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65년 조성민(曺聖民)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茂長縣監 曺聖民 墨印(17.0×5.3)朱印(6.8×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81_001 1765년(영조 41), 무장현(茂長縣)에서 유학(幼學) 조성민(曺聖民, 37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임술년 이경집(李敬緝) 등 상서(上書) 1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1802년 이전 李敬緝 等 21名 禮曹判書 官[着押] 6顆(7.7×7.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27_001 임술년 4월에 이경집 등 전라도 유생 21인이 연명하여 삼계사의 배향 공신 곽흥무의 제수를 임실현에서 마련해 주도록 할 것을 예조판서에게 청한 상서. 임술년 4월에 이경집 등 전라도 유생 21인이 연명하여 삼계사의 배향 공신 곽흥무의 제수를 관에서 마련해 줄 것을 예조판서(禮曹判書)에게 청한 상서(上書)이다. 전라도 임실현에 있는 삼계사(三溪祠)는 임진왜란의 공신(功臣)인 곽흥무(郭興懋)를 배향한 사우인데 제수(祭需) 비용을 마련할 길이 없으니 본현(本縣: 임실현)에서 마련해주도록 명해 줄 것을 요청한 내용이다. 이에 대하여 예조에서는 곽공의 충의와 학행은 백세토록 사모하고 우러를 일이지만 사액 받은 원우가 아니라서 관에서 돕는 예(例)가 거의 없다는 것, 이는 본읍(本邑: 임실현)에서 어찌 대하느냐에 달려있으니 이 제사를 가지고 본읍에 가 보라고 초6일에 뎨김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87년 정진문(鄭鎭文)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高宗 鄭鎭文 施命之寶(10.2×10.2)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7년(고종24) 6월에 정진문을 통정대부 돈녕부도정에 임명한 4품 이상 고신. 1887년(고종24) 6월에 정진문(鄭鎭文)을 통정대부(通政大夫)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에 임명한 4품 이상 고신(告身)이다. 통정대부는 문관 정3품 당상의 품계이며 도정은 돈녕부의 정3품 당상관직이다. 그러나 글자가 조악한 점, 연호 중 한 글자와 숫자가 겹치게 찍도록 되어있는 어보(御寶)가 숫자 부분에만 위치하게 찍힌 점 등은 고신 작성 상의 위격(違格)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鄭鎭文爲通政大夫敦寧府都正者光緖十三年六月 日[施命之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임진년 정석인(鄭石仁) 차정첩(差定帖) 고문서-첩관통보류-첩 縣監 鄭石仁 行縣監[着押] 3顆(6.5×6.2)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07_001 임진년 11월에 현감이 한량 정석인을 속오영 파총으로 임명한 차정첩. 임진년 11월에 현감(縣監)이 한량(閑良) 정석인(鄭石仁)을 속오영(束伍營)의 파총(把摠)으로 임명한 차정첩(差定帖)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拾貳年 壬辰 十二月 二十一日 庇仁宗人前 手記右手記事段 藍浦熊川面看入里先山下家垈田庄 旣是宗中之土也自宗中或相買賣 而不可他人買賣者也 或有不肖孫 放賣於他人 則諸宗幷起 呈 官 還推 其所賣之土 而賣之者 則別加討罪事手記主 藍浦宗人 金錫朋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領收証一. 金貳佰圓也但 雅山面 龍溪里 參七七番 畓価中 領收候也大正十三年 陰十二月 二十六日金容澈代理人金容圭 [印]柳永善 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5년 류영선(柳瀅善) 증(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柳瀅善 柳永善 柳瀅善 3顆(적색,타원형,1.2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5년 음력 2월 1일에 류형선이 토지의 명의 이전을 요망하며 류영선에게 써 준 증서 1925년 음력 2월 1일에 류형선(柳瀅善)이 류영선(柳永善)에게 써 준 증서이다. 내용은 고창군(高敞郡) 오산면(五山面) 주곡리(蛛谷里)에 있는 밭 1두락은 금선(金善) 명의로 이전하고, 대전(垈田) 1두락은 윤선(潤善) 명의로 이전해 줄 것을 바란다는 내용이다. 성씨는 생략되었으나 금선, 윤선은 류금선, 류윤선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본 증서의 발급자, 수취자, 내용 중에 나오는 류윤선, 류금선 등의 관계는 분명치 않으나 같은 성씨의 동일한 돌림자를 사용하는 형제 또는 친족관계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証右証은 蛛谷里 前坪 田 壹斗落은 金善名義로 移轉ᄒᆞ여주고 垈田壹斗落은 潤善氏名義로 移轉ᄒᆞ여주을 望홈大正拾四年 陰二月 一日証主 柳瀅善 [印]柳永善 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14년 김인적(金仁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亨祚 金仁積 金翼宇[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14년(순조 14) 11월 8일에 김형조가 김인적에게 논 5두락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814년(순조 14) 11월 8일에 김형조(金亨祚)가 김인적(金仁積)에게 논 5두락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김형조는 이 토지를 조상으로부터 몫으로 받아 여러 해 갈아먹었으나, 이번에 이매(移買)를 목적으로 방매한다고 취득경위와 방매사유를 이 문기에 밝혀 놓았다. 매매한 논은 고읍면(古邑面) 율치평(栗峙坪)에 있는 낙자답(樂字畓)이다. 규모는 3두락, 2두락으로 각각 떨어져 있고 합하여 5두락이 되는 크기이다. 방매자 김형조는 아직 탈상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서압(署押)을 하지 않고 상불착(喪不着)이라는 문구를 써 넣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拾玖年甲戌 十一月 初八日 幼學 金仁積前 明文右明文事段 矣祖上衿得畓是如 伏在於古邑面栗峙坪樂字參斗落只 參夜味㐣果同坪同字貳斗落只 參夜味 合五斗落只 負數 㐣 累年耕食是如可 卽因移買次右畓價折錢文肆拾壹兩 依數捧上爲遣 本文記 丈幷以 右前 永永放賣爲去乎 日後 某同生子孫中 若有雜談是去等 將此文記 告官卞呈事畓主 金亨祚 喪不着證筆 從兄 翼宇 [署押]證 三寸叔 宗燮 喪不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1년 이종남(李鍾南)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李鍾南 柳光錫 李鍾南信 2顆(적색,타원형,1.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1년 음력 10월 15일에 이종남이 우평리 소재 논 6두락에 대한 값으로 300원을 받고 유광석에게 써 준 영수증 1921년 음력 10월 15일에 이종남(李鍾南)이 고창군 주곡리(蛛谷里)에 사는 류광석(柳光錫)에게 써 준 영수증이다. 그 내용은 우평리(牛坪里) 소재 6두락 논에 대한 값으로 300원을 수령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領受証一. 金參百員也但シ 牛坪里 六斗落畓價也右 正ニ 領收候也辛酉 陰十月 十五日 (大正十年 十一月 十四日)領受人 李鍾南 [印]蛛谷里 柳光錫 殿以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06년 김익형(金益亨)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姜之澤 金益亨 姜之澤[着名]金宗浻[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6년(순조 6) 1월 12일에 강지택이 김익형에게 고읍면 사동평 소재 밭 5두락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806년(순조 6) 1월 12일에 강지택(姜之澤)이 김익형(金益亨)에게 밭 5두락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강지택이 방매한 토지는 그가 스스로 매득했던 것으로, 고읍면(古邑面) 사동평(蛇洞坪) 소재 부자전(夫字田) 5두락지이다. 값은 전문 12냥이며, 본문기 3장을 함께 건네주는 것으로 매매계약을 마무리하며 발급한 매매계약 문서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拾壹年丙寅 正月 十二日 幼學 金益亨前 明文右明文事段 自己買得是在 伏在於古邑面蛇洞坪夫字田五斗落只 負數 㐣 甲進連伏奴男金定同人中㐣 價折錢文拾貳兩 依數捧上爲遣 本文記三丈幷以 右人前 永永放賣爲去乎 日後某子孫中 如有雜談是去等 將此文 告 官卞正事田主 自筆 幼學 姜之澤 [署押]證 幼學 金宗浻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34년 김기영(金基永) 가사매매명문(家舍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夢雲 金基永 金夢雲[着名]金中官[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34년(순조 34) 11월 10일에 김몽운이 김기영에게 초가 8칸을 방매하고 대전 1두락지를 환매하기 위해 작성해 준 가사매매명문(家舍賣買明文) 1834년(순조 34) 11월 10일에 김몽운(金夢雲)이 김기영(金基永)에게 작성해 준 가사(家舍) 매매명문으로 초가 8칸을 방매하는 내용이다. 먼저 방매자 김몽운은 여러 해 살아온 가기(家基)를 옮기기 위해 초가 8칸을 15냥을 받고 방매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대전(臺田) 1두락지를 환매(換買)하기 위해 문서를 작성한다고 하였다. 대전을 매득하기 위해 초가를 방매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十四年甲午 十一月 十日 金基永前 明文右明文爲臥乎事段 矣亦家基 累年生居是加可 移次 草家上下八間 折價拾伍兩 依數捧上爲遣 臺田一斗落只 魄字四十田 二負六束㐣 換買次 成文爲去乎 日後若有雜談是去等 持此文記 告 官卞正事家田主 喪人 金夢雲 [署押]證參 六寸 金中官 [署押]筆執 自筆 [署押]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