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9년 이기만(李起萬)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李起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9년 8월 13일, 사제 이기만이 사돈댁의 어머니 상기(祥期)에 위문하고 안부를 전한 서간. 1929년 8월 13일, 사제(査弟) 이기만(李起萬)이 사돈댁에 상대의 어머니 300일 상을 위문하고 자신이 참석하지 못함을 사죄하고, 약간의 물건을 보낸 뒤, 동생분과 농사걱정 등의 내용을 전한 서간이다. 상례 1주기가 정말 빠르게 흘렀다는 인사를 시작으로, 음력 8월에 어머니 상 중인 형제분의 안부를 묻고 자신은 모시는 어른 그럭저럭 평안하시고 권솔들도 별 일 없다고 안부를 전했다. 주요내용은 상기(祥期)가 다가옴에 대한 위문이다. 예제(禮制)를 따라 몸 상하지 않게 일을 잘 치르시길 바란다고 인사했다. 자신은 마침 일이 있어서 직접 위문가지 못한다며 인정과 예의가 모두 사라질까 걱정이라는 말, 약간의 물건을 올리니 받아주기를 바란다는 것, 상대의 아우님 소식은 종종 듣는지, 5월에 편지가 왔었는데 주소가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그동안 답장을 하지 못했다며 양해해 주기를 바란다는 것, 상대의 농사가 잘 되는지에 대한 물음, 자신 쪽은 날씨가 너무 가물어 이삭이 뽑혀 버린 지 이미 오래라 추수를 바랄 수 없게 되었다는 한탄 등의 내용을 적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김두형(金斗衡)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金斗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심제인 김두형이 기복을 맞은 상대를 위문하고, 문상가지 못한 미안함을 전하며, 자신의 안부와 상대에 대한 궁금한 여러 가지를 묻는 내용으로 보낸 연말 안부 서간. 12월, 심제인(心制人) 김두형(金斗衡)이 상대에게 문상가지 못한 미안함을 전하고, 자신의 상황과 상대에 대한 여러 가지 물음의 내용으로 쓴 연말 안부 위문서간이다. 여러 차례의 편지로 정이 더욱 근실해지니 감사하며, 숨김이 없으시니 그 정서(情緖)를 알겠노라며 군자의 마음 씀씀이가 두터우시다는 인사로 편지를 시작했다. 편지 이후로 며칠이 지났다며 기복(朞服)인 당신은 안녕하신지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산소가 무너진 근심 외에는 별로 실망할 일이 없고, 통곡하여 목소리를 잃었고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고 했다. 부음을 들은 날에 병으로 달려가 곡하지 못하였기에 북쪽으로 바라보며 발상(發喪)하고 3일 성복(成服)하였을 뿐이라며 지금 이 상황을 운수에 맡기자니 처방이 별로 없어 상대의 청(請)에 부응할 수 없어 답답하다고 하였다. 그 외에는 다만 모(某) 생(生)과 모 생 등의 편지에 생년월일시를 적어 알려주면 어떠하냐는 의견, 방학은 언제인지에 대한 물음, 내년 봄에는 어떤 업(業)을 할 것인지에 대한 물음, 새해가 머지않았으니 송구영신의 상황에 복이 무성하기를 바란다는 인사 등의 내용을 적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기우제홀기(祈雨祭笏記) 고문서-치부기록류-홀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우제홀기(祈雨祭笏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73년 삼산단(三山壇) 통문(通文) 초(抄)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三山壇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119_001 1973년 삼산단에서 기정진과 정의림 이후 인산재 배현기를 추배하기 위하여 사림의 동의를 구하고자 작성한 통문 초. 1973년 삼산단(三山壇)에서 기정진과 정의림 이후 인산재(仁山齋) 배현기(裵玄基)를 추배하기 위하여 사림의 동의를 구하고자 작성한 통문을 베껴 놓은 문건이다. 배현기(裵玄基, 1881~1954)의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사원(士遠), 호는 인산재(仁山齋)이다. 충간공(忠簡公) 배문우(裵文祐)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의당(義堂) 배상룡(裵相龍)이다. 일신재(日新齋) 정의림(鄭義林)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과 월파(月坡) 정시림(鄭時林)의 문하에도 출입하여 본원을 탐구하고 성명(性命)을 연구하여 성리학에 정밀하였다. 정사를 신축하고 날마다 후학들과 의리를 강마하고, 삼산사(三山祠)를 건립하여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과 일신재 정의림 두 선생을 제사 지냈다. 문집으로 『인산재 문집(仁山齋文集)』 6권 3책이 전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고산서원(高山書院) 통문피봉(通文皮封) 1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高山書院 三山壇儒會所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119_001 고산서원에서 삼단산 유회소에 답하여 보낸 통문의 피봉. 고산서원(高山書院)에서 화순의 삼산단(三山壇) 유회소(儒會所)에 보낸 답통(答通)의 피봉(皮封)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해년 이기래(李基來)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李基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147_001 신해년에 이기래(李基來)가 칠송사(七松祠)의 채무 정리 관계 및 기타 사항을 합의하기 위한 모임 날짜를 알리며 참석을 요청하는 내용의 간찰 신해년 8월 5일에 이기래(李基來)가 보낸 간찰이다. 본 칠송사(七松祠)의 채무 정리 관계 및 기타 사항을 합의하기 위한 모임을 이번 발 19일 오전에 개최하기로 하였으므로 바쁘더라도 참석해주기를 바란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갑인년 정창림(鄭昌林)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鄭昌林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인년 11월에 정창림(鄭昌林)이 상대방이 부탁한 묘갈명을 지어 보내면서 함께 보낸 간찰 갑인년 11월 8일에 정창림(鄭昌林)이 보낸 간찰이다. 상대방의 부친이 편안하신지 안부를 묻고, 어른 모시며 공부하는 생활은 좋은지 인사하였다. 기년복(朞年服)을 입고 있는 자신은 날로 쇠약해져 더 이상 지난날 봤던 사람 모양이 아니라고 하였다. 상대방이 부탁한 묘갈명은 우선 초고를 쓰기는 했지만 문장력과 필력이 좋지 못하여 훌륭한 행적의 만분의 일도 드러내지 못해서 몹시 죄송하다고 하였다. 우선 보내기는 하지만 잘 살펴보신 뒤에 불에 태워버리고 다른 뛰어난 사람에게 다시 받는 것이 어떠냐고 겸사를 덧붙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咸豐陸年丙辰 三月 二十五日 高生員前 明文右明文事 傳來衿得 數年收稅是多可 報債許多 不得已 放賣次 伏在桂村內洞坪火字畓 六斗落 七夜味 負數二十四卜八束庫果 又火字畓二斗落 二夜味 負數十八卜六束庫乙價折錢文捌拾兩 依數捧用是遣 右班前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如有爻象 則以此文記 告官卞呈事 此亦中 旧文二章 倂爲放賣耳畓主 童蒙 金春錫 喪不着證人 幼學 崔致敬 [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全羅道南原府居生李達鎬 謹百拜上書于堂上閤下 伏願垂察焉 生之高祖妣山 在於本府只沙坊基洞 而禁養守護于玆八十餘年矣 當▣…▣四山局內 都爲買得於圓山居金班之宗孫處而且於庚寅年分 生之親山繼葬於高祖妣山堦下是乎所 當初買山之時 則四山童濯矣 生▣…▣松楸長養 以至鬱密 而忽於不意 龍潭居不知何許金班稱以渠之先山 做出凶計徃呈于 巡營 移査于龍潭縣 而四山局內與松楸 將欲勒奪 則豈有如許抑鬱之事鎬乎 且况當初賣買之金班宗孫手蹟 自在已爲近百年之事 而不知何許金哥 致此抑奪之習乎 生不勝憤寃 玆敢泣血仰訴于 明察之下 伏乞 俯賜洞燭後 特爲嚴關于該道 巡營 同金哥捉致 法庭 嚴刑遠配 以懲其生臆之習 俾此殘生 無至先山橫奪之地 千萬泣祝行下 向敎是事京兆堂上主 處分癸巳十二月 日堂上[署押](題辭)依所訴發關向事初十日[漢城府印] 3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93년 이수봉(李洙鳳)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1893.12.19.] 李洙鳳 全羅道觀察使 官[着押] 3顆(9.3×9.2)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48_001 1893년(고종30) 12월에 남원부에 사는 이수봉이 전라도 감영의 순찰사에게 선산의 수호를 위하여 올린 상서. 1893년(고종30) 12월에 남원부(南原府)에 사는 이수봉(李洙鳳)이 전라도 감영의 순찰사에게 선산의 수호를 위하여 올린 상서(上書)이다. 이수봉은 선산의 일로 돌아가신 아버지가 무고하게 고소를 당한 억울함을 호소하며 5대 조비(祖妣)의 산소는 60여 년 전에 고조 진사공(進士公)이 김상수(金相壽)의 선대 종손에게서 매득하여 그 관련 문권을 확실히 소장하고 있는데 용담에 사는 김상수, 김기성(金箕聲) 등이 고소를 했다며 이를 살펴 잘잘못을 가리고 아버지의 억울함을 벗게 해 줄 것을 청하였다. 이에 대해 전라감사는 '용담현(龍潭縣)에서 조사하여 보고하기를 기다려서 조처하겠다'고 19일에 뎨김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정해년 김영채(金泳蔡)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金泳蔡 茂長縣監 官[着押] 1顆(6.7×6.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859_001 정해년 11월에 무장현 장자산면 회룡에 사는 김영채가 무장현감에게 연호잡역의 면제를 청하는 내용으로 올린 소지. 정해년 11월에 무장현(茂長縣) 장자산면(莊子山面) 회룡(會龍)에 사는 김영채(金泳蔡)가 무장현감에게 자신 집의 연호잡역 면제를 요청하기 위해 올린 소지이다. 그는 자신이 훈신(勳臣)의 후예로서 먼 땅에 유락하며 살기에 지금까지 조정에서 특별히 연호잡역(烟戶雜役)을 면제해 주는 은전을 받고 있었는데 이번에 다시 받게 되었다며 그동안 받은 완문(完文)을 점련해 올리며 본면 향약소에 자신의 역 면제를 명해주기를 청하였다. 이에 대하여 무장현감은 병조(兵曹)의 완문(完文)대로 공의(公議)를 따라 역을 감해주라고 21일에 집강(執綱)에게 뎨김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회계기(會計記) 고문서-치부기록류-회계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세납액(稅納額)을 기록한 회계기(會計記) 전명천댁(全明川宅) 등 4군데 세납(稅納) 비용과 세금 총액 등이 기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계묘년 추봉기(秋捧記)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丁孝鎭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계묘년 정효진(丁孝鎭)이 작성한 추봉기(秋捧記) 계묘년 유사(有司) 정효진(丁孝鎭)이 상주 모서면 대표리(尙州 牟西面 大杓里) 이고곡(李古谷)에서 추봉(秋捧)할 내역과 이자(利資)를 작성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계해년 장성준(張成浚) 등 등장(等狀)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張成浚 康津縣監 <押> □…□ 3顆(7.0x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831_001 계해년 3월에 장성준 등이 강진현에 올린 등장 계해년 3월에 장성준 등이 강진현에 올린 등장이다. 이들이 거주하는 옴천면(唵川面) 개산리(盖山里) 뒷산에는 예로부터 영험하게 여겨진 제봉(祭峯)이 있어 주민들이 매년 여기에 제사를 지내왔다. 그런데 지난 정미년 3월에 누군가 여기에 투장한 뒤로 변고가 잇달아 일어나자 촌민들이 놀라 관에 정소하여 즉각 파내 옮겼다. 그렇게 안심하고 있던 와중 생각지도 않게 같은 고을 오추동(梧秋洞)에 사는 박치언(朴致彦)이 이번달 초 9일 이곳에 또 늑장(勒葬)을 하였다. 이후 여러 사람들이 갑자기 병이 나서 사경을 헤메는 등 변고가 다시 일어났으므로 이 사실을 조사하여 무덤을 파내 옮길 수 있도록 해달라는 내용이다. 강진현에서는 도형(圖形)을 살펴본 뒤 원고와 피고를 관에 대령하라는 처분을 내렸다. 등장(等狀)은 여러 사람들이 연명(聯名)하여 관에 청원이나 탄원할 일이 있을 때 제출했던 소지류(所志類) 문서의 일종이다. 소지류 문서에는 등장 외에도 상서(上書)·발괄(白活)·의송(議送) 등이 포함되었고 각 문서들은 발급 주체나 수취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서식적 차이가 있었다. 한편 도형은 산도(山圖)라고도 부르는데, 산의 형세를 그린 그림으로 풍수지리적 관점에서 건축물이나 묘소의 터를 정하기 위해 작성하거나 산송에서 매장된 묘소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증거물로서 작성되었다. 관에서는 접수한 소지류 문서와 산도의 여백에 제사(題辭) 혹은 뎨김[題音]이라고 부르는 처분을 내렸다. 제사가 기재되었다는 것은 관의 공증을 거쳤다는 의미이므로, 백성들은 제사가 기재된 문서를 소송 자료 또는 권리나 재산 등을 증빙하는 자료로 활용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0년 동덕댁(同德宅) 김(金) 등 수기(手記) 고문서-증빙류-수기 同德宅 金 同德宅 金<着名>, 卜男宅 金<着名>, 元金宅 李<着名>, 分化宅 崔<着名>, 月令宅 尹<着名>, 億金宅 尹<着名>, 保金宅 金<着名>, 銀德宅 崔<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40년 4월 23일에 동덕댁 김 등 8명이 작성한 수기 1840년 4월 23일에 동덕댁 김 등 8명이 작성한 수기이다. 수기의 내용은 그들이 경작한 영자(盈字) 진전(陳田) 3복(卜)이 고을의 폐단이 되므로 금전 2냥 5전을 고을 계장(契長)에게 주어 본보기로 삼고 여기서 발생하는 이익이나 세금에 대해서도 간섭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수기(手記)와 수표(手標)는 매매 등 쌍방 간에 맺어진 약속을 기록한 문서이다. 내용상 주로 산송(山訟)과 관련한 수기·수표가 다수를 차지하지만 어떠한 내용이든 그것을 다짐하고 약속하며 써주는 문서라면 수기·수표로 볼 수 있다. 수기와 수표는 문서의 특성상 정확한 구분 없이 혼용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유사한 문서로 불망기(不忘記)가 있다. 불망기는 어떠한 사실을 잊지 않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이다. 개인이나 문중의 기록 차원에서 작성하는 불망기도 있었지만 주로 매매 등 타인간의 거래관계에서 증빙을 위해 작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점에서 수기·수표와도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56년 배종주(裵宗冑) 토지 매도 계약서(土地賣渡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裵錫圭 裵宗胄 裵錫圭(타원형), 裵宗冑(타원형), 洪承鎬(타원형), 金容善(타원형), 河東辰(타원형)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6년 12월 24일에 배석규(裵錫圭)와 배종주(裵宗冑)가 작성한 토지매도 계약서(土地賣渡契約書) 대상: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和順郡 道谷面 大谷里) 七拾壹番地 畓 參百坪 가격: 9600圜 참여자: 매주(賣主) 배석규(裵錫圭), 매주(買主) 배종주(裵宗冑), 입회인(立會人) 홍승호(洪承鎬), 입회인(立會人) 김용선(金容善), 입회인(立會人) 하동진(河東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61년 배씨문중(裵氏門中)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鄭蘭禮 裵氏門中 □…□(3.5×3.5), 蘭禮 6顆(타원형)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1년 1월 18일에 정난예(鄭蘭禮)이 배씨문중(裵氏門中)에게 발급한 매도증서(賣渡證書) 대상: 화순군 이양면 묵곡리(和順郡 梨陽面 墨谷里) 539번지 畓 174坪, 田 174坪, 林野 8反 8畝步 가격: 90,000원 참여자: 매도인(賣渡人) 정난예(鄭蘭禮), 매수인(買受人) 배씨문중(裵氏門中), 사법서사(司法書士) 천윤장(千潤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71년 배석지(裵錫祉)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奇莊軒先生遺集刊所 裵錫祉 朴永鳳印(원형)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1년 6월 27일에 장헌(莊軒) 기노장 선생(奇老章 先生) 유집간소(遺集刊所) 박영봉(朴永鳳)이 배석지(裵錫祉)에게 발급한 영수증 배석지가 기노장 선생(奇老章 先生) 유집간비(遺集刊費) 2500원을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경축년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尹在楠 尹在楠(타원형), 尹成鎬(타원형)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축년 1월 15일에 윤재남(尹在楠)에게 발급한 영수증 대곡리(大谷里) 임야(林野) 38번지 8畝 가격의 잔액 10000圜을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