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을축년 이허(李栩)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1805년 이전 李栩 等 3名 任實縣監 [着押] 3顆(6.5×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27_001 을축년 5월에 화민이자 삼계사우의 유사인 이허 등 3인이 임실현감에게 삼계사우의 제사 및 사우운영을 관에서 도와줄 것을 청하는 내용으로 올린 상서. 을축년 5월에 화민(化民)이자 삼계사우(三溪祠宇)의 유사(有司)인 이허(李栩) 등 3인이 임실현감(任實縣監)에게 올린 상서(上書)이다. 삼계사(三溪祠)는 임진왜란의 공신(功臣)인 곽흥무(郭興懋)를 배향한 사우로 이미 100여년전에 세워졌는데 아직까지 관에서 도움을 주지 않고 있다며 서원의 운영을 위하여 본읍의 학정(鶴亭)의 예와 같이 제수를 마련해주고, 유생의 보노를 지급해주는 등의 지원을 해 줄 것을 청하는 내용이다. 이에 대하여 임실현에서는 곽공의 위대한 업적은 잘 알고 있다며 청한대로 잘 헤아려 시행하겠다고 22일에 뎨김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十六年辛未 五月 十三日 金衡允前 明文右明文事段 矣自己買得畓 伏在於浦頭面尺峙家前坪耳字是遣 拘於族事 下邊芳再明連伏 上邊伏在畓二㐋 每二夜味 負數四負三束 今種一斗三升落庫乙 價折錢文拾柒兩伍戔 依數捧上爲遣 本文記幷以 右人前 永永放賣爲去乎 日後某子孫中如有雜談 則此文記 告 官卞呈事畓主 任再孫 [署押]筆 山人 勤慧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34년 김이종(金以鍾)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禹在河 金以鍾 禹在河[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34년(순조 34) 12월 25일에 우재하가 김이종에게 논 2두 3승락을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834년(순조 34) 12월 25일에 우재하(禹在河)가 김이종(金以鍾)에게 논 2두 3승락을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방매자 우재하는 전래된 논을 여러 해 갈아 먹다가 방매한다고 밝혔으나, 방매 사유는 언급하지 않았다. 매매한 토지는 고읍면(古邑面) 내 율치평(栗峙坪)에 있는 봉자답(奉字畓)이며, 2두 3승락지이다. 가격은 전문 60냥이며, 사표(四標) 대신 상변(上邊)과 하변(下邊)의 상황을 묘사해 놓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拾肆年甲午 十二月 二十五日 幼學 金以鍾前 明文右明文事段 矣傳來畓 累年耕食是如可 伏在於古邑面內栗峙坪 奉字丁今種 貳斗三升落只 負數 㐣 上邊申奴 下邊韓奴占德連伏乙 價折錢文陸拾兩 依數捧上爲遣 右人前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子孫中如有雜談是去等 以此文記 卞 呈事畓主 自筆 幼學 禹在河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49년 김재연(金在年)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韓基彦 金在年 韓基彦[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49년(헌종 15) 1월 10일에 한기언이 김재연에게 고읍면 소재 논을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849년(헌종 15) 1월 10일에 한기언(韓基彦)이 김재연(金在年)에게 논을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매한 토지는 방매자 한기언이 스스로 매득한 논으로, 고읍면(古邑面) 율치평(栗峙坪)에 있는 봉자정(奉字丁) 2두 3승락지이다. 값은 전문 50냥이며, 상변과 하변에 누구의 토지가 위치하고 있는지도 밝혀 놓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二十九年己酉 正月 初十日 幼學 金在年前 明文右明文事段 矣自己買得是如 在於古邑面栗峙坪 奉字丁 貳斗參升落只 一㐋每二夜味 上邊孫奴連金 下邊同人連伏 負數九負八束㐣 價折錢文五拾兩 依數捧上爲遣 本文記幷以 右人許 永永放賣爲去乎日後如有雜談是去等 將此告 官憑考事畓主 自筆 幼學 韓基彦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0년 성수면장(聖壽面長) 공문(公文) 2 고문서-첩관통보류-근현대문서 聖壽面長 李奎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0년 7월 31일, 성수면장이 각협의회 회원에게 보낸 면사무소 건축에 관한 공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行郡守爲差定事釋奠祭亞獻官差定爲遣 合下仰照驗施行 須至帖者右下 幼學 蔡東賢光武八年七月 日 準此差定行郡守 帖 [臨陂郡守之章][臨陂郡印] 3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안경수(安景洙)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安景洙 李柱瑢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부 집의 안경수가 신랑 집 이주용에게 신랑의 사주단자를 청하는 혼서 신부 집의 안경수(安景洙)가 보령에 사는 신랑 집의 이주용(李柱瑢)에게 보낸 혼서이다. 혼사가 노 어른[盧丈]의 말씀으로 허혼이 성사되어 기쁘다는 인사와 함께 이에 육례(六禮)에 따라 신랑의 사주(四柱)를 청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寶令 李雅士柱瑢宅入納眞寶宗候狀伏惟仲春尊體動止萬重 溯仰無任 親事盧丈之一言交孚 卽承晟許 幸何如之 玆依六禮 謹行問年之儀 伏惟尊察 謹拜候 上狀廣州安景洙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조부모(祖父母) 장택기(葬擇記)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96_001 조부모(祖父母)의 묘소(墓所)를 택(擇)하여 안장(安葬), 하관(下棺) 등 장례 지내는 절차와 시일, 무덤 위치에 관해 기록한 택일기(擇日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2년 하체(下帖) 1 고문서-첩관통보류-첩 各面 兼官 1顆(4.2×4.3)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2년 2월에 수령이 종두의 시행과 관련하여 사사로운 시술을 금지하는 내용 등으로 각 면에 내린 하체 1902년 2월에 수령이 각 면에 종두(種痘) 시행에 대하여 내린 하체(下帖)이다. 관찰부 훈령과 종계소(種繼所) 조회(照會)의 내용을 요약하고, 이에 의거하여 종두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성책하되 특별히 비두자(鼻痘者)에 대한 사적(私的) 시술을 금한다는 내용이다. 문서의 첫행에 '하체초(下帖草)' 라고 되어 있다. 몇 군데 글자를 수정한 흔적이 있으나 관인이 찍혀 있다. 그리고 작성자를 '행관(行官)' 으로 표기하였으나 압(押)은 되어 있지 않다. 작성연도는 임인년(壬寅年)으로 되어 있으나, 1894년 갑오개혁 때부터 종두 논의가 본격화되었고 이듬해인 1895년에 우두종계소(牛痘種繼所)를 설치한 점으로 보아 1902년임을 알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咸豐拾壹年辛酉 十二月 初七日 幼學 趙榮臣前 明文右明文事段 矣季父襟得畓 累年耕食是如可 移買次 伏在西上面柳席邨前大瓮洞坪張字員 陸斗落只 卜數拾參負伍束㐣 折價錢文柒拾貳兩 依數交易捧上爲遣 舊文記中間幻弄仍于 以新文記 右人處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雜談是去等 以此文記 告 官卞正事畓主 鄭致中 [署押]證人 證保 鄭致默 [署押]筆執 幼學 鄭致憲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勅命孺人李氏贈淑人者光武八年九月 日通訓大夫司僕寺正曺慶三妻 追贈事承 傳[勅命之寶] 1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92년 조성민(曺聖民)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茂長縣監 曺聖民 墨印(16.6×5.6)朱印(6.6×6.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81_001 1792년(정조 16), 무장현(茂長縣)에서 유학(幼學) 조성민(曺聖民, 64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병술년 고류(高瑠) 등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1886] 高瑠 等 31名 沃溝縣監 5顆(6.5×6.8)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술년 5월에 옥구현 유생 고류․문장성․강태주 등 31인이 연명하여 정원동의 효행 포장을 신청한 소지. 병술년 5월에 옥구현(沃溝縣) 유생(儒生) 고류(高瑠), 문장성(文章成), 강태주(姜太周) 등 31인이 연명하여 장면(長面) 오봉(五峰)에 사는 동몽(童蒙) 정원동(鄭元東)의 효행 포장을 신청한 소지(所志)이다. 감영(監營)에 그의 효행 사실을 전해주어 포양(褒揚)의 은전을 받을 수 있게 해 주기를 청하였다. 이에 옥구현감은 그의 행실을 칭찬하며 반드시 널리 그의 행실을 물어 감영에 보고하겠다고 초3일에 뎨김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本縣儒生 高瑠 文章成 姜太周 等謹禀爲夫孝者 百行之原六德之首也 是以魯▣…▣孝之久矣 天之經 地之義也 盛乎斯言也 雖鄭重▣▣商確經傳 至於孝之一字 由來士君子之僅有絶無 而况自十世歲前 至諴極誠乎 長面五峰居童蒙鄭元東卽幼學善根之子也 自孩提之初能知愛親之道▣…▣禀之性 豈曰可學而至哉 年▣▣歲遽當壬▣之酷炎 朝夕糊口 郞是和菜粥飯 而擇其米飯獻諸人毋取其菜飯渠自食之 雖許多月日 進粥進飯之節 一乃其心 以若蒙駭 其於供親之盛 至矣▣矣 及其十一歲其親適徃菜樵泣 而隨之代勞菜樵 其父責之曰 汝姑未成 何可當此乎 欲爲禁止 則俛首跪告曰 爲子者偃然在家使親而行此勞苦乎 採而擔之 惟力是從 又於平日父母或有憂色 則若已有罪待罪親前第於▣和之後 愉色婉容慰悅其心 非特以不失子識論之養志爲上 乃於斯人而見矣 及於十四歲 昨年二月日 其父以商業出他 其母猝以落胎 下血之症 彌月谹痛 方在死境 百般醫藥 萬無回甦 呼泣祝天 願代其身 裂指出血 灌於母口 呼吸始通 仍以得生 果天之所應歟 神之所感歟 盖此九歲時粥飯進獻之誠 十一歲代採樵之節 十四歲侍病裂指之心 皆是天賦之孝 而油然出於本性而然也 氷鯉雪笋割股貢生 其義則一也 而若使斯人 當於其時 則抑可謂同日語者矣 如此卓異之行 耳目所感 不可泯黙 故玆敢仰稟轉報營門 俾蒙褒揚之典 千萬祈恳城 主 前丙戌五月初 日 多士 吳二會 申泰夏 金範龜 進士 文正學 進士 杜詩在 文鳳權 姜錫勳 杜日奎 金尙瑚 田載俶 申泰五 田豊顯 進士 文學凡 杜秉奎 進士 杜喆秀 金錫弼金瑩聲 文東瓛 金秉翊 田益成 姜錫兌 杜鳳奎 文鳴鐸 吳伯會 姜翰周 田東龍 李寅基 高時祥官[署押](題辭)天生一男 神感人頌欽哉其行古亦罕儔 闡揚之▣第當博探轉報向事 初三日[官印] 5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