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치부(置簿) 1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4果 (6.5x6.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치부(置簿) 냉천동(冷川洞) 귀종(貴從) 등 8명의 세금 납부액을 기재한 것으로 보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치부(置簿) 2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치부(置簿) 묘동(卯洞), 산막(山幕) 등 19개 지역과 2곳의 금액 기재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69년 공명첩(空名帖) 3 고문서-교령류-공명첩 高宗 金廷弼 曾祖母 施命之寶(10.0×10.0) 1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956_001 1869년 김정필의 증조모에게 정인 추증하는 공명첩 1869년 김정필의 증조모에게 정인의 품계를 추증하는 추증 교지이고 해당자가 적혀 있지 않으므로 공명첩이다. 김정필의 증조모로 추정한 것은 관련문서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동년 동월에 김정필에게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겸 경복궁오위장에 임명하는 고신과 더불어 처 김씨,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의 추증교지가 함께 남아있고, 이 문서의 발급연월 좌측에 적힌 '증조비(曾祖妣)'를 통해 김정필의 증조모에게 내린 공명첩임을 알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69년 공명첩(空名帖) 4 고문서-교령류-공명첩 高宗 金廷弼 曾祖父 施命之寶(10.0×10.0) 1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956_001 1869년 김정필의 증조부에게 통훈대부 군자감 정을 추증하는 공명첩 1869년 김정필의 증조부에게 통훈대부 군자감 정을 추증하는 추증 교지이고 해당자가 적혀 있지 않으므로 공명첩이다. 김정필의 증조부로 추정한 것은 관련문서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동년 동월에 김정필에게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겸 경복궁오위장에 임명하는 고신과 더불어 처 김씨,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의 추증교지가 함께 남아있고, 이 문서의 발급연월 좌측에 적힌 '증조고(曾祖考)'를 통해 김정필의 증조부에게 내린 공명첩임을 알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傳令觀察府訓令內 槩道路橋梁之修治之節 卽大政 而現今農務稍歇 玆以令飭本郡 境內巨細之道路 大小之橋梁 訓到十日內 倍加功力 一新修補 俾無後日岐廉生梗之弊爲旀 了役後隨卽馳報 以爲別遣摘奸之地爲宜事亦敎是 故別定汝矣黜送 所掌面內治道修橋之節 各別申飭 毋或致責於別摘奸之下爲旀 洞頭民與田夫輩中 如有施頑者 指名馳報 俾爲嚴懲之地 宜當向事壬寅 八月 日兼使 [靈光郡守之章][靈光郡印] 3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김흥관(金興寬) 호구단자(戶口單子) 1 고문서-증빙류-호적 金興寬 1顆(7.0×6.3)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88_001 유학(幼學) 김흥관(金興寬, 49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김흥관(金興寬) 호구단자(戶口單子) 2 고문서-증빙류-호적 金興寬 1顆(7.0×7.2)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2988_001 유학(幼學) 김흥관(金興寬, 54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58년 조규열(趙圭烈) 토지매매계약서(土地賣買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趙東熙 趙圭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8년 1월 13일에 매주(賣主) 조동희(趙東熙)가 매주(買主) 조규열(趙圭烈)에게 토지를 매매하는 계약서(契約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유년 박우락(朴禹洛) 혼서(婚書) 1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朴禹洛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3015_001 신유년 11월 18일에 신랑 집의 박우락이 신부 집에 의제를 적어 보내면서 보낸 간찰 신유년 11월 18일에 무안박씨인 박우락이 신부 집에 신랑의 옷본 치수를 적어 보내면서 보낸 간찰이다. 상대의 안부를 물은 다음 신부 측에서 택일한 날짜를 적은 연길(涓吉)을 잘 받았고, 이에 신랑의 옷본 치수를 적어 보낸다는 내용이다. 연길은 혼례 날짜를 택일하여 신랑 집에 통지하는 절차이고, 의제(衣制)는 신랑의 옷을 만드는 데 필요한 치수를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70년 박종은(朴鍾垠) 임야 소유권 보존(林野所有權保存) 등기 신청서(登記申請書)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朴鍾垠 光州地方法院 和順登記所 司法書士具齊完印 3顆(2.2×2.2), 광주지방법원화순등기소인(3.5×3.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0년 박종은(朴鍾垠)이 임야 소유권 보존 등기 신청을 위해 광주지방법원 화순등기소에 제출한 등기 신청서(登記申請書) 대상: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 산28번지 임야 6무보 1970년 9월 21일에 등기 완료 부동산 표시, 등기원인과 그 연월일, 등기목적 등의 항목으로 구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70년 배진만(裵鎭萬) 임야소유권보존(林野所有權保存) 등기신청서(登記申請書)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裵鎭萬 光州地方法院 和順登記所 司法書士具齊完印 2顆(2.2×2.2), 광주지방법원화순등기소인(3.5×3.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0년 배진만(裵鎭萬)이 임야 소유권 보존 등기신청을 위해 광주지방법원 화순등기소에 제출한 등기 신청서(登記申請書) 대상: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 산30번지 임야 9무보 1970년 10월 8일에 등기 완료 부동산 표시, 등기원인과 그 연월일, 등기목적 등의 항목으로 구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을축년 이정재(李鼎在) 간찰(簡札) 2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李鼎在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을축년 12월 말일에 사제 이정재가 바깥사돈에게 가족의 안부 등을 전한 간찰 을축년 12월 말일에 사제(査弟) 이정재(李鼎在)가 바깥사돈에게 가족의 안부 등을 전한 간찰이다. 한해가 어느덧 저물어 가는데 보내준 인편을 통해 서신을 받으니 몹시 감사하다고 인사하고, 서신을 통해 사돈의 모친의 체후가 강녕하고 식구들 모두 평안한 것을 알게 되어 위로가 된다고 하였다. 자신의 형님은 예전처럼 지내고 계시고 아이들도 별탈 없으며, 새로 태어난 어린 손자의 모습이 단정하고 기특해서 웃음거리가 되어주는데 그 어미가 젖이 나오지 않아 큰 고민거리라고 소식을 전하였다. 그리고 큰댁의 혼례가 다음 달에 있다고 들었는데 잘 진행되고 있는지 물었다. 새해를 맞아 더욱 복되시기를 바란다는 인사로 마무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기미년 병하(柄夏)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柄夏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미년 3월 11일에 족손 병하가 족인에게 혼사 문제로 보낸 간찰 기미년 3월 11일에 족손(族孫) 병하(柄夏)가 족인(族人)에게 혼사(婚事) 문제로 보낸 간찰이다. 상대방이 지난번에 방문해준 뒤로 시일이 지났는데 근래 상당(上堂)의 체후는 손상 없이 평안하시고 아드님 및 큰집 식구들 모두 잘 지내는지 멀리서 그립다는 인사를 먼저 하였다. 참최복(斬衰服)을 입고 있는 자신은 근근이 지내고 있고 홀로되신 어른 모시며 초조히 지내지만 외가 식구들이 그럭저럭 지내고 있어 그나마 다행이라는 소식을 전하였다. 지난번에 의논드렸던 혼사 문제는 어떻게 되었는지 아직 소식이 없어 기다리고 있고, 혼사를 경솔히 결정할 수 없기에 심부름꾼을 따로 보내니 가부간에 속마음을 알려주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상당께도 안부 서신을 따로 써야 하는데 갑자기 출발하느라 오늘 아침에 여유가 없으니 이런 뜻을 아뢰어주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그리고 족보에 관한 일은 어떻게 되어 가는지 물었고, 이번에 가는 심부름꾼이 일찍 도착하면 당일에 돌려보내 빨리 돌아오게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0년 나득검(羅得儉)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縣監 羅得儉 [同福縣監之印](6.5×6.5), 周挾無改印 1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986_001 1810년 나득검이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한 종들의 현황을 기록하여 동복현에 제출하고 확인을 받아 돌려받은 준호구 1810년 나득검이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한 종들의 현황을 기록하여 동복현에 제출하고 관의 확인을 거친 뒤 돌려받은 호구 문서이다. 나득검과 어머니 방씨(房氏), 처(妻) 김씨(金氏)와 아들 정형(廷衡)이 가족원으로 등재되어 있는데, 정형의 개명 전 이름은 정열(廷說)이다. 나득검의 거주지는 동복현 내서면 보암리이고 나이는 42세이다. 나득검의 사조(四祖)와 처(妻) 김씨(金氏)의 사조를 기재하였고, 높이를 낮추어 천구질(賤口秩)을 기재하였다. 소유 노비는 모두 4구(口)인데 이 가운데 1구는 도망노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3년 나득검(羅得儉)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同福縣監 羅得儉 同福縣監之印(6.5×6.5), 周挾無改印 1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986_001 1813년 나득검이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한 종들의 현황을 기록하여 동복현에 제출하고 확인을 받아 돌려받은 준호구 1813년 나득검이 가족원의 인적사항과 소유한 종들의 현황을 기록하여 동복현에 제출하고 관의 확인을 거친 뒤 돌려받은 호구 문서이다. 나득검과 어머니 방씨(房氏), 처(妻) 김씨(金氏)와 아들 정열(廷說)이 가족원으로 등재되어 있는데, 정열의 개명 전 이름은 정형(廷衡)이다. 나득검의 거주지는 동복현 내서면 보암리이고 나이는 45세이다. 나득검의 사조(四祖)와 처(妻) 김씨(金氏)의 사조를 기재하였고, 높이를 낮추어 천구질(賤口秩)을 기재하였다. 소유 노비는 도망한 노비 1구(口)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09년 도백(道伯) 이면응(李冕膺) 문안단자(問安單子)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李冕膺 羅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9년 4월 25일 전라도관찰사 이면응이 나 생원에게 보내는 문안단자 1809년 4월 25일 전라도관찰사 이면응이 나 생원에게 보내는 문안단자이다. 단자는 조선시대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되던 문서의 유형이다. 단자 중에는 고유한 서식과 명칭을 갖는 문서도 있었고, 낱장의 문서를 일반적으로 부를 때도 단자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고유한 문서로서 단자는 백성이 수령에게 올리는 탄원서, 시전(市廛) 조직간에 통용하는 문서, 충훈부(忠勳府)에 공신자손(功臣子孫)의 세계(世系)를 증명하기 위해 올리는 문서, 호구 조사를 위해 백성들에게 제출하도록 했던 문서를 의미하기도 했다. 또 ?조선왕조실록? 등에는 하직단자(下直單子)나 망단자(望單子)처럼 문서를 작성하는 목적을 앞에 붙여 단자의 성격을 드러내기도 하였고, 문서를 작성하는 아문의 이름을 붙여 예조단자(禮曹單子) 등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이 중 문안단자는 새로 부임한 수령이나 관찰사가 지역 인사에게 보내는 문서이다. 서두에 문안이라는 문구 대신 존문(存問)을 쓰기도 한다. 문안단자에 의하면 이면응은 나 생원에게 문안하며 부채 3자루를 함께 보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十六年壬申 正月 二十一日 幼學 高參瑞前 明文右明文爲事段 移買次 買得畓 大洞員修字五十畓一斗五刀落只 五卜一束㐣 價折錢文柒兩 依數奉上爲遣 本文記一丈幷以 右人前 永永放賣爲去乎 日後子孫中 幸有雜談者是去等 持此文告 官卞正事畓主 金自望 [署押]筆 幼學 宋龍達 [署押]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