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惟 初寒尊體動止連衛 親事 旣承柱單 涓吉仰呈 衣製錄示 伏望 伏惟尊察 上狀甲寅 十月 初四日驪江 李述祥 再拜(皮封)上狀孫 生員 下執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81년 계문(啓文) 초(抄) 고문서-소차계장류-계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1년 8월에 올린 계본을 발췌하여 옮겨 적은 문서 1881년 8월에 올린 啓本을 발췌하여 전사한 문서이다. 그 내용은 박의진(朴毅鎭)과 부인 조씨(趙氏)가 부모를 모시고 살다가 홍수로부터 부모님을 안전하게 모셨다는 것, 부모님 사후에 여묘살이를 극진히 한 것 등을 예로 들며 부부의 효행을 묘사한 것이다. 그리고 이런 효행을 포양하는 은전을 내려달라는 내용으로 작성한 계본이다. 이 계본은 같은 해 9월 4일에 임금이 예조에 계하한 사실까지 쓰여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毅鎭所居村 則乃峽谷巨川之側也 時方沉黑 咫尺不辨 忽聞有聲 自空中呼毅鎭曰 大水將至 汝於父母何 毅鎭乃驚覺 背負病父 使其妻趙氏 枝護老母挺身出門 莫知所向 適有大電光明 指示前路 十顚九仆 蓳蓳出谷 俄而滿谷狂狼 走沙轉石 一村室屋頹壓無餘 數百人命 俱至渰死 獨毅鎭救其父母 此豈非天感神佑乎 父母俱享耊壽 而每當有疾侍湯祈祝老而靡懈 及丁母憂 哀毁過度 幾至滅性庠墓號泣 已經三霜 後居父憂 一如前喪 噫 此大水救護窮山廬墓 鄕里感歎 一省傳誦 厥惟久矣 而僻在遐陬 尙未闡揚 其爲士林之齎鬱 當如何裁 臣矣身第庸是激減 不避猥越 裹足齊籲於法駕之前爲白去乎 伏乞天地父母 俯垂鑑諒 受命有司 將此朴毅鎭之孝學及其妻趙氏孝列 並施証褒之典 以樹百代之風聲事 伏蒙天恩爲白良結 望良白去乎 詮次善 啓向敎是事 望良白內臥乎事是亦在 謹 啓光緖七年 八月 日踏 啓字光緖七年 九月 初四日啓下 禮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14년 이술상(李述祥) 혼서(婚書) 1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李述祥 孫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4년 10월 4일에 이술상이 집안 혼사의 상대방인 손 생원 댁에 보낸 혼서 1914년 10월 4일에 이술상(李述祥)이 집안 혼사의 상대방 집안인 손(孫) 생원 댁에 보낸 혼서이다. 사주단자를 받고 연길(涓吉)을 올리니 의제(衣製)를 적어 보내달라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물목(物目)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의복과 옷감 등을 나열한 물목 의복과 옷감 등을 한글로 적어 나열한 물목이다. 물목의 용도나 작성목적 등은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물목송회식 져고리 ᄒᆞᆫ감홍회식 져고리 ᄒᆞᆫ감자쥬저고리 ᄒᆞᆫ감세약돗저고리 ᄒᆞᆫ감홍샹 ᄒᆞᆫ감월근 ᄒᆞᆫ단면젼 일좌젼도 일벌분 ᄒᆞᆫ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김첨지댁(金僉知宅) 부조단자(扶助單子) 고문서-치부기록류-부조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김첨지댁(金僉知宅)에 보낸 단자(單子) 부조전문(扶助錢文) 이양(貳兩)을 보낸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교정유사(校正有司) 인명록(人名錄)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영해(寧海) 등 8지역의 향교 교정유사(校正有司)들의 인명록(人名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안장(安葬), 하관(下棺) 등 장례 지내는 절차와 시일, 무덤 위치에 관해 기록한 장택기(葬擇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930년 박태선(朴泰璿) 소지(所志) 초(草)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朴泰璿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0년 11월 3일에 박태선이 판서 해관 선생께 올린 상서 초 1930년 11월 3일에 박태선(朴泰璿)이 올린 상서초(上書草)이다. 판서 해관(海觀) 선생께 올리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집안끼리의 세의(世誼)를 강조하고 자신도 그 문하에 있기를 희망한 적이 있다는 말을 덧붙였다. 학문과 덕업이 뛰어난 분이니 관작과 질품을 널리 상고하여 헤아려 달라는 뜻을 표하고 있다. 해관 선생은 이조판서 및 예조판서를 역임한 윤용구(尹用求)를 지칭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00년 변양섭(卞暘燮)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卞暘燮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0년 1월 22일에 변양섭이 딸의 혼례 상대방 집안에 보낸 혼서 1900년 1월 22일에 변양섭(卞暘燮) 딸의 혼사와 관련하여 상대방 측에 보낸 서신이다. 딸의 혼사가 이미 사주단자를 받았으니 연길을 올린다면서 장제(章製)를 회시해 달라는 내용이다. 사주단자를 받고 신부 측에서 혼례 날짜를 택일하여 보내면, 신랑 측의 옷 품 등을 적어 보내는데 장제를 적어 회신하는 절차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8년 양회을(梁會乙) 증서(證書) 고문서-증빙류-증서 梁會寬 梁會乙 梁會寬 6顆(적색,타원형,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8년 음력 11월 13일에 양회관이 양회을에게 토지 매매에 따른 등기소유권 입수 후 추후 문제가 발생하면 본인이 책임진다는 뜻으로 작성해 준 증서 1948년 음력 11월 13일에 양회관(梁會寬)이 양회을(梁會乙)에게 토지 매매에 따른 소유권 문제로 작성해 준 증서이다. 양회을 소유의 화순군(和順郡) 이양면(梨陽面) 구례리(求禮里)와 연화리(蓮花里) 소재 논 3군데를 정덕봉(鄭德鳳)에게 매도했으나, 이번에 양회관이 정덕봉의 임순임(任順任)으로부터 다시 매수하였다. 하지만 정덕봉이 이전(移轉)해 주지 못한 채 사망했으므로, 연화리 소재 논에 대한 등기소유권을 양회을에게서 양회관이 수입(收入)하였다. 이후 임순임이 이의를 제기하면 본인이 책임지겠다는 의미로 양회관이 이 증서를 작성해 준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임진년 조학원(曺鶴源)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曺鶴源 査頓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670_001 임진년 3월 16일에 조학원이 혼사를 치를 상대 집안인 신부 집에 보낸 혼서 임진년 3월 16일에 조학원(曺鶴源)이 혼사를 치를 상대 집안에 보낸 혼서이다. 혼인 약속을 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하며, 장제(章製)를 올린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証書右証事ᄂᆞᆫ 貴下所有土地 和順郡 梨陽面 求禮里 四九五畓參百五拾六坪과蓮花里 二八番地畓四百八拾六坪과 仝所七九畓參百七拾九坪 右參筆을 蓮花里 鄭德鳳의계 賣渡인□ 今般예 本人이 鄭德鳳의 任順任의계 買收인ᄃᆡ 其時예 鄭德鳳이가 移轉 아니ᄒᆞ고 死亡ᄒᆞᆫ 故二八畓 登記所有權을 貴下계셔 本人이 收入ᄒᆞ으니日後예 任順任이가 如何ᄒᆞᆫ 異議가 有ᄒᆞ면本人이 一切責任을 負擔ᄒᆞ기로 如是成証홈大韓民國 陰戊子 十一月 十三日和順郡 梨陽面 梅亭里 四拾五番地証主 梁會寬 [印]梁會乙氏殿再任順任의 賣渡証書를 貴下예 保管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기축년 김용호(金用浩)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金用浩 査頓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축년 10월 22일에 김용호가 혼사의 상대 집안인 신부 집에 보낸 혼서 기축년 10월 22일에 김용호(金用浩)가 혼사의 상대 집안인 신부 집에 보낸 혼서이다. 연길(涓吉)을 받았으니 옷 치수를 적은 의제(衣製)를 올린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承華翰 感荷益深 仍伏詢過者 寒沍尊體起居候 神衛萬福仰慰且賀 不任之至 第親事 至承涓吉 寒門慶 莫此爲大也 衣製 依敎仰呈耳 餘不備 伏惟尊察 謹拜謝狀上己丑 十月 二十二日善山 金用浩 再拜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