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904년 조병우(曺秉愚) 칙명(勅命) 2 고문서-교령류-칙명 高宗 曺秉愚 施命之寶(10.6×10.8)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62_001 1904년(광무8) 9월에 조병우를 통훈대부 중추원의관에서 통정대부 승정원비서감승으로 승진임명한 칙명. 1904년(광무8) 9월에 통훈대부(通訓大夫)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인 조병우(曺秉愚)를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承政院) 비서감승(秘書監丞)으로 승진 임명한 칙명(勅命)이다. 통훈대부는 정3품 당하의 품계이며, 통정대부는 정3품 당상의 품계이다. 당시에 사용한 문서형식이 아니라 갑오개혁 이전의 4품이상 고신(告身)의 형식으로 임명내용을 작성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勅命通訓大夫中樞院議官曺秉愚陞通政大夫承政院秘書監丞者光武八年九月 日[勅命之寶] 1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906년 정겸수(鄭謙洙) 등 상언(上言) 고문서-소차계장류-상언 全羅北道 儒生 鄭謙洙 等 26名 全羅北道觀察使 小1顆(2.8×2.9)大3顆(5.1×5.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76_001 1906년(광무 10) 10월, 전라북도 유생 정겸수, 김직술 등 26인이 연명하여 전라북도관찰사에게 무장군의 고 조만승 처 경주 정씨에 대한 효열정려를 요청한 상언. 1906년(광무 10) 10월, 전라북도 유생(儒生) 정겸수(鄭謙洙) 등 26인이 연명하여 전라북도관찰사에게 무장군의 고(故) 조만승(曺萬承) 처(妻) 경주정씨(慶州鄭氏)의 효열정려를 요청한 상언(上言)이다. 경주정씨의 효열 행실을 적어 올리며 포장을 청하기 위해 황제께 계달(啓達)하여 특별히 정려(旌閭)를 내려 포증(褒贈)해 줄 것을 청한 내용이다. 이에 대하여 전라북도관찰사는 '과연 이 문서의 말대로라면 효(孝)와 열(烈)을 겸비한 것이니 매우 흠모할만하나 포장을 청하는 것은 중대한 일이니 물러나 기다리다.'고 15일에 처분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道內儒生鄭謙洙金直述等 百拜上言于巡相閤下 人性之根 莫不有天命 五常之德而全而顯乎行 則三綱之德矣 故人而有三綱之一行顯於世 則必因其顯而公言者 士林之責也 採其士言之公而闡之揚之 棹楔而贈褒者 朝家之晟典也 生等今日之輿論莫非獎善之擧 而若至泯沒之地 則豈非士林之齎菀是旀 抑豈非 朝家之欠典 以致野人之怨曠乎 然則生等不可無一言之公也 大抵本道內茂長故通政曺萬承之妻慶州鄭氏 本以簪纓世族 生而質淳 長於親家之日 受敎於乳母 孝於父母 愛其兄弟姊妹 蔑己加矣 更不可言論也 及其結縭於曺門也 愛親敬長 發於天性也 及其竭誠養舅姑之孝行也 又存心愛族戚之德音 靡所逮及矣 事君子一心純粹 以言乎 貞靜幽閒之懿範 眞可謂有女士之古法也 至於舅姑之喪 倚廬哀毁之儀 初終禮奠 衣棺凡百 極致無憾 則人無間言 族親鄕黨 吊者大悅 則婦人之孝於養生 送死 可謂之大至矣 嗚呼彼蒼者 天使是婦何不降芾祿康福 而使其君子 罹于毒疾 呻吟累月 委臥衾席 百方試藥 一無見效 烈哉 鄭夫人潔澣衣裳 掃灑室堂 至誠致齊 每夜汲井花水 設壇禱天 願以身代 曰以賤女之命 贖君子之命 至于危劇則刲股取血 和服於未飮旣絶之命 能延數日 則此豈非天感攸格耶 及乎奄忽 不能下從者 家無主張 勢且貧窮 乳穉昆季 四無寄托 卽起視事治喪凡節 衣衾棺槨 葬祭儀禮 期圖無憾 撫育遺孤 定師敎導 不墜家聲 則如此婦德於孝於烈 可謂兩全無疑矣 其在扶植綱常 以礪風化 不可含糊泯黙 故玆敢齊聲 仰籲於旬宣孝理之下爲白去乎 細垂察焉 使此偉烈至孝 啓達天朝 特施旌閭褒贈之 聖典 千萬無任祈懇之至光武九年十月 日 請願人 道內儒生 鄭謙洙 金直述 奇景燮 鄭淇朝 崔炳懋 蘇升奎 宋泰浩 李鍾澤 宋元浩 吳喆洙 宋柱浩 曺錫休 姜晋永林相鶴 金亨述 李重基 金永述 鄭海翊 安秉黙 吳基準 朴景輔 安東燮 吳匡烈 張鳳植 劉秉燮 孫秉植 等觀察使 閤下使 [全羅北道觀察使章](題辭)果如狀辭 孝烈兼全 豈不欽艶奏褒體重 退待事十五日[全羅北道印] 3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39년 전재학(田在鶴) 토지 소유권 보존등기 신청서(土地所有權保存登記申請書)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田在鶴 大邱地方法院蔚珍出張所 司法代書人南容克 1顆(적색,정방형,1.3×1.3cm)大邱地方法院蔚珍出張所印 1課(적색,정방형,2.2×2.2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9년 2월 9일에 전재학(田在鶴)이 대구지방법원 울진 출장소(大邱地方法院蔚珍出張所)에 제출한 토지 소유권 보존등기 신청서(土地所有權保存登記申請書) 대상: 울진군 원남면 매화리(蔚珍郡 遠南面 梅花里) 446番地 畓 683坪, 울진군 원남면 매화리(蔚珍郡 遠南面 梅花里) 599番地 畓 176坪 사유: 소유권 이전 참여자: 대서인(代書人) 남용극(南容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4년 노 팔룡(八龍) 수표(手標) 고문서-증빙류-수표 婢 雪梅 奴 八龍 婢 雪梅[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4년 9월 29일에 최씨의 비 설매가 노 팔룡에게 전문 40냥을 대여하고 작성해 준 수표 1914년 9월 29일에 비(婢) 설매(雪梅)가 노(奴) 팔룡(八龍)에게 작성해 준 수표이다. 설매는 최비(崔婢)라고 쓴 것으로 보아 최씨 집안 비이다. 노 팔룡은 조 생원댁(趙生員宅) 전노(前奴)라고 되어 있어 지금은 조 생원댁 노가 아니라는 뜻인 것 같다. 비 설매는 상전인 최씨 댁에서 전문 40냥의 빚을 졌는데, 이자로 콩[太] 2석(石)과 조[粟] 1석 5두(斗)를 해마다 내는 것으로 정한다는 내용으로 이 수표를 제출하였다. 언제까지 대여한다는 기한은 명시되지 않았다. 맨 뒤에 이 수표의 발급자인 비 설매가 이름을 쓰고, 이름 아래에 문기 본문과 약간 다른 필체로 하춘(下春)이라고 써 넣었다. 이것이 설매의 서압으로 보이지는 않으며, 나중에 추가로 써 넣은 것인지 그 의미가 무엇인지 분명하지 않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甲寅九月二十九日 趙生員宅前奴八龍前 手標右手標事段 矣上典宅 要用所致 右宅錢文四拾兩出債爲去乎 別利則代穀太貳石 粟壹石伍斗 合參石伍斗備報之意 年年作定爲去乎 日後若有雜談是去等 持此標記 憑告印貸者 崔婢 雪梅 下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53년 이순창(李順昌)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奴 辛二奉 李順昌 私奴 辛二奉[左寸]私奴 徐世宗[着名]趙連璧[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53년(영조 29) 12월 3일에 사노 신이봉이 상전을 대리하여 이순창에게 전답을 방매하고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753년(영조 29) 12월 3일에 사노(私奴) 신이봉(辛二奉)이 이순창(李順昌)에게 전답을 방매하고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문기 초반부에 '저의 상전댁이 긴히 쓸 곳이 있어서' 라고 방매 사유를 밝힌 데에서 그가 상전을 대리하여 매매계약에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방매한 전답은 포천(抱川) 청량포(淸凉浦) 마전동(麻田洞)에 있는 조자전(吊字田) 1일반경(日半耕)이며, 가격은 전문(錢文) 85냥이다. 사표(四標)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 특이하며, 이 매매문기와 함께 패자(牌子)를 함께 건넨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 패자가 점련되어 있다. 패자는 11월 24일에 상전 이모(李某)가 노(奴) 이봉(二奉)에게 전답의 방매를 당부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5년 조경삼(曺慶三)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茂長縣監 曺慶三 墨印(14.5×4.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95_001 1855년(철종 6), 무장현(茂長縣)에서 유학(幼學) 조경삼(曺慶三, 58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4년 정석인(鄭錫仁)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沃溝縣監 鄭錫仁 1顆(6.6×6.9)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12_001 1864년, 옥구현(沃溝縣)에서 환부(鰥夫) 한량(閑良) 정석인(鄭錫仁, 73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2년 안군일(安君一) 등 수표(手標) 고문서-증빙류-수표 安君一 鄭雲龍 姜學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2년(광무6) 12월 7일에 안군일과 정운룡이 함께 발급하여 강학순에게 받은 돈을 어찌 처분할 것인지 명시한 수표. 1902년(광무6) 12월 7일에 안군일(安君一)과 정운룡(鄭雲龍)이 함께 발급한 수표(手票)이다. 수표의 내용에는 강학순(姜學順)에게 돈을 수대로 받은 뒤에 강(姜) 의관(議官)과 함께 반분할 뜻으로 성표(成標)한다고 적혀 있다. 수표의 수취자는 강학순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十八年癸酉 十二月 初三日 李順昌前 明文右明文事段 矣上典宅 緊用所致 抱川淸凉浦麻田洞伏在 吊字田一日半耕 卜數則三卜七束廤 四標則東路 南路內 作畓三斗落 奴次卜 癸卯放賣印西丁伊畓 北川㐣 右人前 價折錢文捌拾伍兩 依數交易捧上爲遣 永永放賣爲乎矣 本文記段 他田畓幷付乙仍于 不得許給爲遣 牌子一丈及成文一丈 許給爲乎矣 後此或有矣上典主子孫中 幸有雜談 則持此文記 告官卞正者田主 私奴 辛二奉 [左寸]訂人 私奴 徐世宗 [署押]筆執 趙連璧 [署押]奴 二奉處 付無他 以要用所致 伏在於抱川麻田洞吊字田一日半耕 東路 三則同人田 卜數則三卜七束庫乙 願買人處 價折錢文捌十五兩 依數交易納宅是遣 本文記段 他田畓幷付乙仍于 許給不得是乎乃 此牌字導良 永永放賣是去乎 後此上典子孫中 幸有雜談者持此告官卞正事上典 李 [署押]癸酉 十一月 二十四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32년 김기만(金琦萬)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朴采一 金琦萬 朴采一[着名]金仁權[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32년(순조 32) 1월 26일에 박채일이 김기만에게 밭 7두락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832년(순조 32) 1월 26일에 박채일(朴采一)이 김기만(金琦萬)에게 토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박채일은 스스로 매득하여 소유했던 토지를 이매(移買)하기 위하여 방매하게 되었다. 그 토지는 고읍면(古邑面) 사동평(蛇洞坪)에 있는 부자정(婦字丁)의 밭 7두락지로, 값은 전문 7냥 5전으로 책정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拾貳年壬辰 正月 二十六日 金琦萬前 明文右文事段 矣自己買得是在 伏在於古邑蛇洞坪婦字丁今種柒斗落只 負數九負三束庫乙 以移買次 價折錢文柒兩伍戔 依數捧上爲遣 右人前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雜談是去等 以此告 官卞正事田主 朴采一 [署押]訂筆 幼學 金仁權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40년 김재연(金在淵)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2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申希模 金在淵 申希模[着命]金志宅[着命]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40년(헌종 6) 4월 26일에 신희모가 김재연에게 고읍면 소재 논 8승락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840년(헌종 6) 4월 26일에 신희모(申希模)가 김재연(金在淵)에게 논을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매한 논은 신희모에게 전래되어 온 것으로, 고읍면(古邑面) 율치평(栗峙坪)에 있는 영자정(永字丁) 1두 6승락지 중 8승락지이다. 매매한 가격은 전문 16냥이다. 방매사유는 언급하지 않았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