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全羅道儒生 進士李敬緝等 謹齋沐上書于大宗伯閤下 伏以我 國家四百年崇道學尙忠勳 必以俎豆以享之 芬苾以薦之 道學之院 忠勳之祠 處處相望 自本 曺必有崇報之飭 自本官必有香脯之封 此莫非右文衛道之大關捩也 生等之所居道內任實縣有三溪祠 卽故伴松堂郭先生諱興懋之妥靈所也 粤在顯廟甲辰 道內章甫 刱建于斯 至今爲一百八十年所 而尙闕 官庀香祝之例供 生等以是齎恨 不避猥越 裹足千里 敢將事實 梗槩聚首仰陳 願垂財察焉 盖郭先生 以玄風故家 世襲忠孝自在 童卯誠孝根天 學恭邁人 慨然有志於眞地工夫 從遊鄭松江安牛山諸先生門下 漸染成熟 爲世大儒 事在於師友錄及門生講話中 皆稱以君子若人 至壬辰難 大駕播越於西陲 國勢殆岌 先生聞變雪涕 倡起義旅 設施赴 難扈 駕之義 而送子容赴告于族叔存齋公䞭族兄紅衣將軍再佑 誓以戮力圖浚之義 遂入辭家廟 其告辭略曰 國步艱險 大駕播遷 主辱臣死 在義當然 奉先奉母 付于家兄 辭出廟門 涕淚自零云 卽日趲程 至公州界 賊勢蹂躪 無路前進 還自扶安縣 出沒水路鯨波 達于龍灣 則宣廟壯其忠勇 大加歎賞 卽除軍寺僉正 授卒千人 先生感激 殊恩自分 雪察捍禦 衛護靡日 或懈 規畫方畧 裨益弘多 與天將李提督 討賊于平壤 奮力擊刺 俘獲甚衆 卒致勝捷之功 靖難後宣廟嘉其忠勤 賜錄勳宣武扈 聖二券 命除以 顯陵令 先生以親老辭職歸鄕 結搆小齋嘯咏 其間日聚生徒 討論經義 以終天年 其忠勳也 道學也 儘可爲百世之師表 有文集十餘券 行于世世之士君子 莫不欽仰 建祠之後 公議齊起 若館學通章 嶺湖誦言 曁四長官列邑發文 積成券軸 則其於享祀之需 宜有公庫之計給 而尙此延稽者 非但士林之抑鬱 亦豈非 朝家之一欠典乎 更伏乞 閤下俯察其實蹟後 自本縣除給 儒保備供香幣之意 論理 題下於該邑之地 千萬幸甚行下向敎是事大宗伯閤下 處分壬戌 四月 日進士 李敬緝 丁好三 許 昌 幼學 金達德 高時德 洪千榮 鄭在明 南道寬 李基亨 梁顯綱 進士 李學吾 幼學 趙愼謙 安處心 趙鎭奎幼學 安孝德 進士 邊正容 幼學 金夢榮 梁奭觀 安極魯 進士 丁翼祚 幼學 薛民祖 等堂上[署押](제사)郭公忠義學行可以百世景仰 而非 賜額院宇而官助祭需 其例絶罕 此在本(背題)邑從厚之如何耳 持此題徃還本邑 宜當向事初六日本官[官印] 6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을사년 송대휴(宋大休)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상소 [1845] 宋大休 等 41名 全羅監司 兼使[着押] 3顆(7.6×7.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을사년 12월에 전라도 유생 유학 송대휴 등 41명이 연명하여 전라감사에게 김제군의 사인 나처대의 효행 포장을 청한 상서. 을사년 12월, 전라도 유생(儒生) 유학(幼學) 송대휴(宋大休) 등 41인이 연명하여 전라감사에게 올린 상서(上書)이다. 김제군의 사인(士人) 나처대(羅處大)의 효행을 서술하며 아직 포장받지 못하였으니 포장받도록 해 줄 것을 청한 내용이다. 연명에는 전주 유생 10인, 태인 유생 4인, 금구 유생 3인, 부안 유생 7인, 익산 유생 5인, 고부 유생 3인, 김제 유생 9인이 참여하였다. 이에 대하여 전라감사는 이미 읍(邑)의 보고를 받았으니 헤아려 처분하겠다고 초10일에 뎨김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道內儒生 幼學 宋大▣…巡相閤下 伏以▣…▣不間友之罪也 名譽旣聞有司不擧 有司之責也 而况聖上臨御之下▣…▣幽之典累下 則其在臣民之道得其人 不爲褒揚而以至泯滅乎 道內金堤郡士人羅處義湖南望▣…▣忠孝 以至于其兄羅處大 以行誼已經溫陵參奉繕工奉事之職 則猗歟 美哉 孝行之源源也 斯人也 自少及長 事親奉兄之節 一無違禮 極殫其誠 承順養志 湛樂且恭 朝夕省墓 不避風雪 節祀忌日 則別供盛需 以盡助將之道 平生喫▣…▣兄之家 而兄或有病 則若己痛之 親供藥餌 暫不離側 處已行事 以實爲主 不求聞達 杜門自疎 睦宗族信 鄕黨脩齊之道 自合權經 則其可以一善一藝之士比諸而語哉 且其所居村風不美 疾病之劇 鷄犬不相貸矣 見其惡習 自給鷄犬曰 人之云死 千金髴惜 而况鷄犬乎 以此敎諭 則自後惡習復化 又當荒歲 憫人飢色志切求濟 許刈早稻 賣給農牛 非徒無殍 亦無流離 野老村童誦德歌之曰 當今夫子 其卓異實蹟 於斯可驗 是以鄕薦及道狀 積成券軸 累登於邑報 而尙未蒙揚褒之典 伏願閤下俯察 多士公議 以爲 登庸 千萬幸甚 不勝屛營之至乙巳 十二月 日全州 儒生 宋大休 李疇錫 李志述 徐漢喆 林命福 宋益中 南宮鳳 黃道鎭 姜必成 金尙璞泰仁 權 球 金一彦 宋宅基 金光淵 金溝 金致悅 宋會元 張至德 扶安 金以錝 許 橘 金載運 李世光柳頤性 金命玉 古阜 金維行 崔命泰 金守業 柳載榮 權 賢 益山 李命欽 黃復吉 尹根厚 蘇洙泰金堤 尹世翊 柳養性 李性德 趙成獜 安致啇 吳相績 姜碩彬 黃宗洛 趙永甲 等巡使[署押](題辭)已有邑報量處向事初十[官印] 3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37년 김재연(金在淵)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韓植玟 金在淵 韓植玟[着名]禹在河[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088_001 1837년(헌종 3) 3월 4일에 한식민이 자신에게 전래한 논을 김재연에게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837년(헌종 3) 3월 4일에 한식민(韓植玟)이 김재연(金在淵)에게 유래답(流來畓)을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매한 토지는 고읍면(古邑面) 내 율거석평(栗擧石坪)에 있는 입자정(入字丁) 3두락지와 봉자정(奉字丁)의 8승락지로, 값은 전문 61냥이다. 이 문기에 앞서 1833년에도 한식민이 김재연에게 토지를 방매한 매매명문이 남아 있다. 그 당시에는 고읍면 민치평(岷峙坪)에 있는 밭 5두락지를 방매했는데, 이번에도 동일인 사이에 매매가 이루어졌다는 점을 주목할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十七年丁酉 三月 四日 幼學 金在淵前 明文右明文事段 矣流來畓 伏在於古邑面內栗擧石坪入字丁 今種三斗落只負數六負二束 一㐋 每十一夜味庫果 奉字丁 今種八升落只 一夜味 負數二負六束庫乙 勢不得已 要用所致 價折錢文陸拾壹兩 依數捧上爲遣右人前 永永放賣爲去 日後如有雜談是去等 以此文記 卞正事畓主 自筆 幼學 韓植玟 [署押]證參 幼學 禹在河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52년 김재의(金再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孫榮文 金再宜 孫榮文[着命]李桃文[着命]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2년(철종 3) 2월 6일에 손영문이 김재의에게 논을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852년(철종 3) 2월 6일에 손영문(孫榮文)이 김재의(金再宜)에게 논을 방매하며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매한 토지는 방매자 손영문이 스스로 매득하여 수년간 갈아먹던 곳으로, 계촌(桂村) 신촌평(新村坪)에 있는 논이다. 자호는 사자(師字)이며, 규모는 13복 4속과 추가로 진답(陳畓) 3복이 있다. 값은 전문 42냥이다. 이 문기는 첫 행의 연도 표기에 오류가 있다. 임자년(1852)은 함풍(咸豐) 2년이나 함풍 20년으로 표기되어 있다. 이는 단순 표기상의 오류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咸豐貳拾年壬子 二月 初六日 幼學 金再宜前 明文右明文事段 自己買得 累年耕食是如可 要用所致 伏在桂村新村坪師字畓只 負數拾參卜肆束果 加陳參卜廤 價折錢文四十二兩 依數捧上是遣 右人前永永放賣爲去乎 日后如有爻象是去等 持此文記 告 官卞正事畓主 自筆 孫榮文 [署押]證人 李桃文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이호(李虎) 토지 주소 목록(土地住所目錄)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33_001 임실군 성수면에 거주하는 이호(李虎)의 소유 토지에 대한 부동산 목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이호(李虎) 2필지 지적도(地籍圖) 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33_001 임실군 성수면에 거주하는 이호(李虎)의 소유 토지 부동산 목록에 첨부된 2필지를 전사한 지적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45년 김재연(金在秊)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命煥 金在秊 李命煥[着命]李亨馥[着命]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45년(헌종 11) 10월 11일에 이명환이 김재연에게 고읍면 소재 논 2두락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845년(헌종 11) 10월 11일에 이명환(李命煥)이 김재연(金在秊)에게 논 2두락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매한 토지는 방매자 이명환이 스스로 매득한 논으로, 고읍면(古邑面) 율치산평(栗峙山坪)에 있는 낙자정(樂字丁) 2두락지이다. 값은 전문 40냥이며, 집을 옮기기 위해서 방매한다는 사유를 밝히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貳拾伍秊乙巳 十月 十一日 幼學 金在秊前 明文右明文事段 矣自己買得畓 伏在於古邑面栗峙山坪 樂字丁 時種貳斗落只 二夜味 負數六卜九束㐣 以移舍次 右畓價折錢文肆拾兩 依數捧上爲遣 本文記一丈幷以 右前永永放賣爲去乎日後雜談是去等 以此文 告官卞呈者畓主 幼學 李命煥 [署押]證筆 幼學 李亨馥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조선식산은행(朝鮮殖産銀行) 재고문(再告文) 고문서-서간통고류-근현대문서 株式會社朝鮮殖産銀行 全州支店 李奎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21_001 대출금에 대한 이자 납부에 대하여 통보하는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手標右手標事段 先塚在於南原圓山基洞 而禁養則前後盡是乎矣 李進士世葬之地也 昨年二月良中 進士山入葬於先塚之上 理雖當禁 而自先世已賣之地到今禁葬 體禮不當 故來言恳狀右宅 矜此無依 優惠十五兩錢 故以同山之意 成手標以給 日後子孫中 如有異論是去等 以此標卞正事辛卯二月二十一日 標主 金相壽[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0년 성수면장(聖壽面長) 공문(公文) 1 고문서-첩관통보류-근현대문서 任實郡聖壽面事務所 李奎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0년 4월 12일, 성수면장이 각협의회원에게 보낸 소화5년도 호별할부과협의(戶別割賦課協議)에 관한 공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1년 김상후(金相壽) 수표(手標) 고문서-증빙류-수표 [1891.2.21] 金相壽 李學鎬 手決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48_001 1891년(고종28) 2월 21일에 표주 김상수가 남원부에 사는 이학호에게 자신의 선산에 이진사공의 산소 입장을 허락한다는 내용으로 작성해 준 수표. 1891년(고종28) 2월 21일에 표주(標主) 김상수(金相壽)가 남원부에 사는 이학호(李學鎬)에게 자신의 선산에 이진사공의 산소 입장을 허락한다는 내용으로 작성해 준 수표이다. 자신측의 선대 무덤이 남원(南原) 원산(圓山) 기동(基洞)에 있는 전체 땅인데 이 진사공의 무덤이 입장하였으니 특별히 15냥을 받고 함께 산을 수호하도록 한다는 내용으로 수표을 작성하며 이후 후손들의 이론이 있을 경우 이 수표로써 바름을 가리라고 명시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傳令觀察府訓令內槩 道路橋梁之修治之節 卽一大政 而現今農務稍歇 玆以另飭本郡 境內巨細之道路 大小之橋梁 訓到十日內 倍加功力 一新修補俾無後日岐廉生梗之弊爲旀 了役後 隨卽馳報 以爲別遣摘奸之地爲宜事 亦敎是故 別定汝矣出送 所掌面內治道修橋之節 各別申飭 毋或致責於別摘奸之下爲旀 洞頭民與田夫輩中 如有施頑者 指名馳俾爲嚴懲之地 宜當向事壬寅 八月 日行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00년 임피향교(臨陂鄕校) 강생록(講生錄)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臨陂鄕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0년(고종37) 3월 20일에 전라남도 지도군 고군산에 있는 임피향교에서 작성한 강생록 1900년(고종37) 3월 20일에 전라남도(全羅南道) 지도군(智島郡) 고군산(古群山)에 있는 임피향교(臨陂鄕校)에서 작성한 강생록(講生錄)이다. 강학에 참여하는 유생의 명단을 면리별로 이름을 기록하고 성명 아래에 강학중인 책명을 기록하였다. 가철(假綴)한 필사본으로 79명의 유생(儒生)이 기록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表紙)庚子三月二十日講生錄(內紙)上北面九億里蔡性默 小學初卷李錦來 小學初卷金鍾學 小學初卷康榮哲 小學初卷李龍純 通鑑四卷李導純 通鑑四卷朴瑢黙 通鑑二卷李一煥 孟子五卷韓錫男 通鑑二卷李萬純 通鑑初卷李塾來 通鑑初卷李点純 通鑑初卷吳建泰 通鑑初卷金開東 通鑑初卷北一面晩洞里梁洛冕 小學初卷金國在 小學初卷李昌晩 小學初卷朴甘龍 小學初卷蔡奎鳳 通鑑四卷朴日錄 通鑑三卷蔡奎同 通鑑二卷李鳳烈 通鑑二卷元同林 通鑑二卷元東喜 通鑑二卷柳在錄 通鑑初卷金斗錫 通鑑初卷李固執 千字蔡代成 千字南三面宋良善 小學三卷李龍來 通鑑初卷崔邊山 通鑑初卷西三面梁判玉 小學初卷宋桂輪 小學初卷梁甲男 小學初卷蔡龍奎 小學初卷梁正永 通鑑初卷崔東蔡 孟子初卷東二面崔翼灃 大學金柄昭 大學盧鎭澤 通鑑二卷金判用 通鑑二卷郡內面李判吉 通鑑二卷崔仲巖 通鑑三蔡奎千 通鑑三卷李東錫 通鑑四卷金東建 通鑑三卷李振英 通鑑四卷裵元鍾 通鑑三卷高柄吉 通鑑二卷北一面梁在權 孟子五卷梁利伯 孟子二趙正爀 書傳八趙秉魯 小學三金在彦 小學初金甲信 孟子五金奉烈 孟子三金忠烈 小學初梁相鎭 千字梁甲信 千字南一面白承基 小學初白恒基 小學初北一面梁甘龍 詩傳四趙贊文 小學初杜一辛 小學上北面李香來 孟子六李利馥 通鑑四黃鶴南 小學四李興來 通鑑四黃守萬 通鑑六下北面金時鎭 中庸金猉南 孟子四卷金學鎭 大學河在德 通鑑四卷南二面梁祥植 周易初金始顯 周易初高鍾煥 小學初高金鳳 小學初高東煥 小學初高時亨 小學初(雜記)李用玄 九兩校分納李致長 二兩 自納李幸敏 四兩 校分納李致先 五兩六戔二分 校分納合十八兩六戔五分 內 三兩七戔納在五兩六戔二分已上二十兩六戔二分內 殿直五兩六戔二分 用首奴先用 六兩 殿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2년 전령(傳令) 10 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使[印] 大3顆(4.4×4.3)小1顆(2.3×2.4)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72_001 1902년 8월 21일에 수령이 관찰부의 훈령에 따라 군내 각 도로, 교량에 대한 보수 정비를 실시하라는 내용으로 내린 전령 1902년 8월 21일에 관찰부의 훈령에 따른 군내 각 도로, 교량에 대한 보수 정비를 실시하도록 명령을 전달한 전령이다. 관찰부의 훈령은 지금 농사 현황상 약간의 휴식기에 해당하므로 이때에 정비사업에 적극 임하라는 것으로, 훈령을 접수한 후 열흘 이내에 공력(功力)을 배로 들여 정비하라는 내용이다. 이에 따라 군(郡)에서는 각 면(面)에 정비사업에 대한 절차 등을 내보내고, 동(洞)의 두민(頭民)이나 전부(田夫)가 지시에 따르지 않으면 이름을 명시하여 보고하라고 하였다. 이 전령은 군에서 각 면에 동일한 내용으로 내려보냈을 것이다. 동일 내용의 전령이 여러 점 남아 있는 것은 이 때문이라 하겠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90년 김문영(金文榮) 상소(上疏) 고문서-소차계장류-상소 [1890.04.11.] 金文榮 全羅道觀察使 官[着押] 3顆(9.2×9.3)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49_001 1890년(고종27) 4월에 김문영이 자신의 부친 장례를 방해한 이성회 무리와의 소송으로 억울함을 호소하기 위해 전라도관찰사에게 올린 상소. 1890년(고종27) 4월에 무장(茂長)에 사는 김문영(金文榮)이 자신의 부친 입장과 관련한 산송으로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에게 올린 상소(上疏)이다. 자신이 영광군의 산지에 아버지 시신을 장례 치르다가 영광군의 이성회(李成會) 무리에게 구타를 당하고 산소가 파헤쳐지고 5리 밖으로 시신이 운구된 일에 대하여 원통함을 호소하고 설욕을 청한 내용이다. 이에 대하여 감영에서는 '장례를 치른 사람들이 어찌 스스로 파내겠는가. 이성회를 즉시 잡아와서 엄히 조사하여 보고하라'고 영광군수에게 11일에 뎨김을 내렸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