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신묘년 친부(親父) 장택기(葬擇記)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93_001 신묘년(辛卯年)에 친부(親父)의 묘소(墓所)를 택(擇)하고 안장(安葬), 하관(下棺) 등 장례 지내는 절차와 시일, 무덤 위치에 관해 기록한 택일기(擇日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2년 전령(傳令) 5 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使[印] 大6顆(4.1×4.3)小1顆(2.5×2.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72_001 1902년 8월 21일에 수령이 관찰부의 훈령에 따라 군내 각 도로, 교량에 대한 보수 정비를 실시하라는 내용으로 내린 전령 1902년 8월 21일에 관찰부의 훈령에 따른 군내 각 도로, 교량에 대한 보수 정비를 실시하도록 명령을 전달한 전령이다. 관찰부의 훈령은 지금 농사 현황상 약간의 휴식기에 해당하므로 이때에 정비사업에 적극 임하라는 것으로, 훈령을 접수한 후 열흘 이내에 공력(功力)을 배로 들여 정비하라는 내용이다. 이에 따라 군(郡)에서는 각 면(面)에 정비사업에 대한 절차 등을 내보내고, 동(洞)의 두민(頭民)이나 전부(田夫)가 지시에 따르지 않으면 이름을 명시하여 보고하라고 하였다. 이 전령은 군에서 각 면에 동일한 내용으로 내려보냈을 것이다. 동일 내용의 전령이 여러 점 남아 있는 것은 이 때문이라 하겠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傳令觀察府訓令內槩 道路橋梁修治之節 卽一大政 而現今農務稍歇以另飭本郡境內巨細之道路 大小之橋梁 訓到十日內 倍加功力 一新修補俾無後日岐廉生梗之弊爲旀 了役後 隨卽馳報 以爲別遣摘奸之地爲宜事 亦敎是故 別定汝矣出送所掌面內治道修橋之節 各別申飭毋或致責於別摘奸之下爲旀 洞頭民與田夫輩中 如有施頑者 指名馳報俾爲嚴懲之地 宜當向事壬寅 八月 日行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기축년 친부(親父) 장택기(葬擇記)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93_001 기축년(己丑年)에 친부(親父)의 묘소(墓所)를 택(擇)하고 안장(安葬), 하관(下棺) 등 장례 지내는 절차와 시일, 무덤 위치에 관해 기록한 택일기(擇日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7년 조경삼(曺慶三)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茂長縣監 曺慶三 墨印(14.8×4.4)朱印(6.5×6.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95_001 1837년(헌종 3), 무장현(茂長縣)에서 유학(幼學) 조경삼(曺慶三, 40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서(上書) 초(草)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綾州儒生某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능주 유생 아무개가 문장에게 올린 상서의 초 능주(綾州) 유생 모(某)가 문장(文丈)에게 올린 상서이다. 작성 시기나 작성자명을 쓰지 않았고, 문장이 누구인지도 밝히지 않은 상서 초(草)이다. 이 글을 올린 능주 유생은 22세의 젊은 선비로, 문장의 도학과 명성을 익히 들어왔으니 자신이 그 문하에서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는 내용으로 쓴 글이다. 문서의 초반부가 대관부(對官府) 문서인 청원문서 중 상서(上書)의 형식과 유사하나 이는 한 유생이 스승으로 모시고 싶은 학자에게 올리는 사적인 청원 글이라 할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綾州儒生某 謹齋沐再拜 上書贄之禮于文丈座下 伏以 天之所生 知之所養 惟人爲大 然人之所以爲大者 不以有耳目口鼻之形體也 不以有渴飮飢食之知覺也 其得於天 而存於心者 有仁義禮智之性 存於心 而應於物者 有三綱五常之道 此人之所以爲人 而靈於萬物者也 但氣稟不齊物欲乘之 則知不能無蔽 行不能無偏 至若祛其蔽 而矯其偏 俾全所受之天而不失 爲人之實者 其惟在於師傅之敎乎 此生三事一之義 所以撑天柱地 亘萬世不易者也 生 生長遐隅 耳目固陋 稟質淺薄 行已無狀 而因循於功 令文字之間者賤 年今且二十有二矣 居家非無父兄之責 讀書非無聖賢之訓而蔽痼已甚 開發甚難 耿耿憂歎 寢食或忘 仍伏念 君子敎人 如良醫下藥 其感化轉移之妙 必有非尋常測度者 則豈可護疾 忌藥不求 扁華之大方乎伏聞 文丈承襲家庭之傳 擔負斯文之責 泰山北斗屹然爲四方之望者 有年于玆 私心喜幸 二爲天生 文丈 將以啓牗斯世也而正後生 小子考德爲仁之日也 於是裹足執鞭 不遠千里 敢附古人從師之行伏願 文丈 矜此墑埴 無歸之人 受以置之於灑掃應對之列 薰蒸誘掖之 使不至禽獸之歸 而庶不負爲人之實 千萬伏祝 謹以咫尺之書 先于將命者 立於屛廡之下 惟俟進退之 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1년 윤행수(尹行秀)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南相成 尹行秀 南相成 7顆(적색,원형,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035_001 1931년 4월 15일에 남상성(南相成)이 윤행수(尹行秀)에게 발급한 매도증서(賣渡證書) 대상: 울진군 원남면 금매리(蔚珍郡 遠南面 金梅里) 663番地 畓333坪 가격: 130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0년 서내홍(徐內洪), 이천영(李千榮)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徐內洪李千榮 柳炳基 徐內洪信 1課(적색,원형,0.7cm)李千榮信 1顆(적색,원형,1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0년 7월 23일에 서내홍, 이천영이 논값을 받고 유병기에게 발급한 영수증 1920년 7월 23일에 서내홍(徐內洪), 이천영(李千榮)이 유병기(柳炳基)에게 발급한 영수증이다. 전라북도 고창군 오산면(五山面) 예지리평(禮智里坪)에 있는 논 7두락에 대한 값으로 200원을 수령했다는 내용이다. 이로 보아 서내홍, 이천영이 이 논을 유병기에게 방매한 것으로 보인다. 또 뒤에 지주(地主)로서 서내홍, 이천영이 이름을 쓰고 서압을 한 것으로 보아 두 사람이 이 토지를 공동 소유했던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3년 조경삼(曺慶三)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茂長縣監 曺慶三 墨印(14.7×4.3)朱印(6.3×6.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95_001 1843년(헌종 9), 무장현(茂長縣)에서 유학(幼學) 조경삼(曺慶三, 46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7년 정정만(鄭正萬)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鄭正萬 沃溝縣監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16_001 1867년에 환부(鰥夫) 한량(閑良) 정정만(鄭正萬, 47세)이 옥구현(沃溝縣)에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3년 정정만(鄭正萬)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鄭正萬 沃溝縣監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16_001 1873년에 환부(鰥夫) 한량(閑良) 정정만(鄭正萬, 53세)이 옥구현(沃溝縣)에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36년 류석하(柳錫夏) 등 품목(稟目)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8.02 柳錫夏 等 23名 丈席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27_001 1836년(헌종 2) 8월 2일에 예성유사 류석하 등 23명이 연명하여 삼계서원의 3선생 추향 건으로 장석에 올린 품목. 1836년(헌종 2) 8월 2일에 예성유사(禮成有司) 류석하(柳錫夏) 등 23명이 연명하여 삼계서원의 3선생 추향 건으로 장석(丈席)에 올린 품목(稟目)이다. 배향일자를 이달 12일로 정하였다며 예식일자를 알리고 예성축문(禮成祝文)은 장석(丈席)에 지어주기를 청하는 것이 사원(祠院)의 예규(例規)라며 3선생 축문을 지어 주시기를 바란다고 청했다. 이에 8월 6일에 송치규(宋穉圭, 1759~1838)는 봉안문을 어찌 짓지 않고 싶겠느냐마는 지금 병으로 죽을 지경이여서 짓지 못하게 되었다며 아쉬움의 답을 별도의 종이에 적어 붙여 돌려주었다. 당시 송치규는 대사헌(大司憲)을 지내고 있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領受証一金貳百円也右金額은 五山禮智里坪柒斗落畓価中 領受候也大正九年 七月 二十三日地主 五山面 南山里 徐乃洪 [印]仁城里 李千榮 [印]柳炳基 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95년 류재화(柳再華)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韓基朝 柳再華 柳再華[着名]金志昊[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95년(정조 19) 12월 24일에 한기조가 류재화에게 고읍면 사동평 소재 밭 7두락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795년(정조 19) 12월 24일에 한기조(韓基朝)가 류재화(柳再華)에게 고읍면(古邑面) 사동평(蛇洞坪)에 있는 밭 7두락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매하는 본 토지의 동, 서, 남방의 지형을 표기하고 있으며, 값은 전문 8냥 5전이다. 본문기 3장을 함께 건네준다는 내용을 덧붙였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