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0년 정종진(鄭鍾辰)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鄭鍾辰 鄭鍾辰信 3顆(적색,원형,1.2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0년 5월 31일에 정종진이 고창군 오산면 예지리에 있는 논 7두락에 대한 소유권과 매도권 등에 대해 밝힌 증서 1920년 5월 31일에 정종진(鄭鍾辰)이 고창군(高敞郡) 오산면(五山面) 예지리(禮智里)에 있는 논 7두락(斗落)에 대한 소유권과 매도 및 매수 후의 처리지침 등을 밝힌 증서이다. 본래 본 토지는 정종진 남매 계(稧)의 공동소유 재산이었으나, 이번에 매도권을 이천영(李千榮)에게 위임했으므로 누구든 매수할 때 의심할 필요가 없다는 내용이다. 그리고 매수할 때 금액의 절반은 이천영에게 주고, 반액은 등기이전할 때 서명 날인한 후 받겠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証高敞郡五山面禮智里前坪七斗落畓土가 惟我男妹稧共同所有닌듸 今次賣渡權을 委任우李千榮許ᄒᆞ니 雖某나도 買受ᄒᆞᄂᆞᆫ 時에ᄂᆞᆫ 勿疑與成니되 半價額은 成文時右李千榮許 出給ᄒᆞ고 半價額은 登記移轉時 署名捺印後 捧上ᄒᆞ기로 成証홈價金與受時 領受証無 則移轉ᄒᆞᄂᆞᆫ듸 無效홈大正九年 五月 三十一日高敞郡 星松面 上金里 四四四 番地証主 鄭鍾辰 [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03년 이운룡(李運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益臣 李運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3년(순조 3) 3월 16일에 이익신이 문계의 논 3두락지를 이운룡에게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803년(순조 3) 3월 16일에 이익신(李益臣)이 문계(門契)의 논 3두락지를 이운룡(李運龍)에게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방매한 토지는 문계가 매득하여 사용하던 것이고 이번에 이매(移買)를 목적으로 방매하게 되었다. 소재지는 정포(定浦)이며, 가격은 전문 63냥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八年癸亥 三月 十六日 幼學李運龍前 明文右文爲事段 門契買得耕食是如可 移買次 伏在定浦無加善洞 之字畓三斗落只 二夜味 負數七卜七束㐣 價折錢文陸拾參兩以 交易依數捧上爲遣 右人前 本文記幷以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契中 如有雜談 즉持此卞正事門契畓主 執綱 自筆 幼學李益臣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33년 김재연(金在淵)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韓植玟 金在淵 韓植玟[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088_001 1833년(순조 33) 3월 12일에 한식민이 김재연에게 밭을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833년(순조 33) 3월 12일에 한식민(韓植玟)이 김재연(金在淵)에게 고읍면(古邑面) 소재 밭 5두락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매한 토지는 방매자 한식민에게 전해오던 밭으로 고읍면(古邑面) 민치평(岷峙坪)에 있다. 그곳 전자정(傳字丁) 10두락지 규모의 토지 중 상변(上邊) 5두락지를 방매하였고, 값은 전문 14냥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02년 전령(傳令) 4 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使[印] 大3顆(4.3×4.3)小1顆(2.5×2.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72_001 1902년 8월 21일에 수령이 관찰부의 훈령에 따라 군내 각 도로, 교량에 대한 보수 정비를 실시하라는 내용으로 내린 전령 1902년 8월 21일에 관찰부의 훈령에 따른 군내 각 도로, 교량에 대한 보수 정비를 실시하도록 명령을 전달한 전령이다. 관찰부의 훈령은 지금 농사 현황상 약간의 휴식기에 해당하므로 이때에 정비사업에 적극 임하라는 것으로, 훈령을 접수한 후 열흘 이내에 공력(功力)을 배로 들여 정비하라는 내용이다. 이에 따라 군(郡)에서는 각 면(面)에 정비사업에 대한 절차 등을 내보내고, 동(洞)의 두민(頭民)이나 전부(田夫)가 지시에 따르지 않으면 이름을 명시하여 보고하라고 하였다. 이 전령은 군에서 각 면에 동일한 내용으로 내려보냈을 것이다. 동일 내용의 전령이 여러 점 남아 있는 것은 이 때문이라 하겠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傳令卽到 觀察府訓令內槩 道路橋梁修治之節 卽一大政 而現今農形稍歇 玆以另飭本郡境內巨細之道路大小之橋梁 訓到十日內 倍加功力 一新修補 俾無後日岐廉生幹之弊爲旀了役後 隨卽馳報 以爲別遣摘奸之地爲宜事 亦敎是故 別定汝矣出送所掌面內治道修橋之節 各別申飭 毋或致責於別摘奸之下爲旀 洞頭民 與田夫輩中 如有恃頑者 指名馳報 俾爲嚴懲之地 宜當向事壬寅 八月 二十一日行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을미년 증조모(曾祖母) 장택기(葬擇記)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90_001 을미년(乙未年)에 증조모(曾祖母)의 묘소(墓所)를 택(擇)하고 안장(安葬), 하관(下棺) 등 장례 지내는 절차와 시일, 무덤 위치에 관해 기록한 택일기(擇日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계유년 박관수(朴寬壽)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朴寬壽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계유년 2월 21일에 박관수가 신랑 집에 사주단자를 써서 보내달라는 혼서 계유년 2월 21일에 박관수(朴寬壽)가 신랑 집에 보낸 혼서이다.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나서 혼인 약속을 이미 받았으니 심부름꾼을 통해 사주단자를 써서 보내달라는 내용이다. 혼서는 남녀 간의 혼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혼주(婚主) 간에 주고받는 편지이다. 경첩(庚帖)은 신랑 될 사람의 태어난 사주(四柱) 곧 연월일시를 이른다. 이를 사성단자(四星單子), 사주단자(四柱單子)라고도 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謹拜狀上[着名]謹封 【朴寬壽】宿飽聲華 尙稽雅分 詹仰何極 伏詢仲春尊體萬相 仰溸仰溸 第親事旣承諾 送伻庚帖書示 如何 餘在續后 不備 伏惟尊照癸酉二月卄一日朴寬壽拜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65년 윤병상(尹炳商) 토지 소유권 이전 등기 신청서(土地所有權移轉登記申請書)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尹炳商 大邱地方法院蔚珍登記所 사법서사남용극인 4課(적색,정방형,2×2cm)대구지방법원울진등기소인 2顆(적색,정방형,3×3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035_001 1965년 6월 30일에 윤병상(尹炳商)이 대구지방법원 울진 등기소(大邱地方法院蔚珍登記所)에 제출한 토지 소유권 이전 등기 신청서(土地所有權移轉登記申請書) 대상: 울진군 원남면 금매리(蔚珍郡 遠南面 金梅里) 663番地 畓333坪, 울진군 원남면 금매리(蔚珍郡 遠南面 金梅里) 666 番地 畓338坪, 울진군 원남면 금매리(蔚珍郡 遠南面 金梅里) 702番地 畓394坪 사유: 소유권 이전 참여자: 대리인(代理人) 사법서사(司法書士) 남용극(南容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0년 안판국(安判局)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安判局 柳永善 安判局 1顆(적색,타원형,1.2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0년 7월 31일에 안판국이 논값을 받고 유영선에게 발급한 영수증 1920년 7월 31일에 고수면(古水面) 황산리(黃山里)에 사는 안판국(安判局)이 유영선(柳永善)에게 발급한 영수증이다. 답가(畓價) 233원을 수령했다는 내용이다. 이로 보아 안판국이 유영선에게 논을 방매하고 그 값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고수면 황산리는 전라북도 고창군에 속한 지역명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肆拾九年甲辰 三月 十八日 再從孫婦 高氏前 明文右明文爲 値此歉歲 要用所致以 自己買得是在 兼於面沙谷村前員伏在 省字畓一斗五升落只 負數九卜一束庫乙 價折四十兩 依數交易捧上爲遣 本文記一丈幷以 右人前 永永放賣爲去乎 日後族屬中 如有生謀雜談是去等 持此文告官卞正事畓主 自筆 幼學 朴烋錫 [署押]訂人 五寸侄 幼學 朴守禧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領受証一金貳百參拾參円也右金額은 畓価中 正ニ 領受候也 大正九年 七月 晦日証主 古水面 黃山里 安判局 [印]柳永善 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84년 고씨(高氏)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朴烋錫 高氏 朴烋錫[着名]朴守禧[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4년(정조 8) 3월 18일에 박휴석이 재종손부 고씨에게 논 1두 5승락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784년(정조 8) 3월 18일에 박휴석(朴烋錫)이 재종손부(再從孫婦) 고씨(高氏)에게 논 1두 5승락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박휴석은 자신이 매득한 이 논을 흉년을 맞아 쓸 데가 있다는 이유로 방매하였다. 이 논은 사곡촌(沙谷村) 앞 들에 있는 성자(省字) 자호의 논으로 면적은 1두 5승락지이고, 값은 40냥이다. 조선시대에는 집안의 재산이 타인에게 가는 것을 꺼려 노비나 토지를 방매할 때 족친 사이에 하는 것을 미덕으로 여겼다. 이 문기에서 토지를 재종손부에게 방매한 것은 이러한 양반의 재산경영에 관한 의식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32년 김재연(金在年)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申景弘 金在年 申景弘[着名]高順億[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32년(순조 32) 11월 17일에 신경홍이 김재연에게 밭 6두락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832년(순조 32) 11월 17일에 신경홍(申景弘)이 김재연(金在年)에게 밭 6두락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매한 토지는 신경홍이 스스로 매득했던 것으로, 고읍면(古邑面) 사동평(蛇洞坪)에 있는 밭이다. 자호는 창자(唱字)이며, 6두락지 규모로 값은 전문 11냥이다. 방매 사유는 이매(移買)라 되어 있는데, 이 곳 토지를 팔고 다른 곳의 토지를 매입할 목적임을 의미한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