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14년 이술상(李述祥) 혼서(婚書) 2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李述祥 孫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4년 10월 2일에 이술상이 손녀 혼사의 상대방인 손 생원 댁에 보낸 혼서 1914년 10월 2일에 이술상(李述祥)이 손녀 혼사의 상대방 집안인 손(孫) 생원 댁에 보낸 혼서이다. 사주단자를 보내달라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68년 노 춘흥(春興)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孟祚 奴 春興 金孟祚[着名],韓明燮[着名],韓基稷[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8년(고종 5) 9월 20일에 김맹조가 이 생원 댁 노 춘흥에게 토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 계약 문서 1868년(고종 5) 9월 20일에 김맹조(金孟祚)가 이(李) 생원 댁 노 춘흥(春興)에게 토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김맹조가 논 1곳, 밭 2곳을 방매하면서 작성한 문기이나, 전답의 소재지 등에 대해서는 명시되어 있지 않다. 문기 끝부분에 2행에 걸쳐 추기(追記)가 있다. 이는 이 문기가 작성된 이후 매득자가 이를 다시 방매한 내역으로 추정된다. 즉 전(田) 1일경(日耕)은 한명섭(韓明燮)에게, 답 2두반(斗半)은 한기직(韓基稷)에게 방매되었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七年 戊辰 九月 二十日 李生員宅奴春興前 明文右明文事段 吾以撤移次 自己傳來田一臨談知字直五十五田 三卜伍夫 畓二斗半落只廤果 同員田一日耕 四標內 東道路 南林 北崔同旨田 西路 四標分明廤折價錢文貳拾四兩 依數捧來是遣 自今年爲始永永放買爲去乎 日後子孫族類中 若有雜談是去等 持此文記 卞呈事印田主 自筆 金孟祚 [署押]右券中 所在田畓 兩作廤內 田一日耕은 壬子十二月日分 賣去韓明燮名畓二斗半落은 冬年月日分 賣去韓基稷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신년 조길환(曺佶煥)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曺佶煥 査頓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신년 11월 12일에 조길환이 장손과 혼인할 신부 집안에 보낸 혼서 병신년 11월 12일에 조길환(曺佶煥)이 장손 오석(午錫)과 혼인할 신부 집안에 보낸 혼서이다. 누이를 장손의 배필로 허락해준 것에 감사를 표하며, 납폐(納幣)를 행하겠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時維仲冬尊體百福 僕之長孫午錫 年旣長成 未有伉儷 伏蒙尊慈許以 令妹貺室 玆有先人之禮 謹行納幣之儀 不備 伏惟尊照 上狀丙申 十一月 十二日忝親 昌寧后人 曺佶煥 再拜(皮封)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무술년 노만용(盧晩容)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盧晩容 査頓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술년 2월 12일에 노만용이 누이와 혼인할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 무술년 2월 12일에 노만용(盧晩容)이 누이와 혼인할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이다. 연길(涓吉)을 보내니 신랑될 사람의 옷치수를 적어서 보내 달라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尹判書庚午 十一月 初三日 珍原 朴泰璿 謹齊沐 再拜 上書于判書海觀先生座下 小生賤齒今四十九歲矣 早失庭訓 孤露餘生 兼無資益 學不知方 只虛費好光陰 曾如此中夜起思 未嘗不赦然而媿 惕然而惧 噫 又況今日何日 窃聽台監之盛德大節 標準於一世 而四方之士 爭趍下風 小生亦願一供灑掃於門下 以爲觀感興起之地 而自歎鄙分無緣 有得追念 小生之先祖文康公 于忍齋洪公 早有師生之誼 而及洪公入相 先祖已游泮 猶以布衣 不敢躡相門之意對之 則小生之不肖至愚 尤何敢不挨分義 率爾請見於大夫之賢者乎 然仰止一誠 不以謁不謁有懈 而前年以文康遺集重刊之事 往議于東江金公 適路過 台扉 私心悵缺 只效得古人之以過南京 不見劉待制方之過泗州 不見夫子而已也 忽於今者 輒有卑悃之不得不仰稟於 門下者 故玆敢妄通名姓 而布恳焉 僭易之罪 庶幾有客於包荒 度內 而 厚賜指敎耶 何者官制階級也 曾聞文科卒贈以吏曹判書者 兼兩館大提學也 隱逸卒贈以吏曹判書者 兼祭酒贊善也 而或者之論 則曰 文科卒贈 亦兼祭酒贊善 小生之惑滋甚 而難以昧識 一一辨答 設有愚者 一得其奈人之不信何哉 窃念 台監 喬木世臣 已行□□□ 況德尊位崇 則其於 國朝典禮 莫不熟講 而備詳矣 伏望 博考官爵品秩 古今常變之典 昭垂一言之重 則小生先受指迷發□□惠 而又可使多少紛紜 將氷釋 而凍解矣 是豈非大人君子扶世敎之大綱耶 千萬幸甚 支離及此 俟罪涑息 惟祝卽日陽復…□萬福 以慰瞻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16년 이용구(李龍九)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李龍九 孫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6년 10월 13일에 이용구가 재종숙 집안 혼사의 상대방인 손 생원 댁에 보낸 혼서 1908년 10월 13일에 이용구(李龍九)가 재종숙(再從叔) 집안 혼사의 상대방인 손(孫) 생원 댁에 보낸 혼서이다. 연길(涓吉)을 올리니 의제(衣製)를 보내달라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惟 冬令尊體動止萬重 仰慰區區之至 再從叔家親事 仰呈涓吉 敢請衣制 伏惟尊察 謹上狀丙辰 十月 十三日驪州 李龍九 再拜(皮封)謹拜上狀孫 生員 執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18년 문재창(文載昌)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文載昌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8년 2월 7일에 문재창이 혼사 상대 집안에 보내는 혼서 1918년 2월 7일에 문재창(文載昌)이 혼사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이다. 혼인을 허락하여 양가가 인연을 맺게 된 것을 감사하고, 택일하는 데 도달했으니 양가의 경사임을 확인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7년 김도봉(金道奉)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영수증 金道奉 朴相斗 金道奉 1顆(적색,원형,1.2cm)朴相斗 1顆(적색,원형,1.2cm)朴壕箕 1顆(적색,지장)李錤秀 1顆(적색,원형,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7년 음력 11월 27일 김도봉이 박상두에게 안의면 소재 논 1마지기를 매도하면서 작성한 매도증서 1917년 음력 11월 27일 김도봉(金道奉)이 박상두(朴相斗)에게 안의면 소재 논을 매도하면서 작성한 매도증서이다. 매도한 토지는 안의면(安義面) 초동리(草東里)에 있는 공자(拱字) 논 1두락(斗落)이고, 가격은 64원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賣渡証書一. 賣買ノ目的物 左ノ通一. 賣買代金 六拾四円左記物件ヲ 貴殿賣渡シ 代金正ニ領受仕候 然上ハ 自今貴殿ノ御所有ニシテ毫モ 他ヨリ故障等無フラ誓約致候依テ 後日ノ爲メ 賣渡証書如件大正六年 陰十一月 二十七日居昌郡 州尙面 臣基洞 十一番地賣渡人 金道奉[印]咸陽郡 安義面 草東里 百二十五番戶買受人 朴相斗[印]不動産ノ表示土地ノ所在 字号 番号 地目 面積 結數 價格安義面 草東里 拱 畓 一斗落 四負五束 六拾四円長子員保證人 朴壕箕[印]朴錤秀[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雍正捌年庚戌四月 日 趙世周前明文右明文事段 要用所致 外邊衿得耕食爲在府內伏致字田 玖負陸束 種牟時落拾斗落只南过庫 價折錢文貳拾兩 交易捧上爲遣本文記壹丈及立旨壹丈幷以 右人前永永放賣爲乎矣 和會本文記 他田民幷付乙仍 後背爻周■爲去乎 日後良中 子孫族類中 若有雜談是去等 此文記告官卞正事田主 金東仵[着名]證外三寸叔金老同[着名]異姓五寸叔金麗興[着名]筆執 柳就三[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貳拾伍年庚辰十二月二十二日 朴召史前明文右明文爲臥乎事段 矣亦本以此土居生是如可 早失父親 而又遭家禍連仍 棄古土他鄕移徙之計 累于衿得田是在 伏在德新員 雅字九十二□田負數四卜 皮牟田參斗地只庫 價折錢文拾兩 依數交易捧上爲遣 右人前永永放賣爲去乎 若有日後某同生族類中 雜談是去等 將此文記告官卞正事田主金雪云金[着名]田主金重太[着名]證人金晉岩回[着名]筆執趙德琳[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三十六年辛卯三月卄一日 金孟好處明文右明文事段 矣妹夫丁南彩處 自起買得是在 德新員堅字四十八畓 結卜五負八束 時種壹斗落只㐣 要用所致 以右人處 錢文拾柒兩 依數交易捧上爲遣 永永放賣爲去乎日後子孫中 雜談是去等 此文告 官卞正事畓主金斗碩[着名]筆執同生弟斗載[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六年辛酉正月二十六日 幼學朴建中前明文右明文爲 自己買得 幕設山上南邊古路小峴洞南 右人以其親山主脉之故 爲願買之意 価折錢文貳兩 依數交易捧上爲遣 本文背頉後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子孫中 或爲雜談是去等 持此文卞正事柴場主進士李錫謙[着名]證筆幼學朴蓍鉉[着名](배면)嘉慶元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十九年甲戌十月二十五日宗稧僉員前明文 장믓셔젼宗稧畓作人富甲右明文爲 有要用處 元生員處買得是遣 陽川南山面伏在 化字第十內畓 八卜八束八斗落只㐣 價折錢文拾八兩 交易捧上爲遣 永永放賣爲乎矣 本文記段 他田畓幷付乙仍于 後背爻周爲遣 元生員所買元文記壹丈牌子壹丈 越給爲去乎 日後族屬中或有雜談是去等 持此文告官卞正者畓主宗末 舜羽[着名]證人同姓三寸叔長亨筆執同姓八寸兄博羽[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56년 문동흘(文東屹)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申佑必 文東屹 申萬興<着名>文東奎<着名> 寶城郡守之印 7顆(적색, 7×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396_001 1756년(영조32) 3월 29일에 신우필이 유학 문동흘에게 3마지기 논과 묵은 토지 5마지기를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 1756년(영조32) 3월 29일에 신우필(申佑必)이 유학(幼學) 문동흘(文東屹)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 명문이다. 신우필은 긴요하게 쓸 곳이 있어서라고 방매 사유를 적었고, 이 논은 조상으로부터 전래된 진답(陳畓)이라고 소유 경위를 밝혔다. 매물의 소재지는 보성군 율어면(栗於面) 하도(下道) 가척촌(可尺村) 앞 강변원(江邊員)이고 자호는 환자(桓字)이다. 신우필이 선대로부터 전래받을 때는 묵은 논이었는데 자신이 기경(起耕)하여 지금은 3마지기[斗落只]를 파종할 수 있는 면적이고 부수(負數)로는 9복(卜) 3속(束)을 수확할 수 있는 논이라고 하였다. 여기에 묵은땅[陳地] 5마지기를 보태서 전문(錢文) 9냥2전을 받고 본문기(本文記) 1장을 신문기와 함께 문동흘에게 넘겨주며 영구히 방매하였다. 신우필의 조카인 신만흥(申萬興)이 증인으로 참여하였고 문동규(文東奎)가 필집으로 참여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각각 착명하였다. 문서의 배면에는 1809년(순조9) 12월 30일에 김필옥(金弼玉)에게 환자 자호의 논 3말[斗] 5되지기[升落只] 부수로 13복 5속인 논 한 배미[夜味]를 방매하였다고 적혀있다. 이는 문동흘이 이 논을 사서 경작하다가 1809년에 다른 사람에게 위의 묵은땅을 제외하고 환자 자호의 논을 일부 방매하면서 문서의 뒷면에 변동사항을 기재한 것이다. 관련문서로 김필옥이 매입한 문서가 함께 전한다. 문서의 배면에 또 관인(官印)이 3개씩 6개가 찍혀 있고 관의 처분 내용이 두 곳으로 나뉘어 적혀있는데 내용은 거의 일치하고 일시도 같다. 일시는 갑진년 10월 4일에 내린 처분인데 갑진년은 1784년(정조8)으로 추정된다. 묵은땅을 기경한 것 가운데 1마지기는 임덕종(林德宗)에게 처결하여 주니 이후에는 더 이상 문제를 야기하지 말라는 내용이다. 이를 통해 임덕종과 소송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관련문서 가운데 1810년 명문에 본문기와 소지(所志)를 넘겨준다고 하는 내용이 있어 확인할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3년 산내면(山內面) 대현리(大賢里) 상임(上任) 첩정(牒呈)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上任 金 慶州郡守 上任[署押]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3년 6월 25일에 경주군 산내면 대현리 상임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 1903년 6월 25일에 경주군 산내면(山內面) 대현리(大賢里) 상임(上任)이 경주군수에게 올린 첩정이다. 군수(軍需)와 양전(量田) 비용 등의 징수를 8월 보름 이후로 기한을 정해 정봉(停捧)하도록 하는 일을 백성에게 알리고 그 상황을 보고하라는 전령을 접수하였으니 잘 알아 시행하겠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山內面大賢里上任爲牒報事 卽到付傳令內乙用良 軍需也 量費也 諸般所□急於火色 則收刷之節 宜不容少緩 而民情至此 實所不忍 故特以八月望後 寬限停捧事 令辭敎是故 這這知委後 形止馳報爲臥乎事是良厼 合行牒呈 伏請照驗施行 須至牒呈者右 牒 呈府 官癸卯 六月 二十五日 上任 金到付七月 卄一日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