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六十年乙卯 十二月 二十四日 幼學 柳再華前 明文右明文事段 矣自己買得田是在 古邑面 蛇洞坪唱寧時種柒斗落只 負數十三卜六束 南西路 東舍每連伏庫乙 要用所致以 價折錢文捌兩五戔 依數捧上爲遣 本文記三丈幷以 右人前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子孫中 若有雜談是去等 持此文記 告官卞正事田主 幼學 韓基朝 [署押]筆 幼學 金志昊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32년 이장욱(李璋郁)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朴璂洪 李璋郁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087_001 1832년(순조 32) 2월 27일에 유학 박기홍이 유학 이장욱에게 논 4두락지를 방매하며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832년(순조 32) 2월 27일에 유학 박기홍(朴璂洪)이 유학 이장욱(李璋郁)에게 논 4두락지를 방매하며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매한 토지는 고읍면(古邑面) 민치평(岷峙坪) 화자정(和字丁)의 논 4두락지이며, 부수(負數)로는 1부 5속이다. 상‧하변에 무엇이 놓여있는지를 묘사한 것이 사표(四標)를 표기한 것과 유사하다. 값은 전문 60냥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十二年壬辰 二月 二十七日 幼學 李璋郁前 明文右明文事段 矣流來畓是在古邑面岷峙坪和字丁今種肆斗落只 負數一負五束 上邊川 下邊金奴善辰連伏庫乙 以要用所致 不得已 價折錢文陸拾兩 依數捧上爲遣 右人處 永永放賣爲去乎 日後若有雜談是去等 以此文記 卞正事畓主 自筆 幼學 朴璂洪 喪不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44년 김재연(金在年)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璋郁 金在年 李璋郁[着命]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087_001 1844년(헌종 10) 5월에 이장욱이 김재연에게 논 4두락지를 방매하며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844년(헌종 10) 5월에 이장욱(李璋郁)이 김재연(金在年)에게 논 4두락지를 방매하며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매한 토지는 고읍면(古邑面) 민치평(岷峙坪) 화자정(和字丁)의 논 4두락지이며, 부수(負數)로는 1부 5속이다. 값은 전문 36냥이다. 방매자 이장욱은 이 토지를 1832년(순조 32)에 매입하였다. 당시 매입 가격은 전문 60냥이었다. 동일한 토지를 12년 후에 방매하고 있는 것이다. 문기에 구문기 1장을 첨부한다고 밝혔는데, 이는 12년 전에 자신이 매입할 때 받은 매매명문을 가리키는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稟目伏以丙子倡義鰲嚴郭公諱維蕃 故邑先生隱谷申公諱啓澄 故進士芝谷柳公諱組 三先生追配于任實三溪書院事 曾以呈禀而事實槩陳于禀內 則不敢更煩 而禮成日子擇定于今月中亥十二日 故日子玆敢稟告 而且禮成祝文請製于丈席 自是祠院之例也 謹伏請製下三先生祝文 以副士林顒望之意 仰稟丙申 八月 初二日 禮成有司 全州柳錫夏 南原崔漸翼 任實儒生 韓世澤 李基說 崔 珹 韓元瑞 李顯大 宋基濂 尹行斗 金斗淵 沈 㮨 洪昌夏 韓宗赫 柳 煥 李 汲柳道演 宋延英 朴鼎夏 韓弘奎 崔鵬翼 朴必大 沈 枰 李海郁 等(回答)三溪追腏 承縟儀 將擧爲之不勝欽歎 奉安文 豈不欲奉副願 今病在死域 未免虛還來儒歉歎無已 禮成日子不遠 僉賢罔措 可想尤切亦然也丙申八月六日 宋穉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奴天奉處付無他 以要用所致陽川新月伏在 旧政字三卜四束 今萬字三卜九束畓三斗落只庫乙 許汝放賣爲去乎 某人處 準価捧上爲遣本文記一丈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此牌子導良 以爲成文向事上典 李[着名]辛酉正月十五日------------------辛酉 二月 初十日李生員奴天奉年白等奴上典亦 要用所致以 本縣將軍里西新月里伏 旧政字三卜四束時萬字三卜九束畓三斗落只庫乙 狀者高永文處 価折錢文二十兩 依數交易捧上爲白遣上典牌子導良 本文記幷以許給 永永放賣爲白有置 放賣眞僞乙良 訂筆執各人等處 憑問施行敎事官[署押] 白[左寸]------------------同日 黃丁金 年吉自勇 年白等 李生員奴天奉亦 本縣將軍所 新月里伏 旧政字時萬字畓三卜九束三斗落只庫乙狀者高永文處 価折錢文二十兩捧上爲白遣 其矣上典牌字導良 本文記幷以許給 永永放賣 文記成置時 矣徒等 訂筆執隨參的實是白置 相考施行敎事官[署押] 白[左寸]白[左寸]白[着名]------------------…▣隆六年 二月 日 陽川縣立案右立案爲斜給事 狀者所志及文記是置有亦 財主李生員奴天冬及訂筆執各人等進來所報爲置 本文記所納相考爲乎矣 崇禎三年庚午三月初八日 私奴者叱孫處成文畓主故通訓大夫行熙川郡守任妻金氏着圖署筆執子幼學任業着名 文記內政字畓七束同字畓一卜同字畓一卜七束等庫懸付的實 而本文記幷以許給 永永放賣是如是乎等以 依例斜給爲遣 合行立案者行縣監[着名]------------------…▣(崇禎三年庚午)山月初八日 私奴者叱孫處 成文右成文事叱段 要用所致以 買得耕食▣…里伏政字畓七束同字畓一卜同字畓一卜七束▣…綿四疋 依數捧上爲遣 永永放賣爲去乎▣…仍于 許給不得 後次同生子孫等 雜談爲去等▣…田畓主 通訓大夫行故熙川郡守任妻金▣…筆執 子 幼學 任 業▣…[陽川縣監之印] 13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899년 흥학당(興學堂) 하기(下記) 1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興學堂 官[印] 小1顆(2.5×2.5)大27顆(4.1×4.2)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54_001 1899년 1월 작성된 흥학당(興學堂)의 하기(下記) 2월부터 12월까지의 지출 기록에는 향교 제례 비용, 강학을 진행할 때 식사 비용, 흥학당의 기와를 굽는 비용 등이 있음 문서 뒷 부분에는 미봉기(未捧記)를 기재해 두었으며, 마지막에 관인(官印)이 있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2년 영광군수(靈光郡守) 전령(傳令) 4 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靈光郡守 使[印] 大3顆(4.3×4.3)小1顆(2.3×2.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69_001 1902년(고종39) 8월에 영광군수가 관찰부의 지시에 따라 농사가 한가한 때에 도로와 교량을 보수하는데 있어 자신이 맡은 면을 잘 담당하도록 신칙한 전령. 1902년(고종39) 8월에 영광군수가 관찰부(觀察府)의 지시에 따라 농사가 한가한 때에 도로와 교량을 보수하는데 있어 자신이 맡은 면(面)의 일을 잘 담당하도록 신칙한 전령(傳令)이다. 관찰부에서 내린 훈령(訓令)에 도로와 교량을 훈령이 도착한 후 10일 이내로 공력을 더 들여 새롭게 수보(修補)하여 훗날의 폐해가 없도록 하고, 수보가 완료되면 즉시 보고하여 살필 수 있게 하라고 지시한 내용에 따라 너를 차출하니 자신이 관장하는 면(面) 내의 도로와 교량을 고칠 것을 신칙한 내용이다. 마지막에는 두민(頭民)과 전부(田夫) 중에 만약 이 일을 거부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름을 적시하여 보고하라고 덧붙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二十四年甲辰 五月 日 金在年前 明文右明文事段 矣自己買得是在 古邑面岷峙坪和字丁 今種肆斗落只畓 負數一卜五束庫 以要用所致 價折錢文參拾陸兩 依數捧上 旧文記一丈幷以 右人前 永永放賣 日後如有雜談 以此憑考事畓主 自筆 李璋郁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只沙 坊舟巖 化民 李學鎬惶恐伏地 白世或有 意外之變 理外之事 而豈有如龍潭居金箕誠金相壽爲名人無據之事乎 民之以日家垈訟 謂意外之事矣 此外又有意外不測之事 至於陷敗之境捨 民之 父母焉 徃而呼寃乎 民之高祖山禁養 在於本坊基洞 而六十年前買得於金民處 定直守護 松楸鬱密是乎所 去庚寅年分 民之親山葬於禁養餘麓 而階下有一塚 山直云金塚 村人亦云金塚 爲金塚丁寧矣 葬後不幾日 金民一人 果到於民家 以渠之祖父塚 壓腦之致 畧有作梗 而觀其動靜有私和之意 故厚給錢兩 而以日後無事之意 捧手標是白加尼 月前良 千萬意外 上項金民 瞰民之▣事無遑符同其遠族六七人 稱以龍潭居人突入於民之家曰 渠之先塚 在於某麓矣 平磨渠之先塚 用民之親山 凶言臆談 罔有紀極是乎旀 民之親山階下前▣…▣祖山云 塚歸之於他人之塚 此之謂幻父易祖者也 如有一分班名 豈有如許行事乎 民據理而責送矣 俄已金民搆捏凶險之說 試呈於 ▣(前)城主是如可 前城主已燭其奸譎 無賴輩所爲 以懲勵次 四面推尋是乎則 金哥自知曲逃躱而走 故民亦以此由呈訴 則題音內 以理不當事 無據之意 立旨成給▣…▣矣 近日良仄聞 營中所傳同金民百道謀害議送於 巡營 陷民於不測之地 而移囚於龍潭云 是誠何說是乎喩 隨於橫罹之禍 無所控訴 豈不寃▣…▣之說 不必屑屑發明是乎乃 火網所圍 不可含默 故前後實狀 一一仰達 細細 垂察而矜憐焉 民之親山入葬之時 斫伐連抱之松 鑿去盤錯之根 其日葬役浩大矣 一坊一鄕無非都會者 爲觀太學生掌禮之節次坊民鄕士 莫不證看是分叱除良 且金民設若有渠之先塚六十年來連抱之松 豈敢簇立於其塚是乎旀 且山下付近百歲百髮野叟焉 有不知之理乎 金民若有好訟之習 以階下一塚 執言起鬧 或可說也 靑天白日之下 誣陷不測磨塚用山云者 於理當乎否乎 金哥之手標 昭然尙在▣…▣ 伏乞城主父母特 垂河海之 澤 觧此橫罹之火網 以保殘喘 千萬泣祝行下向敎是事城主閤下 處分[只沙][署押](題辭)雖有 巡營之題敎豈無本官之査報乎退竢 而如有來便者縛納事 初五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7년 이규호(李奎鎬) 부동산 목록(不動産目錄)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全州司法書士會 李奎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16_001 1937년 4월, 채권자 조선식산은행(朝鮮殖産銀行)이 이규호(李奎鎬)에게 작성한 변제 증서의 첨부문서로 붙여진 부동산 목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1935년 조선고사연구소(朝鮮古史硏究所) 통고문(通告文) 고문서-서간통고류-근현대문서 朝鮮古史硏究所 代表 朝鮮總督 1顆(2.3×2.4)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5년 3월,조선고사연구소(朝鮮古史硏究所)에서 족보의 기록에 미흡한 점이 있어서 조상의 행적을 보고해 달라는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93년 이학호(李學鎬) 소지(所志) 2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1893.12.05.] 李學鎬 南原府使 官[着押] 3顆(7.0×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48_001 1893년(고종30) 12월에 남원부 지사방에 사는 이학호가 김상수와의 산송으로 남원부사에게 올린 소지. 1893년(고종30) 12월에 남원부 지사방(只沙坊) 주암(舟巖)에 사는 이학호(李學鎬)가 선산 수호를 위해 본관인 남원부에 청원한 소지(所志)이다. 이학호는 자신의 고조 산소가 본방 기동(基洞)에 있고, 60여 년 전에 金氏에게 매득하고 민둥산을 松楸가 鬱密하게 수호하여 庚寅年 아버지를 葬事지냈데 용담에 사는 金箕聲과 金相壽라는 사람이 본인들 조부의 산소가 있는 묘역에 침범했다고 고소하여 그 억울함을 호소하였다. 이에 대하여 남원부사는 '비록 순영(巡營)의 제교(題敎)가 있더라도 어찌 본관이 조사를 하지 않겠느냐며 물러가 기다리라.'고 5일에 뎨김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傳令卽到觀察府訓令內 槩道路橋梁修治之節 卽一大政 而現今農務稍歇 玆以令飭本郡 境內巨細之道路 大小之橋梁 訓到十日內 倍加功力 一新修補俾無後日岐廉生梗之弊爲旀 了役後 隨卽馳報 以爲別遣摘奸之地 爲宜向事 亦敎是故 別定汝矣黜送 所掌面內 治道橋梁之節 各別申飭 毋或致責於別摘奸之下爲旀 洞頭民與田夫輩中 如有恃頑者 指名馳報 俾爲嚴懲之地 宜當向事壬寅 八月兼使 [靈光郡守之章][靈光郡印] 3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병자년 형(兄) 장택기(葬擇記)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90_001 병자년(丙子年)에 형(兄)의 묘소(墓所)를 택(擇)하여 안장(安葬), 하관(下棺) 등 장례 지내는 절차와 시일, 무덤 위치에 관해 기록한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정축년 친모신씨(母親申氏) 장택기(葬擇記)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90_001 정축년(丁丑年)에 모친신씨(母親申氏)의 묘소(墓所)를 택(擇)하여 안장(安葬), 하관(下棺) 등 장례지내는 절차와 시일, 무덤 위치에 관해 기록한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承耑札 伏惟復陽尊體動引萬重 仰慰規規 親事祇承涓吉 實叶願言 衣制依敎錄呈 謹宣 伏惟尊察 謝上狀辛酉十一月十八日務安朴禹洛再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유년 박우락(朴禹洛) 혼서(婚書) 2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朴禹洛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015_001 신유년 11월 1일에 박우락이 신랑의 사주단자를 신부 집에 보내면서 쓴 혼서 신유년 11월 1일에 박우락(朴禹洛)이 신부 집에 보낸 혼서이다. 상대의 안부를 묻고 혼인을 허락해 준 상대방에 대해 감사를 표하고, 혼약을 결정함과 동시에 신랑의 사주단자도 함께 보내면서 작성한 것이다. 강의(剛儀)는 강선지의(剛先之儀)의 준말로, 여기에서는 남녀 간의 혼약(婚約)을 신랑 측에서 완정(完定)하여 선언하는 의례라고 할 수 있는데, 이를 강례(剛禮) 또는 강선지례(剛先之禮)라고도 한다. 대개 두 집안 간에 혼인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청혼(請婚), 허혼(許婚), 강례(剛禮), 연길(涓吉), 납폐(納幣), 친영(親迎) 등의 단계를 거치는데, 이 혼서는 이 가운데 강례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강례를 차릴 때는 사주를 적은 사주단자와 혼서를 함께 보내는 것이 규례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惟南至尊體動引萬重 仰溯規規 親事至承頷可 私家之幸 玆修剛儀 兼呈柱單 從速成禮 伏望謹宣 伏惟尊察 上狀辛酉十一月初吉務安朴禹洛再拜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