞᆫᄃᆞ 망연드라변ᄒᆞᆯ소냐 이팔청춘 소연드라 늙이망영 웃치마라 눈어두고 귀먹으이망영이라 흉을 보며 구석〃〃 운는 모양 절통ᄒᆞ고 ᄋᆡ달소야새월 새월새월이 여류ᄒᆞ야 도라가ᄂᆞ아바임젼 샹사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경자년 함안군수(咸安郡守) 하첩(下帖) 초(草) 고문서-첩관통보류-첩 咸安郡守 咸安鄕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자년 7월 16일에 함안군수가 향중에 내린 하첩의 전사본 경자년 7월 16일에 咸安郡守가 향중(鄕中)에 내려 준 하첩(下帖)으로, 원본이 아닌 전사본(傳寫本)으로 추정된다. 향교의 직임을 가진 이들이 연달아 정단(呈單)하고 집으로 돌아가버려 향교가 비었으므로 한심하다고 하였다. 이에 5명의 재임(齋任)을 조행(操行)과 문학(文學)을 갖춘 선비로 조속히 추천하라고 유시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行郡守爲帖諭事 校宮 卽尊奉之所 校任 乃崇禮之任也 其所愼重 與他逈別 而日前 因些少事端居然呈單 終有欠於釋疑之地 且釋采至隔 敢不敬其早夜之間乎 所以有還其單 題以喩矣 連次呈單 旋又各歸私室 竟至莫重 校宮空虛無人 事體道理 不覺寒心乙仍于 玆以帖諭 本五齋任 必以有操行文學之士 各別薦望 星火報來 宜當向事照驗施行 須至帖者右下鄕中庚子 七月 十六日帖諭 準此行郡守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