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905년 김상일(金商一) 등 상언(上言) 고문서-소차계장류-상언 全羅道 儒生 金商一等 23名 禮曹判書 小1顆(3.4×3.4)大1顆(6.0×6.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76_001 1905년(광무9) 12월, 전라도 유생 김상일 등 23인이 연명하여 예식원 장례경에게 도내 무장군 출신 고 조만승 처 경주정씨에 대한 열녀정려를 내려 줄 것을 청한 상언. 1905년(광무9) 12월, 전라도 유생(儒生) 김상일(金商一) 등 23인이 연명하여 예식원(禮式院) 장례경(掌禮卿)에게 고(故) 조만승(曺萬承)의 처(妻) 경주정씨(慶州鄭氏)에 대한 열녀 정려를 요청한 상언(上言)이다. 이에 대하여 장례원 경은 '이와 같은 부녀자의 덕(德)은 열(烈)과 효(孝)를 모두 온전히 했다고 할 만하고 매우 가상하다. 마땅히 포장을 청하겠다.'고 초7일에 처분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全羅道儒生 奇景燮 鄭淇朝等 謹齊沐百拜上書于禮式院掌禮卿閤下 孝爲百行之源 而有能行者鮮矣 故一有能行之者 則必有士林之公言也 納公言之實 而闡揚棹稧之褒贈之朝家之盛典也 本道內茂長故士印曺慶三 以簪纓世族 天性純孝 曺襲庭訓 文學夙成 克篤六行 家內規範 一以司馬溫公家法爲師 事父母昏定晨省 肅淸有度 甘旨之供志軆之養 固非天出之誠 不能爲是人之行也 家素淸貧 山海之味 勢不得常継 樵山漁水 手足胼胝 不知風雨寒暑 對人談論 恒時父母之養 惟恐不及勤勤枚枚 盡宵戰兢 如臨深履薄 則是皆一日中節於聖賢之戒惧也 父以老患 爲臥呻吟 身未嘗盥櫛衣服 屎尿汚穢 親手除拭 問於醫家 則曰人之將死 糞有變味云 朝朝嘗之 其父必以天年 至于奄忽 裂指湊口回甦 三日之命 終至奄然候息哀毁痛迫 已無可言 初終凡百 朝夕奠禮 一遵晦庵嘉禮 歠粥疎食 亦如聖訓無違 則是皆人子之疎節也 終三年之喪 魚肉不入口 葬其親於二十里外 雖疾風雷兩省墳之行 不廢於朔望 是亦孝子之疎行也 世皆以曺孝子指名矣 服闋後至老死三十餘年 亦終必不忘三年之內 朔望之例 則眞可謂終身慕父母者非耶 鄒聖之言 必稱大舜 豈欺我哉 如此卓然之行 聞者亦莫不有秉彛之心 而不可泯黙 故玆敢仰達于 孝理明庭之下爲白去乎 以此卓然之孝 特爲 啓達于天陛優下恩侑之典 以表旌孝之地 千萬激切 屛營祈懇之至光武九年十一月 日 請願人 道內儒生 奇景燮 鄭淇朝 崔炳懋 蘇升奎 宋泰浩 李鍾澤 宋元浩吳喆洙 曺錫休 姜晋永 林相鶴 金亨述 李重基 金永述鄭海翊 安秉默 鄭鳳鉉 朴景輔 張奉植 劉秉燮 孫炳植 等大宗伯 閣 [掌禮院卿之章](題辭)若是婦德 可謂烈孝兩全 聞甚嘉尙 當奏褒ᄒᆞᆯ事初七日[掌禮院印] 3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6년 조경삼(曺慶三)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茂長縣監 曺慶三 墨印(15.0×4.3)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95_001 1846년(헌종 12), 무장현(茂長縣)에서 유학(幼學) 조경삼(曺慶三, 49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갑신년 처(妻) 장택기(葬擇記)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93_001 갑신년(甲申年)에 처(妻)의 묘소(墓所)를 택(擇)하고 안장(安葬), 하관(下棺) 등 장례 지내는 절차와 시일, 무덤 위치에 관해 기록한 택일기(擇日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인사관계

1946년 양회을(梁會乙) 임명장(任命狀) 고문서-첩관통보류-임명장 梧岡祠儒會所 梁會乙 墨印1顆(6.0×6.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6년 8월에 오강사 유회소에서 양회을을 오강사의 장의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임명장 1946년 8월에 오강사 유회소(梧岡祠儒會所)에서 양회을(梁會乙)을 장의(掌議)로 임명하면서 준 임명장이다. 오강사는 전라남도 곡성군에 있는 사우로, 최익현의 제자인 조우식, 조영선 등 곡성 출신 의사가 을사조약 체결의 무효화를 주장하며 의병을 일으킨 최익현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곳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인사관계

掌議幼學 梁會乙丙戌 八月 日梧岡祠儒會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906년 안성환(安成煥) 서간(書簡) 고문서-소차계장류-소장 安成煥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6년 9월 11일에 안성환이 상대방이 보냈던 소장(疏狀)에 대한 답신 성격으로 보낸 서간 1906년 9월 11일에 안성환(安成煥)이 보낸 편지이다. 수취자가 누구인지는 알 수 없으나, 안성환은 아직 탈상을 하지 않아 자신을 죄제(罪弟)라 쓰고 있다. 올봄 장소(葬所)에서 상대방의 서신을 받았으나 지필(紙筆)을 잡지 못해 답신을 보내지 못했다고 하며, 지금은 궁벽한 산중에서 지내고 있다는 근황을 밝혔다. 상대의 안부를 두루 묻고, 자신의 현재 심경을 전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1년 남상성(南相成)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李炳健 南相成 李炳健信 4顆(적색,원형,1cm)咸興地方法院蔚珍出張所印 2課(적색,정방형,2.2×2.2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035_001 1921년 6월 6일에 이병건(李炳健)이 남상성(南相成)에게 발급한 매도증서(賣渡證書) 대상: 울진군 원남면 금매리(蔚珍郡 遠南面 金梅里) 663番地 畓333坪 가격: 150円 1931년 6월 10일자로 윤행수(尹行秀)에게 소유권이전했다고 기재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6년 정진문(鄭鎭文)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鄭鎭文 沃溝縣監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20_001 1876년에 환부(鰥夫) 한량(閑良) 정진문(鄭鎭文, 50세)이 옥구현(沃溝縣)에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36년 홍남택(洪南宅) 등 품목(稟目)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4.20. 洪南宅 等 16名 任實縣監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27_001 1836년(헌종2) 4월 20일에 임실현 유생인 유학 홍남택 등 16명이 장석에 올리려고 작성한 품목. 1836년(헌종2) 4월 20일에 임실현(任實縣) 유생(儒生)인 유학(幼學) 홍남택(洪南宅) 등 16명이 장석(丈席)에 올린 품목(稟目)이다. 최근 공의(公義)에 따라서 3선생(신계징, 곽유번, 류조)을 추가 배향하고자 함을 알리고 이를 허가해 줄 것을 청하는 내용이다. 이에 종이를 덧붙여 추가로 질문을 작성하였는데, 본읍에 향현(鄕賢)을 추향(追享)하는 절차와 규례가 어떠한지 묻고 잘 알려주기를 청하였다. 미발문서로 보이며 삼계서원에 남아 있을 뿐 누군가에게 올려지거나 처분이 이루어진 흔적이 남아 있지 않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稟目伏以隱谷申先生諱啓澄卽本邑之賢侯也 鰲巖郭先生諱維藩卽丙子倡義之賢也 芝谷柳先生諱組卽辛丑士禍抗疏呌 閽之贒也 三先生道義德行 已悉於邑誌及立言家文字 則不敢煩禀 而至今無腏享之所者 士林之齎恨 積有年矣 際今道通旣發 長官之通繼起 公議旣恊今將追享於本邑三溪書院 而三溪院卽魯齋郭先生諱都伴松堂郭先生諱興懋聽溪堂郭先生諱垕泰妥靈之所也 三先生事實 亦已詳載於國乘及邑誌 則是院之爲道內士林之所素敬慕也亦尙矣 玆以隱谷鰲巖芝谷三先生 追享於三溪書院之意 具由仰稟 恭俟題施丙申四月二十日 任實儒生 幼學 洪南宅 李基說 李靖鎭 宋基濂 李 汲 柳道演 李顯大 尹行斗 沈 枰 宋延英 李海郁 朴鼎夏 吳澤奎 薛萬根 韓 大裕 金祚秀 等(粘連 題辭)謹伏問 邑宰先生 追享於本邑鄕贒祠 節次規例之如何 伏願特蒙俯察之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899년 흥학당(興學堂) 하기(下記) 2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興學堂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54_001 1899년(기해년) 1월 작성된 흥학당(興學堂)의 하기(下記) 2월부터 12월까지의 지출 기록에는 향교 제례 비용, 강학을 진행할 때 식사 비용, 흥학당의 기와를 굽는 비용 등이 있으며 문서 뒷 부분에는 미봉기(未捧記)를 기재해 두었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